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2

옥촉산(玉燭散)

한들 약초방 2016. 1. 7. 15:06

 옥촉산(玉燭散)

 

 

 

治便毒腫痛大黃芒硝各二錢川芎當歸赤芍藥生地黃甘草各一錢右作一貼水煎空心服《正傳》

 

변독으로 붓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대황, 망초 각각8g, 궁궁이(천궁), 당귀, 함박꽃뿌리(작약), 생지황, 감초 각각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빈속에 먹는다[정전].

 

===================================================================================

출처 ; 의학입문(醫學入門)(1575년)

편명 ; 외집권3(外集卷三),통용고방시괄(通用古方詩括),부인(婦人)

 

구성약재

당귀(當歸):

대황(大黃):

박초(朴硝):

백작약(白芍藥):

숙지황(熟地黃):

지실(枳實):

천궁(川芎):

후박(厚朴):

 

조제용법 ; 약들을 가루내어 사용한다.

 

주치병증

소갈(消渴)

다음(多飮), 다식(多食), 다뇨(多尿)하며 소변이 단 병증. 소갈(痟渴)이라고도 쓰고 소단(消癉)이라고도 한다. [소문(素問)] <기병론(奇病論)>에 나옴. (1) 다음(多飮), 다식(多食), 다뇨(多尿)가 특징인 병증. 대부분 기름지고 단 음식물을 과식하거나 음식에 대한 무절제, 또는 정지실상(情志失常), 노일실도(勞逸失度)로 인한 장부조열(臟腑燥熱)로 음허화왕(陰虛火旺)하게 되어 나타난다. 주로 자음(磁陰), 윤조(潤燥), 강화(降火)로써 치료하며, 병기(病機)와 증상, 병세 발전의 차이에 따라 상소(上消), 중소(中消), 하소(下消)의 3가지로 구분한다. [증치회보(證治滙補)] <소갈장(消渴章)>에 "상소(上消)는 심(心) 때문이다. 많이 마시고 적게 먹으며 대변은 평소 때나 다름없되 소변은 양이 많으면서 자주 마렵다. 중소(中消)는 비(脾) 때문이다. 목이 잘 마르고 배가 잘 고프며 잘 먹는데도 마르고 소변이 붉으면서 대변이 막힌다. 하소(下消)는 신(腎) 때문이다. 정(精)이 말라 수(髓)가 고갈되니 물을 마셔 스스로 구하고자 하나 마시는 즉시 소변으로 나오는데 소변이 마치 기름처럼 뿌옇다.(上消者, 心也. 多飮少食, 大便如常, 溺多而頻. 中消者, 脾也. 善渴善飢, 能食而瘦, 溺赤便閉. 下消者, 腎也. 精枯髓竭. 引水自救, 隨卽溺下, 稠濁如膏.)"고 하였다. 이 증은 당뇨병, 요붕증(尿崩證)에서 나타날 수 있다. (2) 다음(多飮), 다뇨(多尿), 요첨(尿甛; 소변의 맛이 단 증상)이 특징인 병증. [외대비요(外臺秘要)] 제11권 <소중소갈신소방(消中消渴腎消方)>에서 "목이 말라 물을 많이 마시니 소변을 자주 보는데 소변이 기름기가 없으면서 밀기울 떡처럼 단 것이 소갈병(消渴病)이다.(渴而飮水多, 小便數, 無脂似麩片甛者. 皆是消渴病也.)"라고 하였다. 이 증은 현대의 당뇨병과 같다. (3) 구갈(口渴)을 말함. [상한론(傷寒論)] <변태양병맥증병치(辨太陽病脈證幷治)>에서 "태양병(太陽病)을 발한(發汗)한 후에…… 만약 맥(脈)이 부(浮)하고, 소변불리(小便不利)하며, 미열(微熱)이 있고, 소갈이 계속되는 경우에는 오령산(五苓散)으로 치료한다.(太陽病, 發汗後, ……若脈浮, 小便不利, 微熱, 消渴者, 五苓散主之)"라고 하였다. (4) 소갈병(消渴病)의 일종. 목이 마르면서 소변량이 적은 것이 주된 증상이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제53권에 "소갈(痟渴)은 목이 마름에도 불구하고 소변을 보지 못하는 것이다.(夫痟渴者, 爲雖渴而不小便也.)"라고 하였다.

