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1

인삼복령산(人蔘茯 散)

한들 약초방 2015. 12. 31. 10:11

 인삼복령산(人蔘茯 )

 

 

治腎消尿濁如膏滑石寒水石各一錢半甘草七分赤茯乾葛黃芩薄荷大黃各五分連翹三分人參白朮澤瀉桔梗梔子天花粉縮砂各二分右作一貼水煎服《醫鑑》

신소(腎消) 오줌이 뿌여면서 기름 같은 것을 치료한다.

곱돌(활석), 한수석 각각 6g, 감초 2.8g, 벌건솔풍령(적복령), 칡뿌리(갈근), 속썩은풀(황금), 박하, 대황 각각 2g, 연교 1.2g, 인삼, 흰삽주(백출), 택사, 도라지(길경), 산치자, 하늘타리뿌리(천화분), 사인 각각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一名人參散《東垣》

 일명 인삼산(人蔘散)이라고도 한다[동원].

===========================================================================

출처 ; 우수경험방집

편명 ; 내분비 및 영양 및 대사 질환 - 당뇨병(糖尿病)

 

내용 ; 신소(腎消)로 소변이 기름같이 탁한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갈근(葛根): 1.875 g.

감초(甘草): 3 g.

길경(桔梗): 0.75 g.

대황(大黃): 1.875 g.

박하(薄荷): 1.875 g.

백출(白朮): 0.75 g.

사인(砂仁): 0.75 g.

연교(連翹): 1.125 g.

인삼(人蔘): 0.75 g.

적복령(赤茯苓): 1.875 g.

천화분(天花粉): 0.75 g.

치자(梔子): 0.75 g.

택사(澤瀉): 0.75 g.

한수석(寒水石): 3.75 g.

활석(滑石): 5.625 g.

황금(黃芩): 1.875 g.

 

조제용법 ; 2 첩으로(재탕 포함) 1 일 3 회 식사 전 1 시간에 복용한다.

 

금기사항 ; 복용 중 피해야할 음식 : 닭(鷄), 돼지(猪), 술(酒), 면(麵), 녹두(綠豆), 무우(蘿菔)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신지황원(補腎地黃元)  (0) 2015.12.31
가감신기환(加減腎氣丸)  (0) 2015.12.31
우즙고(藕汁膏)  (0) 2015.12.31
황련저두환(黃蓮猪 丸)  (0) 2015.12.31
인삼산(人蔘散)   (0) 2015.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