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2

내탁부전산(內托復煎散)

한들 약초방 2016. 1. 4. 11:07

 내탁부전산(內托復煎散)

 

治陰疽蘊結於內恐侵藏府須內托以救其裏使榮衛俱行邪氣不令內侵蒼朮八兩防風一兩地骨皮黃芩赤茯赤芍藥人參黃白朮桂皮當歸防己甘草各五錢右先將蒼朮水五升煎至三升去朮入諸藥再煎至三四盞作三四次終日飮之又煎蒼朮滓如前再煎諸藥滓服之《正傳》

 

음저(陰疽) 속으로 몰려서 장부(藏府) 침범할 같이 것을 치료한다. 이때에는 반드시 탁리하여 영위(榮衛) 돌게 해서 사기가 속으로 침범하지 못하게 해야 한다.

삽주(창출) 300g, 방풍 40g, 지골피, 속썩은풀(황금), 벌건솔풍령(적복령), 함박꽃뿌리(적작약), 인삼, 흰삽주(백출), 단너삼(황기), 계피, 당귀, 방기, 감초 각각 20g.

위의 가운데서 먼저 삽주(창출) 5되에 넣고 3되가 되게 달인 다음 짜서 찌꺼기는 걷어내고 여기에 다른 약을 넣고 다시 34잔이 되게 달여 34번에 나누어 하루에 먹는다. 그리고 삽주(창출) 찌꺼기와 다른 약찌꺼기는 다시 같은 방법으로 달여 먹어야 한다[정전].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정전(正傳)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칠(卷七) 옹저(癰疽)

 

구성약재

감초(甘草): 18.75 g.     계지(桂枝): 18.75 g.     적복령(赤茯苓: 18.75 g.

당귀(當歸): 18.75 g.     방기(防己): 18.75 g.     적작약(赤芍藥): 18.75 g.

백출(白朮): 18.75 g.     황기(黃芪): 18.75 g.     지골피(地骨皮): 18.75 g.

인삼(人蔘): 18.75 g.     황금(黃芩): 18.75 g.     창출(蒼朮): 300 g.

방풍(防風): 37.5 g.

 

조제용법 ; 약재들 가운데서 먼저 창출을 물 9L에 넣고 5.4L가 되게 달인 다음 짜서 찌꺼기는 걷어내고 여기에 다른 약을 넣고 다시 3-4잔이 되게 달여 3-4번에 나누어 하루에 먹는다. 그리고 창출 찌꺼기와 다른 약찌꺼기는 다시 같은 방법으로 달여 먹어야 한다.

 

주치병증

음저(陰疽)

저(疽)의 하나. (1) 기육(肌肉)이나 근골에 고름집이 생겨 그곳의 몸 겉면이 현저하게 두드러지지 않는 음증(陰證)에 속하는 옹저(癰疽)를 말함. 무두저(無頭疽)와 같은 뜻으로 쓰임. 사독(邪毒)이 깊이 침범하였거나 한기(寒氣)가 옹체(壅滯)되어 기혈(氣血)이 통하지 못하여 발생한다. 생긴 부위에 따라 액저(腋疽), 늑저(肋疽), 부골저(附骨疽) 등으로 부른다. 음저(陰疽)의 일반적 증상은 초기에는 피부가 벌겋지도 않고 달아오르지도 않으며 편평하게 붓는다. 점차 깊이 눌러보면 단단한 것이 만져지고 약간 아프며 피부는 거무스름해진다. 오래되면 곪는데 때로 열이 나는 때도 있다. 곪아터진 다음에도 잘 낫지 않고 누공(瘻孔)이 생겨 멀건 고름이나 진물이 조금씩 흐른다. (2) 자개미에 생긴 저(疽)를 말함. 이때에는 횡현(橫痃)이라고 한다. [동의보감(東醫寶鑑)] <잡병편(雜病篇)> 제7권에서 "옹저(癰疽)의 음증(陰證)은 머리가 평평하며 안쪽은 색이 어둡고 아프지 않으며 전신과 환처에 열이 없다.(癰疽陰證, 頭平向內沈, 黯不痛, 渾身及患處不熱.)"라고 하였다.

이명 ; 무두저(無頭疽), 횡현(橫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