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1

상백피탕(桑白皮湯)

한들 약초방 2015. 12. 31. 10:23

 상백피탕(桑白皮湯)

 

治三消渴疾童根桑白皮(卽未老者)二錢白茯人參麥門冬乾葛山藥桂皮各一錢甘草五分右作一貼水煎服《得效》

 

3가지 소갈을 치료한다.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늙지 않은 ) 8g, 흰솔풍령(백복령), 인삼, 맥문동, 칡뿌리(갈근), 마계피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득효(得效)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육(卷六) 소갈(消渴)

 

구성약재

감초(甘草): 1.875 g.

건갈(乾葛): 3.75 g.

계피(桂皮): 3.75 g.

맥문동(麥門冬): 3.75 g.

백복령(白茯苓): 3.75 g.

산약(山藥): 3.75 g.

상백피(桑白皮): 7.5 g. 늙지 않은 것을 사용한다.

인삼(人蔘): 3.7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주치병증

삼소갈병(三消渴病)

삼소갈(三消渴)병. (1) 상소(上消), 중소(中消), 하소(下消)의 총칭. (3) 소갈(消渴), 소중(消中), 신소(腎消)의 총칭.

이명 ; 삼소(三消)

 

=========================================================================

출처 ; 경악전서(景岳全書)(1610년) 의림(醫林)

편명 ; 권지오십칠 우집 고방팔진 한진(卷之五十七 宇集 古方八陣 寒陣)

 

구성약재

반하(半夏): 3 g.

상백피(桑白皮): 3 g.

소자(蘇子): 3 g.

패모(貝母): 3 g.

행인(杏仁): 3 g.

황금(黃芩): 3 g.

황련(黃連): 3 g.

산치(山梔): 3 g.

 

조제용법 ; 물로 달여서 온복한다(水二鍾, 薑三片, 煎八分. 溫服)

 

주치병증

기천(氣喘)

(1) 각종 호흡곤란증의 총칭. (2) 정신적 요인에 의해, 즉 걱정이 있으면 즉시 숨이 참. 대개 칠정(七情)에 의한 기울(氣鬱)로 생김. 호흡이 급촉(急促)하고, 담성(痰聲)은 없으나, 심하면 호흡 때 코를 벌름거리고, 신경과민이 따름. 걱정이 생기면 바로 일어나고, 맥은 침(沈), 현(弦)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