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농산(打膿散) ♣
◈治癰疽不放膿出大黃五錢芒硝一錢半金銀花黃芩黃連黃栢當歸尾各五分甘草節穿山甲焦各三分半木鱉子虛者三箇實者五箇右犫作一貼水煎五更服大便見膿小便見血爲效《入門》
◈옹저 때 고름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대황 20g, 망초 6g, 금은화, 속썩은풀(황금), 황련, 황백, 당귀(잔뿌리) 각각 2g, 감초마디, 천산갑(닦은 것) 각각 1.4g, 목별자(허한 데는 3개, 실한 데는 5개).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날샐 무렵에 먹으면 대변으로는 고름이 섞여 나오고 오줌으로는 피가 섞여 나오고 효과가 난다[입문].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입문(入門)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칠(卷七) 옹저(癰疽)
내용 ; 옹저(癰疽)에 농즙(膿汁)이 배출되지 않을 때 쓰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절(甘草節): 1.313 g. 금은화(金銀花): 1.875 g. 대황(大黃): 18.75 g. 망초(芒硝): 5.625 g. 목별자(木鼈子): 허약할 경우에 3개를 쓰고, 반대할 경우에 5개를 쓴다. 천산갑(穿山甲): 1.313 g. 볶는다. 황금(黃芩): 1.875 g. 황련(黃連): 1.875 g. 황백(黃柏): 1.875 g. 당귀미(當歸尾): 1.87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날샐 무렵에 먹으면 대변으로는 고름이 섞여 나오고 소변으로는 피가 섞여 나오며 그래야 효과가 난다.
주치병증 옹저(癰疽) (1)기혈(氣血)이 독사(毒邪)에 의해 막혀서(阻滯) 기육(肌肉)과 골(骨) 사이에서 발생하는 창종(瘡腫). (2)옹(癰)과 저(疽)를 묶어 일컬음. 창(瘡) 구멍이 얕으면서 넓은 것이 옹(癰)으로 양(陽)에 속하며, 깊으면서 오래된 것이 저(疽)로 음(陰)에 속한다. (3)큰 부스럼. 양방병증 ; 농양 |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독병(追毒餠) (0) | 2016.01.06 |
---|---|
피부를 상하게 하지 않고 고름을 빼내는 법 (0) | 2016.01.06 |
사농환(射膿丸) (0) | 2016.01.06 |
용천고(涌泉膏) (0) | 2016.01.06 |
사향산(麝香散) (0) | 2016.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