양방병증 ; 요붕증; 다음다갈증; 혼수를 동반; 눈 합병증을 동반; 상세불명의 당뇨병; 인슐린-의존 당뇨병; 인슐린-비의존 당뇨병; 신경학적 합병증을 동반; 영양실조와 관련된 당뇨병; 기타 명시된 합병증을 동반; 말초순환장애 합병증을 동반

 

위열(胃熱)

열사(熱邪)가 위를 침범하거나 지나치게 익히고 태운 음식을 과식하여 위(胃)에 조열증(燥熱證)이 생긴 병증. 위화(胃火), 위열화화(胃熱化火)라고도 한다. 조갈이 나고, 입에서 냄새가 나며, 조잡(嘈雜) 증세와 쉬이 배가 고프고 가슴앓이가 있으며, 소변이 적고 붉은색이며, 대변이 단단한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위열(胃熱)이 화(火)로 화하면 입 속이 헐고, 잇몸이 붓고 아픈 증상 등이 생기는데 처음에는 청위사화(淸胃瀉火)를 하고 후에 위음(胃陰)을 자양(滋養)시킨다.

 

조갈(燥渴)

구조(口燥)로 일어나는 갈증. 폐위(肺胃)의 열, 陰虛(陰虛)로 진액이 부족해서 생김. 또 비허(脾虛), 신허(腎虛), 혈허(血虛), 수습(水濕), 담음(痰飮), 어혈(瘀血), 비허(脾虛)에 의해 수액(水液)을 운륜(運輪)하지 못해 일어남. 폐위(肺胃)의 열(熱)로 생기면,갈(渴)해서 냉음(冷飮)하고,변비(便秘), 요적(尿赤), 설태황(舌苔黃), 맥삭(脈數)을 나타냄. 음허(陰虛)에 의하면 인건구조(咽乾口燥), 번열(煩熱), 순홍(脣紅), 설(舌)에 윤기가 없고,맥세(脈細), 혈허(血虛)에 의하면 구순담백(口脣淡白), 안면창백(顔面蒼白), 두훈목현(頭暈目眩), 설담(舌淡), 맥(脈)은 허(虛), 규(芤). 수습정류(水濕停留)에 의하면 갈(渴)해도 물을 안 마시고, 먹으면 흉민(胸悶)하고 답답함. 소변불리(小便不利), 태니(苔膩), 맥유(脈濡)을 나타낸다.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의학입문(醫學入門)(1575년)

편명 ; 외집권3(外集卷三), 통용고방시괄(通用古方詩括), 부인(婦人)

 

내용 ;

 

구성약재

 

조제용법 ; 약들을 가루내어 사용한다.

 

주치병증

변옹(便癰)

혈산(血疝), 변독(便毒)과 같음. 왼쪽 서혜부(鼠蹊部)에 생긴 옹저(癰疽) 성교에 너무 힘을 썼거나, 혹은 욕정을 참고 배설하지 못하여 정(精)과 혈(血)이 뭉쳐 중도(中途)에 막혀 있거나, 심하게 화를 내어 간(肝)을 손상하여 경락에 기혈이 막혀 생기거나, 양매창이 전염되어 생기기도 함. 초기에 살구씨 만하다가 커져 오리알 만해지고 몹시 딴딴하며 벌겋게 붓고 화끈거리며, 아프거나 아프지 않으며 열도 나지 않음. 곪아서 터진 후 구멍이 잘 아물지 않아 생선 주둥이 같다 해서 어구(魚口) 또는 어구창이라고 함.

양방병증 ; 종기증

 

월경불통(月經不通)

과로하여 기혈을 손상하거나, 본래 기가 허약하거나, 혹은 풍랭(風冷)이 포중(胞中)에 들어가 충임맥(衝任脈)을 손상하거나, 간경(肝經)에 풍열(風熱)이 있거나, 신수부족(腎水不足)으로 혈해(血海)가 부족해져 생김. 생리적 경폐 외에 18세 후에도 월경이 없거나, 월경이 있다가 6개월 이상 없는 것을 말함.

