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1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

한들 약초방 2015. 12. 22. 13:20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

 

♣ 治胃冷嘔吐二陳湯(方見痰門)一貼加縮砂一錢丁香五分也《丹心》

 

♣ 위가 차서[胃冷]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이진탕(二陳湯, 처방은 담음문(痰飮門) 있다) 1첩에 사인 4g, 정향 2g 넣어 쓴다[단심].

 

===============================================================================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

 

 

同上二陳湯加枳殼桔梗黃芩梔子蘇子白豆各七分右作一貼入薑三片水煎服《醫鑑》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이진탕에 지각, 도라지(길경), 속썩은풀(황금), 산치자, 차조기씨(자소자), 백두구 각각 2.8g 넣는다.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단심(丹心)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오(卷五) 구토(嘔吐)

 

구성약재

 

귤피(橘皮): 3.75 g.

반하(半夏): 7.5 g.

적복령(赤茯苓): 3.75 g.

정향(丁香): 1.875 g.

축사(縮砂): 3.75 g.

 

조제용법 ; 이진탕 1첩에 축사 3.75g, 정향 1.875g을 더 넣어 쓴다. 위의 약재들을 썰어 한첩으로 하여 생강 3편을 넣고 물로 달인후 먹는다.

 

주치병증

위랭구토(胃冷嘔吐)

위랭(胃冷)으로 손발이 차면서 구토하는 것.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의감(醫鑑)

편명 ; 외형편(外形篇) 권이(卷二) 인후(咽喉)

 

구성약재

길경(桔梗): 2.625 g.

백두구(白豆蔲): 2.625 g.

자소자(紫蘇子): 2.625 g.

지각(枳殼): 2.625 g.

치자(梔子): 2.625 g.

황금(黃芩): 2.625 g.

 

조제용법 ; 이진탕(二陳湯)에 약재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주치병증

매핵기(梅核氣)

목구멍에 매실의 씨와 같은 것이 걸린 것처럼 삼켜도 내려가지 않고 뱉어도 나오지 않는 병증. [적수현주(赤水玄珠)] 제3권에서는 "매핵기(梅核氣)는 목구멍이 칼칼하여 메이는 듯하고, 또 담(痰)이 목구멍에 덩어리져 맺혀 내뱉어도 나오지 않고 삼켜도 내려가지 않는 것이다.(梅核氣者, 喉中介介如梗狀. 又曰痰結塊在喉間, 吐之不出, 咽之不下是也.)"라고 하였다.

이명 ; 매핵격(梅核膈), 자련(炙臠)

양방병증 ; 인후경직; 호흡곤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