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1

토하기를 치료하는 방법[嘔吐治法]

한들 약초방 2015. 12. 22. 13:19

                                토하기를 치료하는 방법[嘔吐治法]

 

♣ 嘔吐有冷熱二證冷者面靑手足厥冷食久乃吐宜加味二陳湯丁香安胃湯加減理中湯

♣ 토하기에는 냉증(冷證) 열증(熱證) 2가지 증이 있는데 냉증 때에는 얼굴빛이 푸르고 손발이 싸늘하며 음식을 먹은 다음 오래 있다가 토한다. 이때에는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  정향안위탕(丁香安胃湯)  가감이중탕(加減理中湯) 등을 쓴다.

 

♣ 熱者面赤手足熱食已卽吐宜補中湯和中桔梗湯黃連竹茹湯淸熱二陳湯或葛根竹茹湯加味橘皮竹茹湯

♣ 열증 때에는 얼굴빛이 벌겋고 손발이 달며() 음식을 먹자마자 토한다. 이런 데는 

보중탕(保中湯)  화중길경탕(和中桔梗湯)  황련죽여탕(黃連竹茹湯)  청열이진탕(淸熱二陳湯)  갈근죽여탕(葛根竹茹湯)  가미귤피죽여탕(加味橘皮竹茹湯) 등을 쓴다.

 

♣ 大病後胃熱虛煩而嘔者竹葉石膏湯(方見寒門)加薑汁服卽止《入門》

♣ 중병[大病] 앓은 뒤에 () 열이 있어 허번증(虛煩證) 나면서 구역할 때에는 죽엽석고탕(竹葉石膏湯) (竹葉石膏湯, 처방은 상한문(傷寒門) 있다) 약재에 생강즙을 먹으면 멎는다[입문].

 

♣ 時常口吐淸水或冷涎自下涌上者脾熱所致也二陳湯加白朮白芍藥升麻神麥芽乾生薑土炒芩連梔子或水煎服或蒸餠爲丸服《入門》

♣  멀건 [淸水] 토하거나 서늘한 [冷涎] 아래에서부터 올라오는 것은 () 열이 있기 때문인데 이때에는이진탕(二陳湯)   약재에 흰삽주(백출),집함박꽃뿌리(백작약), 승마, 약누룩(신국), 보리길금(맥아), 생강(말린 것으로 흙과 함께 닦은 ), 속썩은풀(황금), 황련, 산치자를 넣어 물에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증병( )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입문].

 

♣ 肝火出胃逆上嘔吐宜抑靑丸(方見火門)

♣ 간화(肝火) () 치밀어서 토하는 데는 억청환(抑靑丸) (抑靑丸, 처방은 화문(火門) 있다) 쓰는 것이 좋다.

 

♣ 半夏橘皮生薑爲嘔家主藥若胃虛而嘔者宜推揚穀氣四味藿香湯加減四君子湯主之《綱目》

♣ 끼무릇(반하), 귤껍질(陳皮), 생강은 구역할 때에 주로 쓰는 약이다. () 허해서 구역이 때에는 반드시 음식의 기운이 퍼져나가게 하여야 한다. 이때에는 사미곽향탕(四味藿香湯)  가감사군자탕(加減四君子湯) 주로 쓴다[강목].

 

♣ 久病胃虛嘔吐宜藿香安胃散藿香平胃散比和飮

♣ 오랜 병으로 위가 허해져서 토할 때에는 곽향안위산(藿香安胃散)   곽향평위산(藿香平胃散)  비화음(比和飮) 등을 쓴다.

 

♣ 痰飮嘔吐宜茯半夏湯小半夏湯《入門》大半夏湯(方見痰門)

♣ 담음(痰飮)으로 토할 때에는 복령반하탕(茯 半夏湯) 소반하탕(小半夏湯) (小半夏湯, 처방은 입문[口門] 있다), 대반하탕(大半夏湯) (大半夏湯, 처방은 담음문(痰飮門) 있다) 쓴다.

 

♣ 神朮丸治嘔吐淸水如神(方見痰門)

신출환(神朮丸) (神朮丸, 처방은 담음문(痰飮門) 있다) 멀건 물을 토할 때에 쓰면 신기하게 멎는다.

 

♣ 停水而嘔者心下煨盔先渴後嘔者宜赤茯(方見胸門)先嘔後渴者宜猪散水入卽吐者宜五(方見寒門)《入門》

♣ 물이 속에 있어서 구역이 나는데 명치 밑이 두근거리면서 갈증이 다음에 구역이 때에는 적복령탕(赤茯 湯) (赤茯 , 처방은 가슴문[胸門] 있다) 쓰는 것이 좋고 먼저 구역이 나고 뒤에 갈증이 때에는 저령산(猪 散) 쓴다. 물을 마시자마자 토할 때에는 오령산(五 散) ( , 처방은 상한문(傷寒門) 있다) 쓴다[입문].

 

♣ 嘔家聖藥是生薑千金之說信矣然氣逆作嘔生薑散之痰水作嘔半夏逐之生薑於寒證最佳若遇熱嘔不可無烏梅也《醫鑑》

♣ 구역할 때에[嘔家] 쓰는 좋은 [聖藥] 생강이라고 천금방(千金方) 말이 틀림없다. 그러나 기가 치밀어 올라 구역할 때에는 생강으로 헤쳐 주고 담수(痰水) 구역할 때에는 끼무릇(반하)으로 몰아내야 한다. 생강은 한증(寒證) 가장 좋은 약이다. 만일 열로 구역이 때에는 오매가 없어서는 안된다[의감].

 

♣ 嘔吐宜服白粥

♣ 토할 때에는[嘔家] 염교흰밑죽( 白粥) 먹는다.

 

♣ 嘔家有癰膿不須治嘔膿盡自愈矣《仲景》

♣ 구역하는 사람이 옹저가 생겨서 곪았을 때에는 구태여 구역을 치료할 필요가 없다. 고름이 나오면 구역은 저절로 멎는다[중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