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2

탁리복령탕(托裏茯 湯)

한들 약초방 2016. 1. 4. 17:02

 탁리복령탕(托裏茯 )

 

 

 

治同上白茯當歸各一錢二分白芍藥防風桔梗五味子川芎麥門冬桂皮熟地黃甘草各七分右作一貼水煎服《精義》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흰솔풍령(백복령), 단너삼(황기), 당귀 각각 4.8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방풍, 도라지(길경), 오미자, 궁궁이(천궁), 맥문동, 계피, 찐지황(숙지황), 감초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정의].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정의(精義)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칠(卷七) 옹저(癰疽)

 

내용 ; 옹저(癰疽)가 이미 터진 후 농(膿)이 많을 때 쓰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甘草): 2.625 g.

계피(桂皮): 2.625 g.

길경(桔梗): 2.625 g.

당귀(當歸): 4.5 g.

맥문동(麥門冬): 2.625 g.

방풍(防風): 2.625 g.

백복령(白茯苓): 4.5 g.

백작약(白芍藥): 2.625 g.

숙지황(熟地黃): 2.625 g.

오미자(五味子): 2.625 g.

천궁(川芎): 2.625 g.

황기(黃芪): 4.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주치병증

부인혈기동통(婦人血氣疼痛)

부인의 기혈(氣血)이 잘 통하지 않아 시리고 아픈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