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리소독산(托裏消毒散) ♣
◈凡癰疽服此則未成卽消已成卽潰能壯氣血使毒氣不致內攻肌肉易生金銀花陳皮各三錢黃妉鹽水炒天花粉各二錢防風當歸川芎白芷桔梗厚朴穿山甲炒焦爣角刺炒各一錢右犫作二貼每一貼酒水相半煎服病在下只用水煎《醫鑑》
◈여러 가지 옹저를 치료하는데 곪지 않은 것은 곧 삭게 하고 곪은 것은 곧 터지게 하며 기혈(氣血)을 든든하게 하여 독기(毒氣)가 속으로 몰리지 못하게 하고 새살이 빨리 살아나오게 한다. 금은화, 귤껍질(陳皮) 각각 12g, 단너삼(황기, 소금물에 축여 볶은 것), 하늘타리뿌리(천화분) 각각 8g, 방풍, 당귀, 궁궁이(천궁), 구릿대(백지), 도라지(길경), 후박, 천산갑(눋도록 닦은 것), 주염나무가시(닦은 것)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2첩으로 한다. 1첩씩 물과 술을 절반씩 섞은 데 넣고 달여 먹는데 병이 아랫도리에 있으면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 출처 ; 의종금감(醫宗金鑑)(1742년) 편명 ; 산보명의방론(刪補名醫方論)-권오(卷五)
구성약재 감초(甘草): 3.75g 금은화(金銀花): 3.75g 당귀(當歸): 3.75g 백지(白芷): 3.75g 백출(白朮): 3.75g 복령(茯苓): 3.75g 연교(連翹): 3.75g 인삼(人蔘): 3.75g 천궁(川芎): 3.75g 황기(黃芪): 3.75g 백작(白芍): 3.75g
조제용법 ; 달여먹는다(水煎服).
주치병증 비위약(脾胃弱) 비위(脾胃)가 약한것
영위불화(營衛不和) 영음(營陰)과 위양(衛陽)이 생리적으로 서로 협조하고 의존하는 관계가 파탄된 단계로 일반적으로 표증자한(表證自汗)의 병리. 위기가 성하고 영음이 약하면 발열 없이 때로 자한(自汗)이 남. 위기가 약하고 영음이 성하면 때로 발열하고 자한이 남. 열이 없으면 땀이 안 남.
창양(瘡瘍) 겉에 생기는 여러 가지 외과 질환과 피부 질환을 통틀어 말함. 줄여서 창(瘡)이라고 한다. [소문(素問)] <육원정기대론(六元正紀大論)>에 나옴. 예전에는 온갖 외과 및 피부과 질환을 통틀어 창양(瘡瘍)이라고 하였다. 창양은 살갗에 생기는 종양(腫瘍), 궤양(潰瘍), 옹(癰), 저(疽), 정창(疔瘡), 절종(癤腫), 유주(流注), 유담(流痰), 나력(瘰癧) 내지는 온갖 피부병 등을 포괄적으로 일컫는 말이다. 대부분 독사(毒邪)가 속으로 쳐들어가 사열(邪熱)이 혈(血)을 태우므로 기혈(氣血)이 엉겨 머물러 생긴다 |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전화독탕(仙傳化毒湯) (0) | 2016.01.04 |
---|---|
내탁천금산(內托千金散) (0) | 2016.01.04 |
천금내소산(千金內消散) (0) | 2016.01.04 |
승양익위산(升陽益胃散) (0) | 2016.01.04 |
가미십기산(加味十奇散) (0) | 2016.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