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2

천금내소산(千金內消散)

한들 약초방 2016. 1. 4. 13:17

 천금내소산(千金內消散)

 

 

 

治癰疽及腸癰癰便毒初起卽消已腫卽潰血從大便中出大黃三錢金銀花二錢當歸尾酒洗一錢半赤芍藥白芷木鱉子去殼沒藥乳香角刺白蠶瓜蔞仁天花粉各一錢甘草節五分穿山甲三大片蛤粉炒右作一貼酒水相半煎服《醫鑑》

옹저(癰疽), 장옹(腸癰), 두옹( ), 변독(便毒) 치료하는데 초기에는 삭아지게 하고 곪았을 때에는 터지게 하여 궂은 피가 대변으로 나오게 한다.

대황 12g, 금은화 8g, 당귀잔뿌리(술에 씻은 ) 6g, 함박꽃뿌리(적작약), 구릿대(백지), 목별자(껍질을 버린 ), 몰약, 유향, 주염나무가시(조각자), 백강잠, 하늘타리씨(과루인), 하늘타리뿌리(천화분) 각각 4g, 감초(마디) 2g, 천산갑( 것으로 조가비가루와 함께 닦은 ) 3.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과 술을 절반씩 섞은 넣어서 달여 먹는다[의감].

 

此方與仙方活命飮略同《醫鑑》

  처방은 선방활명음(仙方活命飮) 대체로 같다[의감].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의감(醫鑑)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칠(卷七) 옹저(癰疽)

 

구성약재

감초절(甘草節): 1.875 g.

과루인(瓜蔞仁): 3.75 g.

금은화(金銀花): 7.5 g. 술에 씻는다.

대황(大黃): 11.25 g.

목별자(木鼈子): 3.75 g. 껍질을 제거한다.

몰약(沒藥): 3.75 g.

백강잠(白殭蠶): 3.75 g.

백지(白芷): 3.75 g.

유향(乳香): 3.75 g.

적작약(赤芍藥): 3.75 g.

조각자(皂角刺): 3.75 g.

천산갑(穿山甲): 3 조각(片). 큰 것으로 조가비가루와 함께 볶는다.

천화분(天花粉): 3.75 g.

당귀미(當歸尾): 5.62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과 술을 절반씩 섞은데에 넣어서 달여 먹는다.

 

주치병증

두옹(痘癰)

마마를 앓은 뒤 생기는 옹. 대체로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옹은 먼저 손발과 맥락이 있는 곳에 생기는데 혹은 벌겋게 붓거나 딴딴하고 아픈 곳이 있으면 다 옹이 발생하려는 징조이다. 마마가 낫지 않았으면 치료하지 말 것이다(凡痘癰必先手足及脈絡之處或有紅腫或有硬痛處皆發癰之兆也痘未愈則不須治).

양방병증 ; 종기증

 

변독(便毒)

횡현(橫痃) 소복하(少腹下)와 서혜부(鼠蹊部)에 생긴 멍울. 성교에 너무 힘을 썼거나, 혹은 욕정을 참고 배설하지 못하여 정(精)과 혈(血)이 뭉쳐 중도(中途)에 막혀 있거나, 심하게 화를 내어 간(肝)을 손상하여 경락에 기혈이 막혀 생기거나, 양매창이 전염되어 생기기도 함. 살구씨 만한 멍울이 생겨 점차 커져 오리알 만해지고 딴딴하며 아프고 미열(微熱)이 있으며 붉지는 않음. 한열(寒熱)이 오가고, 터지면 잘 아물지 않음. 왼쪽에 생긴 게 어구(魚口), 오른쪽에 생긴 것이 변독(便毒)이 됨.

양방병증 ; 종기증

 

옹저(癰疽)

(1)기혈(氣血)이 독사(毒邪)에 의해 막혀서(阻滯) 기육(肌肉)과 골(骨) 사이에서 발생하는 창종(瘡腫). (2)옹(癰)과 저(疽)를 묶어 일컬음. 창(瘡) 구멍이 얕으면서 넓은 것이 옹(癰)으로 양(陽)에 속하며, 깊으면서 오래된 것이 저(疽)로 음(陰)에 속한다. (3)큰 부스럼.

양방병증 ; 농양

 

장옹(腸癰)

창자 속에 옹(癰)이 생기고 아울러 배가 아픈 병증. 음식을 먹을 때 절제를 하지 못하였거나, 벌컥 화를 내고 근심 걱정을 하거나, 넘어져 부딪치고 급하게 달리는 등으로 인하여 위장(胃腸)이 운화(運化)하는 데에 제 기능을 잃어 습열(濕熱)이 안에 막히므로 일어난다. [금궤요략(金匱要略)]에서 "장옹(腸癰)은 아랫배가 부어 막혀, 누르면 아프며 임병(淋病)과 같은 것으로, 소변은 잘 나오나 때때로 열이 나면서 저절로 땀이 흐르다가 다시 추위를 타는데, 그 맥(脈)이 지긴(遲緊)하면 곪지 않았으므로 건드려서 피를 내야 한다. 맥이 홍삭(洪數)하면 이미 곪은 것이므로, 건드려서는 안 된다. 대황목단피탕(大黃牧丹皮湯)을 주된 처방으로 쓴다.(腸癰者, 少腹腫痞, 按之卽痛, 如淋, 小便自調, 時時發熱, 自汗出, 復惡寒, 其脈遲緊者, 膿未成, 可下之 當有血, 脈洪數者, 膿巳成, 不可下也, 大黃牡丹皮湯主之)"라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