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하는 병에는 3가지가 있다[吐病有三] ♣
♣ 氣爲上膈屬上焦食已暴吐者今世謂之嘔吐也
♣ 기가 위[上]에서 막힌 것은 상초(上焦)에 속한다. 음식을 먹은 다음 갑자기 토하는 것이 지금 말하는 토하기이다.
♣ 食飮入而還出爲下膈食杀時乃反出之屬中下二焦
♣ 음식을 넘기자 도로 나오는 것과 아래가 막혀[下膈] 먹은 것이 2시간만에 도로 나오는 것은 중초(中焦)와 하초(下焦)에 속한다.
♣ 朝食暮吐暮食朝吐今世謂之膈氣反胃也《綱目》
♣ 아침에 먹은 것을 저녁에 토하고 저녁에 먹은 것을 아침에 토하는 것은 격기(膈氣) 또는 반위(反胃)이다[강목].
♣ 吐有三因乃氣積寒也皆從三焦論之上焦在胃口上通天氣主納而不出中焦在中脘上通天氣下通地氣主腐熟水穀下焦在臍下下通地氣主出而不納
♣ 토하는 데는 3가지 원인이 있다. 즉 기(氣)와 적(積), 한사(寒邪)이다. 이것을 다 3초와 결부시켜 말하면 상초는 위(胃)의 입구에 해당되는데 위[上]로는 천기(天氣)와 통하며 주로 받아들이기만 하고 내보내지는 않는다. 중초는 중완(中脘)에 해당되는데 위로는 천기와 통하고 아래로는 지기(地氣)와 통하며 주로 음식을 소화시킨다. 하초는 배꼽 아래에 속하는데 아래로는 지기와 통하고 주로 내보내기만 하며 받아들이지는 않는다.
♣ 上焦吐者皆從氣氣者天之陽也其怴浮而洪其證食已暴吐渴欲飮水大便燥結氣上衝胸而發痛其治當降氣和中
♣ 상초에서 생기는 토하기는 기와 연관된 것인데 이 기는 하늘의 양기(陽氣)를 말한다. 이 때에 맥은 부(浮)하면서 홍(洪)하고 그 증상은 먹은 다음 갑자기 토하고 목이 말라 물을 마시려고 하며 대변이 몹시 굳고 기가 가슴으로 치밀어 올라 아픈 것이다. 그러므로 치료할 때에는 반드시 기를 내리고 속을 편안하게 해야 한다.
♣ 中焦吐者皆從於積有陰有陽食與氣相假爲積而痛其怴浮而弦其證或先吐而後痛或先痛而後吐治法當以小毒藥去其積木香檳峹和其氣(宜紫睕丸消積)
♣ 중초에서 생긴 토하기는 다 적(積)으로 생긴 것인데 음증(陰證)도 있고 양증(陽證)도 있다. 이것은 음식과 기가 뒤섞여져 적(積)이 생겨서 아픈 것인데 그 맥은 부현(浮弦)하고 증상은 혹 먼저 토한 다음에 아프기도 하고 먼저 아프다가 후에 토하기도 한다. 이것을 치료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성질이 약간 독한 약으로 적을 삭히고 목향과 빈랑으로 기를 고르롭게[和] 해야 한다(자침환(紫沈丸) 으로 적을 삭히는 것이 좋다).
♣ 下焦吐者皆從于寒地道也其怴睕而遲其證朝食暮吐暮食朝吐小便淸利大便秘而不通治法宜以毒藥通其閉塞溫其寒氣大便漸通復以中焦藥和之不令大府結閉而自安也《易老》
♣ 하초에서 생긴 토하기는 다 한사(寒邪)로 생긴 것인데 이것은 지기[地道]와 연관된다. 이 때에 맥은 침지(沈遲)하고 증상은 아침에 먹은 것을 저녁에 토하고 저녁에 먹은 것은 아침에 토하며 오줌은 맑고 잘 나오며 대변은 굳어져 잘 나오지 못하는 것이다. 치료는 반드시 성질이 독한 약으로 막힌 것을 통하게 하고 찬것을 따뜻하게 하여 대변이 점차 통하게 해야 한다. 그리고 중초에 쓰는 약으로 조화시켜 대장이 막히지 않게 해야 한다[역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