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옥산(紅玉散) ♣
◈治諸瘡生肌肉寒水石不以多少鹽泥包嚸火禭右爲末入黃丹少許敄瘡上《丹心》 ◈여러 가지 헌데를 치료하는데 새살이 살아나게 한다. 한수석 적당한 양. 위의 약을 소금물에 이긴 진흙으로 싸서 불에 구워 가루낸다. 다음 황단을 조금 섞어서 헌데에 뿌린다[단심].
◈諸惡瘡血出不止寒水石細末敄之立止《東垣》 ◈여러 가지 악창으로 피가 멎지 않고 나올 때에는 한수석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뿌리면 곧 멎는다[동원].
=================================================================================== 출처 ; 태평혜민화제국방(太平惠民和劑局方)(11세기) 편명 ; 권팔(卷八) 치창종상절(治瘡腫傷折)
구성약재 한수석(寒水石): 75 g. 숯불로 붉게 태우고 식힌 다음에 잘게 간다. 황단(黃丹): 18.7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가늘게 갈아 창구에 넣어서 만금고(萬金膏)로 붙인다. 하루에 한번씩 붙인다. 한번 붙여도 효과가 좋다.
주치병증 창구(創口) 창, 총검, 칼 등에 의해 다쳐서 생긴 구멍 이명 ; 창상(創傷)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의감(醫鑑) 편명 ; 외형편(外形篇) 권일(卷一) 면(面)
구성약재 감송(甘松): 3.75 g. 곽향(藿香): 7.5 g. 목택(木澤): 3.75 g. 밀타승(密陀僧): 3.75 g. 백급(白芨): 1.125 g. 백복령(白茯苓): 5.625 g. 백정향(白丁香): 3.75 g. 백지(白芷): 7.5 g. 삼내(三奈): 3.75 g. 씨 세신(細辛): 3.75 g. 장뇌(樟腦): 1.875 g. 저아조각(猪牙皂角): 7.5 g. 천화분(天花粉): 5.625 g. 행인(杏仁): 3.7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가루내어 잠잘 때에 침이나 젖에 개서 얼굴에 발랐다가 이튿날 아침에 더운물로 씻어 버리면 얼굴이 옥같이 고와진다.
주치병증 주자(酒刺) 땀구멍에 기름기가 지나치게 스며 나와 일으킨 피부병. 주자(酒刺), 폐풍분자(肺風粉刺)라고도 한다. 폐(肺)와 위(胃)에 열이 뭉쳤다가 올라가 얼굴을 훈증(熏蒸)하거나 혈(血)에 열이 있어 뭉쳐 머무르므로 생긴다. 또한 지나치게 좋은 맛과 진한 맛만 먹어도 생긴다. 살갗에 좁쌀처럼 생긴 두드러기가 나고 검은 꼭지가 솟아오르기도 하며, 심하면 빛깔이 빨가면서 부어 아프고, 짜서 터지면 하얗고 끈끈한 진이 나온다. 조금 가려우며, 후비어 독이 옮으면 고름집이 잡혀 뾰루지나 기름진 혹 같은 것이 생긴다 이명 ; 분자(粉刺), 폐풍분자(肺風粉刺)
풍자(風刺) 얼굴에 여드름 같은 것이 돋는 피부병. 빛이 여드름보다 좀 붉다. [동의보감(東醫寶鑑)] <외형편(外形篇)> 제1권에서 "손과 발의 6개 양경맥(陽經脈)은 모두 머리로 올라가는데,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만은 코뼈가 맞닿은 곳에서 시작하여 이로 들어갔다가 입술을 돌아 협거(頰車)를 지나 올라가서 귀 앞에 있는 객주인(客主人; 혈이름)을 지나 올라가 얼굴의 여기저기로 통한다. 그러므로 얼굴병은 주로 위(胃)에 속한다. 위에 풍열(風熱)이 들어오면 얼굴이 붓거나 얼굴과 코에 자줏빛이 나고, 혹 풍자(風刺)나 두드러기가 돋고 얼굴에 열이 나거나 시리기도 한데 그 경맥에 나타나는 증상에 따라 치료하여야 한다.(手足六陽之經, 雖皆上至頭, 而足陽明胃之脈, 起於鼻交頞中, 入齒挾口, 環脣倚頰車, 上耳前過客主人, 維絡于面上, 故面病專屬於胃, 其或風熱乘之, 則令人面腫, 或面鼻色紫, 或風刺癮疹, 或面熱, 或面寒, 隨其經證而治之)"라고 하였다.
흑염반자(黑黶斑子) 검은 사마귀(黑黶)와 검버섯(斑子)을 아울러 이르는 말 |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향빈랑산(木香檳 散) (0) | 2016.01.07 |
---|---|
생기산(生肌散) (0) | 2016.01.07 |
도화산(桃花散) (0) | 2016.01.07 |
염창산(斂瘡散) (0) | 2016.01.07 |
나미고( 米膏) (0) | 2016.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