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전화독탕(仙傳化毒湯)♣
◈治癰疽發背乳癰一切無名腫毒未成立消已成立潰金銀花天花粉各一錢二分防風黃芩甘草節白芍藥赤茯巔貝母連翹白芷各一錢半夏七分乳香沒藥各五分右犫作一貼酒水相半煎服《回春》
◈옹저, 등창, 유옹(乳癰), 여러 가지 원인 모를 종독을 치료하는데 곪지 않은 것은 곧 삭게 하고 곪은 것은 곧 터지게 한다. 금은화, 하늘타리뿌리(천화분) 각각 4.8g, 방풍, 속썩은풀(황금), 감초(마디),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벌건솔풍령(적복령), 패모, 연교, 구릿대(백지) 각각 4g, 끼무릇(반하) 2.8g, 유향, 몰약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술과 물을 절반씩 섞은 데 넣어 달여 먹는다[회춘].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회춘(回春)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칠(卷七) 옹저(癰疽)
내용 ; 옹저(癰疽),등에 난 창(瘡),유옹(乳癰), 여러 가지 원인모를 종독(腫毒)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절(甘草節): 3.75 g. 금은화(金銀花): 4.5 g. 몰약(沒藥): 1.875 g. 반하(半夏): 2.625 g. 방풍(防風): 3.75 g. 백작약(白芍藥): 3.75 g. 백지(白芷): 3.75 g. 연교(連翹): 3.75 g. 유향(乳香): 1.875 g. 적복령(赤茯苓): 3.75 g. 천화분(天花粉: 4.5 g. 패모(貝母): 3.75 g. 황금(黃芩): 3.7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술과 물을 절반씩 섞은 데 넣어 달여 먹는다.
주치병증 옹저발배(癰疽發背) 옹저(癰疽)가 등에 생긴 것. 양방병증 ; 농양
유옹종독(乳癰腫毒) 유옹(乳癰)이 생겨 붓고 헌것을 말함 |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탁리복령탕(托裏茯 湯) (0) | 2016.01.04 |
---|---|
탁리황기탕(托裏黃 湯) (0) | 2016.01.04 |
내탁천금산(內托千金散) (0) | 2016.01.04 |
탁리소독산(托裏消毒散) (0) | 2016.01.04 |
천금내소산(千金內消散) (0) | 2016.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