^*^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1

정향안위탕(丁香安胃湯)

한들 약초방 2015. 12. 22. 13:21

 정향안위탕(丁香安胃湯)

 

♣ 治嘔吐胃寒所致黃二錢吳茱萸草豆人參蒼朮各一錢丁香柴胡升麻當歸身陳皮甘草灸各五分黃栢二分右作一貼水煎服《正傳》

 

♣ 위가 차서 생기는 토하기와 딸꾹질 치료한다.

단너삼(황기) 8g, 오수유, 초두구, 인삼, 삽주(창출) 각각 4g, 정향, 시호, 승마, 당귀, 귤껍질(陳皮), 감초(닦은 ) 각각 2g, 황백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정전].

 

=============================================================================

출처 ; 의학정전(醫學正傳)(1515년) 동원(東垣)

편명 ; 구토(嘔吐)

 

내용 ; 위(胃)가 차가워서 생기는 구토(嘔吐)와 딸꾹질을 치료하는 처방임

 

고성약재

당귀(當歸): 1.875 g. 당귀신(當歸身)

승마(升麻): 1.875 g.

시호(柴胡): 1.875 g.

오수유(吳茱萸): 3.75 g.

인삼(人蔘): 3.75 g.

자감초(炙甘草): 1.875 g.

정향(丁香): 1.875 g.

진피(陳皮): 1.875 g.

창출(蒼朮): 3.75 g.

초두구(草豆蔲): 3.75 g.

황기(黃芪): 7.5 g.

황백(黃柏): 0.75 g.

 

조제용법 ; 위의 약을 잘게 썰어 한첩을 만들어, 물 한잔이 7푼이 될때까지 달여 식전에 따뜻하게 먹는다.

 

주치병증

구토홰역(嘔吐噦逆)

구토를 하면서 딸꾹질을 하는 병증

 

위허랭(胃虛冷)

위(胃)가 허하면서 차서 생기는 병증을 말함. 오른손 관(關) 부위에 양(陽)이 허한 맥이 나타나면 족양명경(足陽明經)의 병이다.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은 족태음(足太陰)과 더불어 표리(表裏) 관계가 되는데, 그 기가 따뜻한 것을 좋아하고 찬것을 싫어한다. 따뜻한 것을 얻으면 능히 수곡(水穀)을 소화시키지만 만약 그 기가 부족하여 찬 기운이 침입하면 정강이가 차고, 눕기가 힘들며, 바람을 싫어하고, 으슬으슬 추우며, 눈이 땅기고, 뱃속이 항상 아프며, 양쪽 옆구리가 허전하면서 더부룩하고 소리가 잘 나며, 때로는 춥고 때로는 열이 나며, 입술과 입 속이 건조하고, 얼굴과 눈이 붓고 음식을 삼키지 못한다. 이것이 모두 위가 허랭(虛冷)한 증후(證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