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념금(一捻金) ♣
◈治煿疽卽賽命丹(方見上)爲末每服二三分溫酒調下如服賽命丹後毒未盡起再用此藥催之服此藥後身凉者卽死《入門》
◈정저( 疽)를 치료한다. 이 약이 바로 새명단(賽命丹) (賽命丹, 처방은 위에 있다)이다. 가루내어 한번에 0.8-1.2g씩 데운 술에 타서 먹는다. 새명단(賽命丹) 을 먹은 다음에도 독이 없어지지 않으면 다시 이 약을 써야 한다. 이 약을 먹은 다음 몸이 차지면 죽을 수 있다[입문].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입문(入門)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팔(卷八) 옹저(癰疽)
구성약재 담반(膽礬): 11.25 g. 몰약(沒藥): 11.25 g. 백강잠(白殭蠶): 22.5 g. 백반(白礬): 1.875 g. 신석 조금과 함께 구워 신석은 버린 다. 사향(麝香): 1.875 g. 선퇴(蟬退): 22.5 g. 세신(細辛): 22.5 g. 오공(蜈蚣): 1.875 g. 용뇌(龍腦): 1.875 g. 웅황(雄黃): 11.25 g. 유향(乳香): 11.25 g. 저아조각(猪牙皂角): 22.5 g. 전갈(全蝎): 22.5 g. 주사(朱砂): 11.25 g. 천산갑(穿山甲): 22.5 g. 편뇌(片腦): 1.875 g. 혈갈(血竭): 11.25 g. 섬수(蟾酥): 11.25 g.
조제용법 ; 이 약이 바로 새명단(賽命丹)이다. 가루내어 한번에 0.75-1.125g씩 데운 술에 타서 먹는다. 새명단을 먹은 다음에도 독이 없어지지 않으면 다시 이 약을 써야 한다.
주치병증 정저(疔疽) 어깨 부위에 생기는 저(疽)의 하나. 어깨 봉우리의 가운데에 생기는 것은 견중저(肩中疽)라고 하고, 앞쪽 가장자리에 생기는 것은 건저(乾疽)라고 하며, 뒷쪽 가장자리에 생기는 것은 과견저(過肩疽)라고 한다. 풍열(風熱)이 엉기거나 무거운 것을 지다 다쳐 어혈(瘀血)이 맺혀 생긴다. 저가 높게 부어 오르면서 빨갛게 윤기가 나고, 후끈거리면서 뜨겁고 빨리 허는 것이 순증(順證)이고, 저가 납작하거나 꺼져 들어가고, 딱딱하며, 빨갛지도 뜨겁지도 않고 곪는 것은 위증(危證)이며, 팔과 등쪽까지 부으면서 아프고, 입을 꽉 다물고 파르르 떨며, 아파서 식욕이 없고, 대소변이 고르지 못하는 것은 역증(逆證)이다. 이명 ; 견저(肩疽), 자옹(疵癰)
================================================================================== 출처 ; 수세보원(壽世保元)(17세기초) 편명 ; 계집십권(癸集十卷)
구성약재 백반(白礬): 37.5 g. 석회(石灰): 150 g. 우담(牛膽): 1 개. 황단(黃丹): 37.5 g.
조제용법 ; 갈아서 환부에 바른다.
주치병증 금창(金瘡) 금상(金傷), 금인상(金刃傷), 창상(創傷) 예리한 금속으로 입은 상처. 가벼우면 피부나 근육이 손상되고, 심하면 건(腱)이나 내장이 손상되어 출혈이 멎지 않고 동통을 참을 수 없음. 출혈이 과다하면 얼굴이 창백해지며 어지럼증이 나고, 맥은 규(芤) 또는 세삭(細數)한 등 허탈증을 일으킴. 양뱡병증 ; 자상
허구리 안팎으로 생긴 피부병변 |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섬소환(蟾 丸) (0) | 2016.01.08 |
---|---|
신효탈명단(神 奪命丹) (0) | 2016.01.08 |
반혼단(返魂丹) (0) | 2016.01.08 |
자금정(紫金錠) (0) | 2016.01.08 |
돌림병으로 죽은 소, 말, 새, 짐승의 고기를 먹고 정창이 생긴 것 (0) | 2016.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