이명 ; 경폐(經閉), 월경불행(月經不行)

 

징하(癥瘕)

뱃속에 덩어리가 생기는 병증. 일반적으로 단단하면서 이동하지 않고 일정한 곳이 아픈 것을 징(癥)으로 보고, 때없이 뭉쳤다 흩어졌다 하며 아픈 곳이 일정하지 않은 것을 가(瘕)로 보았다. [성제총록(聖濟總錄)] <적취문(積聚門)>에서는"단단이 붙박혀서 밀어도 이동하지 않는 것이 징(癥)이다.(牢固推之不移者癥也.)" "뱃속에서 떠돌아다니며 눌러 보면 형상이 있는 것을 가(瘕)라 한다.(浮流腹內, 按抑有形, 謂之瘕.)"라고 하였으며, 또한 징가(癥瘕)와 적취(積聚)를 같은 종류로 보아 "징가(癥瘕)와 결벽(結癖)은 적취(積聚)의 다른 이름이다. 증상이 한결같지는 않으나 그 근본을 캐어 보면 대략 비슷하다.(癥瘕結癖者, 積聚之異名也. 證狀不一, 原其根本, 大略相類.)"라고 하였다

 

===================================================================================

출처 ; 경악전서(景岳全書)-도서출판한미의학 자화(子和)

편명 ; 우집 고방팔진 공진(宇集 古方八陣 攻陣)

 

구성약재

감초(甘草):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대황(大黃):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백작약(白芍藥):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지황(地黃):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조제용법 ; 잘게 썰어 물에 달여 복용한다. 심하면 대황을 배용한다(右㕮咀 水煎服 甚者倍用大黃)

 

주치병증

월경불통(月經不通)

과로하여 기혈을 손상하거나, 본래 기가 허약하거나, 혹은 풍랭(風冷)이 포중(胞中)에 들어가 충임맥(衝任脈)을 손상하거나, 간경(肝經)에 풍열(風熱)이 있거나, 신수부족(腎水不足)으로 혈해(血海)가 부족해져 생김. 생리적 경폐 외에 18세 후에도 월경이 없거나, 월경이 있다가 6개월 이상 없는 것을 말함.

이명 ; 경폐(經閉), 월경불행(月經不行)

 

혈체(血滯)

(1) 혈액순환이 삽체(澁滯)된 것. (2) 월경이상. 산후에 오로(惡露)가 깨끗이 안 내린 데에 풍한(風寒), 습랭(濕冷), 서열(暑熱)을 외감(外感)하거나, 음식내상(飮食內傷)이나 칠정울결(七情鬱結)로 담(痰)과 어혈(瘀血)이 생겨 발생함. 월경폐지면 얼굴이 암자색을 띠고, 하복부 동통이 있는데 손으로 누르면 더 심하며 통증이 옆구리까지 미침.

 

혈허(血虛)

체내의 혈이 부족해 생긴 병증. 사려과도, 행방(行房), 기생충, 장부의 허손, 기허(氣虛) 등으로 생혈(生血) 기능이 장애 받아 일어남. 남자는 토혈(吐血), 사혈(瀉血)하고 부인은 산후붕루(産後崩漏)가 있음. 혹은 실도망행(失道妄行)으로 안화두훈(眼花頭暈)이 있고, 저녁에 열이 나고, 피부가 거칠어지며, 얼굴이 허옇고, 맥이 세(細)하고 무력(無力)함. 심하면 건혈로(乾血勞)가 됨.

 

작통(作痛)

통증이 생기는 것.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쌍해산(雙解散)   (0) 2016.01.07
신기산(神奇散)   (0) 2016.01.07
소독음(消毒陰)  (0) 2016.01.07
모려대황탕(牡蠣大黃湯)   (0) 2016.01.07
소방산(蘇方散)   (0) 2016.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