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창산(斂瘡散) ♣
◈軟滑石禭花蘂石禭鷄內金各五錢白奁三錢半白斂二錢半黃丹乳香各一錢右爲末乾敄神效《直指》
◈연한 곱돌(활석, 달군 것), 화예석(달군 것), 계내금 각각 20g, 백급 14g, 가위톱(백렴) 10g, 황단, 유향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마른 채로 뿌리면 잘 낫는다[직지].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직지(直指)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칠(卷七) 옹저(癰疽)
내용 ; 옹저(癰疽)에 붙이는 약으로 누런 진물이나 피고름이 멎으면 2~3일에 한번씩 갈아붙이는 처방임
구성약재 계내금(鷄內金): 18.75 g. 백급(白芨): 13.125 g. 백렴(白薟): 9.375 g. 유향(乳香): 3.75 g. 화예석(花蕊石): 18.75 g. 달군다. 활석(滑石): 18.75 g. 달군다. 황단(黃丹): 3.7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가루내어 마른 채로 뿌리면 잘 낫는다.
주치병증 옹저(癰疽) (1)기혈(氣血)이 독사(毒邪)에 의해 막혀서(阻滯) 기육(肌肉)과 골(骨) 사이에서 발생하는 창종(瘡腫). (2)옹(癰)과 저(疽)를 묶어 일컬음. 창(瘡) 구멍이 얕으면서 넓은 것이 옹(癰)으로 양(陽)에 속하며, 깊으면서 오래된 것이 저(疽)로 음(陰)에 속한다. (3)큰 부스럼. 양방병증 ; 농양 |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옥산(紅玉散) (0) | 2016.01.07 |
---|---|
도화산(桃花散) (0) | 2016.01.07 |
나미고( 米膏) (0) | 2016.01.07 |
선응고(善應膏) (0) | 2016.01.07 |
운모고(雲母膏) (0) | 2016.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