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혈윤조생진음(活血潤燥生津飮) ♣
◈通治消渴天門冬麥門冬五味子瓜蔞仁麻子仁當歸熟地黃生地黃天花粉甘草各一錢右犫作一貼水煎服《入門》
◈소갈을 치료하는 데 두루 쓴다.
천문동, 맥문동, 오미자, 하늘타리씨(과루인), 삼씨(마자인), 당귀, 찐지황(숙지황), 생지황, 하늘타리뿌리(천화분),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
출처 ; 의학입문(醫學入門)(1575년)
편명 ;
내용 ; 소갈(消渴)을 치료하는데 쓰이는 처방임
구성약재
|
감초(甘草):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과루인(瓜蔞仁):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당귀(當歸):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마자인(麻子仁):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맥문동(麥門冬):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생지황(生地黃):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숙지황(熟地黃):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오미자(五味子):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천문동(天門冬):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천화분(天花粉):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
조제용법 ; 물에 끓여 따뜻이 복용한다(水煎溫服)
주치병증
조갈(燥渴)
구조(口燥)로 일어나는 갈증. 폐위(肺胃)의 열, 陰虛(陰虛)로 진액이 부족해서 생김. 또 비허(脾虛), 신허(腎虛), 혈허(血虛), 수습(水濕), 담음(痰飮), 어혈(瘀血), 비허(脾虛)에 의해 수액(水液)을 운륜(運輪)하지 못해 일어남. 폐위(肺胃)의 열(熱)로 생기면,갈(渴)해서 냉음(冷飮)하고,변비(便秘), 요적(尿赤), 설태황(舌苔黃), 맥삭(脈數)을 나타냄. 음허(陰虛)에 의하면 인건구조(咽乾口燥), 번열(煩熱), 순홍(脣紅), 설(舌)에 윤기가 없고,맥세(脈細), 혈허(血虛)에 의하면 구순담백(口脣淡白), 안면창백(顔面蒼白), 두훈목현(頭暈目眩), 설담(舌淡), 맥(脈)은 허(虛), 규(芤). 수습정류(水濕停留)에 의하면 갈(渴)해도 물을 안 마시고, 먹으면 흉민(胸悶)하고 답답함. 소변불리(小便不利), 태니(苔膩), 맥유(脈濡)을 나타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