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독음(消毒陰) ♣
◈治便毒三四日可消爣角刺金銀花防風當歸大黃瓜蔞仁甘草各一錢三分右犫作一貼水酒各半煎服仍頻提疦頂中髮立效《丹心》
◈변독을 치료하는데 3-4일 쓰면 삭는다. 주염나무가시(조각자), 금은화, 방풍, 당귀, 대황, 하늘타리씨(과루인), 감초 각각 5.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과 술을 각각 절반씩 섞은 데 넣고 달여서 먹은 다음 정수리의 머리털을 자주 잡아당기면 잘 낫는다[단심].
=================================================================================== 출처 ; 수세보원(壽世保元)(17세기초) 편명 ; 신집팔권(辛集八卷)
구성약재 감초(甘草): 1.875 g. 금은화(金銀花): 1.125 g. 방풍(防風): 1.875 g. 서각(犀角): 0.75 g. 깍아서 분말 낸다. 서점자(鼠粘子): 1.875 g. 볶는다. 형개수(荊芥穗): 1.875 g.
조제용법 ; 약재를 썰어서 물에 끓여 따뜻하게 복용한다.
주치병증 구갈(口渴) 갈증. 입안과 목이 마르면서 물을 많이 먹는 증상. 폐위(肺胃)의 열로, 또는 수분대사가 나빠 수분이 올라오지 못하여 생김. 더운 물을 찾으면 음증, 찬물을 찾으면 양증에 속함. 구조인건(口燥咽乾) 참조. 양방병증 ; 구갈증
구취(口臭)
입안에서 냄새가 나는 증. 구강내의 불결, 비위열(脾胃熱), 식체(食滯), 허화울열(虛火鬱熱)로 발생함. 또 치옹(齒癰), 폐옹(肺癰)이 있어도 생김. 비열(脾熱)로 생기면 입이 쓰고 목구멍이 마르며, 찬 것을 좋아하고, 소변은 적색이며 소량이고, 대변이 굳고, 혀가 진홍색이며 설태는 황색임. 위열(胃熱)로 생기면 입이 쓰고, 목구멍이 부음. 식체면 쉰 냄새가 나는 트림을 하고, 상복통(上腹痛)이 있고, 설태는 후니(厚膩)하고, 맥은 활(滑)함. 허화(虛火)로 생기면 입에 비린내가 나고, 목구멍이 마르고, 식욕이 없고, 오심번열이 있고, 설강태건(舌絳苔乾)하고, 맥은 삭(數)함. 양방병증 ; 구취; 입냄새
아은출혈(牙은出血) 외상을 입지 않고 잇몸에서 피가 나오는 병증. 신(腎)은 골(骨)을 주관하고, 치아는 골(骨)의 나머지이며 또 위맥(胃脈)은 위쪽 잇몸에 닿고 대장맥(大腸脈)은 아래쪽 잇몸에 닿으므로 잇몸은 모두 양명(陽明)에 속한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위화(胃火)가 상부로 타오르거나 신(腎)이 허하여 화(火)가 왕성하면 이 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대개 위화실증(胃火實證)에서는 입이 마르면서 구취가 나고 변비가 생기며 잇몸이 붓고, 열이 나며 맥상(脈象)이 홍삭(洪數)한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이명 ; 치뉵(齒衄), 아치출혈(牙齒出血), 아뉵(牙衄), 아혈(牙血), 치간혈출(齒間血出), 아선(牙宣) 양방병증 ; 치은출혈
인후종통(咽喉腫痛) 목구멍이 붓고 아픈 병증. 목구멍에 생기는 질환의 주된 증상이다. 화(火) 때문에 일어나는 것으로 허(虛)와 실(實)로 나뉘는데, 허화(虛火)인 경우는 환자가 평소에 몸에 음(陰)이 이지러졌거나 과도한 성생활로 신음(腎陰)이 허해져 수(水)가 화(火)를 통제하지 못하게 되어 허화가 위로 타오르기 때문이고, 실화(實火)인 경우는 폐경(肺經)에 열이 뭉쳤거나, 지나치게 느끼하고 진하며 지지고 볶고 굽고 튀긴 음식을 먹어 비위(脾胃)에 열이 쌓였다가 폐계(肺係)를 태우기 때문이다. 목구멍 입구의 안쪽 또는 바깥쪽이 부어 오르면서 쑤시고 아프거나 음식을 삼키기 불편하다. 이명 ; 후종(喉腫) 양방병증 ; 인후두염; 급성 인두염
여독미해(餘毒未解) 남은 독(毒)이 해결되지 않음.
두면신체다생창절(痘面身體多生瘡瘡癤) 머리, 얼굴, 몸의 피부의 많은 부분이 얇게 헌 것.
=================================================================================== 출처 ; 동의사상신편(東醫四象新編)(1929년) 편명 ; 소양인(少陽人)
구성약재 방풍(防風): 1.875 g. 우방자(牛蒡子): 7.5 g. 형개수(荊芥穗): 3.75 g.
조제용법 ; 약들을 썰어서 물에 끓여 먹는다.
주치병증 두독(痘毒) 천연두를 일으키는 독(毒)
반진(斑疹) 열병(熱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살갗에 피어나는 반(斑)과 진(疹). 양방병증 ; 두드러기
옹저(癰疽) (1)기혈(氣血)이 독사(毒邪)에 의해 막혀서(阻滯) 기육(肌肉)과 골(骨) 사이에서 발생하는 창종(瘡腫). (2)옹(癰)과 저(疽)를 묶어 일컬음. 창(瘡) 구멍이 얕으면서 넓은 것이 옹(癰)으로 양(陽)에 속하며, 깊으면서 오래된 것이 저(疽)로 음(陰)에 속한다. (3)큰 부스럼. 양방병증 ; 농양 |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기산(神奇散) (0) | 2016.01.07 |
---|---|
옥촉산(玉燭散) (0) | 2016.01.07 |
모려대황탕(牡蠣大黃湯) (0) | 2016.01.07 |
소방산(蘇方散) (0) | 2016.01.07 |
변웅을 치료한다 (0) | 2016.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