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2

내탁천금산(內托千金散)

한들 약초방 2016. 1. 4. 16:29

 내탁천금산(內托千金散)

 

 

 

治一切癰疽惡瘡能內托金銀花人參黃赤芍藥當歸川芎瓜蔞根白芷桂皮桔梗防風甘草各一錢右作一貼水煎去滓入酒半盞調服日三服後瘡口有黑血出或遍身汗出是藥之功效也《丹心》

 

여러 가지 옹저, 악창을 치료하는 내탁작용을 한다.

금은화, 인삼, 단너삼(황기), 함박꽃뿌리(적작약), 당귀, 궁궁이(천궁), 하늘타리뿌리(과루근), 구릿대(백지), 계피, 도라지(길경), 방풍,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인 다음 찌꺼기를 버리고 잔을 타서 먹는다. 하루 3 쓴다. 먹은 다음에 헌데 구멍에서 검은 피가 나오거나 온몸에서 땀이 나면 효과가 있는 것이다[단심].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단심(丹心)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칠(卷七) 옹저(癰疽)

 

구성약재

감초(甘草): 3.75 g.

계피(桂皮): 3.75 g.

과루근(瓜蔞根): 3.75 g.

금은화(金銀花): 3.75 g.

길경(桔梗): 3.75 g.

당귀(當歸): 3.75 g.

방풍(防風): 3.75 g.

백지(白芷): 3.75 g.

인삼(人蔘): 3.75 g.

적작약(赤芍藥): 3.75 g.

천궁(川芎): 3.75 g.

황기(黃芪): 3.7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인 다음 찌꺼기를 버리고 술 반 잔을 타서 먹는다. 하루 3번 쓴다. 먹은 다음에 종기 구멍에서 검은 피가 나오거나 온몸에서 땀이 나면 효과가 있는 것이다.

 

주치병증

옹저악창(癰疽惡瘡)

옹저가 심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