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혼단(返魂丹) ♣
◈治十三種煿瘡危惡者雄黃白礬枯各二錢朱砂膽礬各一錢半蟾曧血竭銅綠各一錢輕粉沒藥乳香各五分麝香一字蝸牛生不拘多少右爲末以蝸牛蟾曧硏爛和丸咯實大每一丸令病人先嚼瘳白三寸許放在掌心將藥丸嚸在瘳內以熱酒一盞呑下煖處臥汗出爲效 ◈13가지 정창으로 위독해진 것을 치료한다. 석웅황, 백반(구운 것) 각각 8g, 주사, 담반 각각 6g, 두꺼비진(섬소), 혈갈, 동록 각각 4g, 경분, 몰약, 유향 각각 2g, 사향 1g, 달팽이(와우, 산 것) 적당한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낸다. 그리고 달팽이와 두꺼비진을 갈아서 짓이긴다. 여기에 약가루를 반죽하여 가시연밥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쓰는데 먼저 파밑 3치 정도 되는 것을 씹어서 손바닥에 놓고 거기에 알약을 싸서 따끈한 술 1잔으로 넘긴다. 그 다음 더운 곳에 누워서 땀을 내면 효과가 난다.
◈內經曰汗之則瘡已盖此藥能化毒爲汗也《瑞竹》 ◈『내경』에 “땀이 나면 헌데가 낫는다”고 씌어 있다. [註] 여러 처방 속에 들어 있는 두꺼비진, 신석, 경분, 수은 등은 모두 독성이 세므로 쓰는 양에 주의해야 한다. 이 약은 독기를 땀으로 내보낸다[서죽].
=================================================================================== 출처 ; 의방집해(醫方集解)(1692년) 산보(産寶) 편명 ; 경산지제(經産之劑)
내용 ; 13종의 정창(疔瘡)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밀(蜜): 丸 연근(蓮根): 陰乾
조제용법 ; 오월오일 혹은 유월육일에 익모초꽃이 최고로 필 무렵에 연근을 채취하여 음지에 말려 꽃입에서 씨앗에 이르기까지 모두 절구로 가루내어 꿀로 환을 만들어 복용한다(五月五日 六月六日或小暑日, 益母草花正開時, 連根采收陰干, 用花葉及子, 石臼搗末, 蜜丸)
주치병증 월경부조(月經不調) 월경병의 통칭. 전신 또는 성기의 이상으로 인해 생김. 월경선기(月經先期), 월경후기(月經後期), 월경선후무정기, 월경과다, 월경과소, 경폐(經閉), 붕루(崩漏), 경행토뉵(經行吐衄), 경행변혈(經行便血), 월경통 등 월경주기와 월경량의 이상, 월경 때 수반되는 여러 병증을 말함. 이명 ; 월경불순(月經不順), 월수부조(月水不調)
적백대하(赤白帶下) 음도(陰道)에서 붉은색과 흰색이 섞인 점액이 계속 흘러나오는 것. 간기(肝氣)가 울체되어 열이 생기고 비(脾)가 허하여 습(濕)이 몰려서, 습열(濕熱)이 아래로 몰려 충맥(衝脈)과 임맥(任脈)을 침입하고 습열이 포락(胞絡)의 혈(血)에 섞이므로 발생한다. 이명 ; 적백력(赤白瀝), 적백누하(赤白漏下), 부인하적백옥(婦人下赤白沃)
태통(胎痛) 임신복통(姙娠腹痛). [자생집(資生集)]에서 설립재(薛立齋)는 "임신(姙娠) 중에 복중(腹中)에서 때도 없이 통증이 일고 혹은 소복(小腹)이 무거우면서 떨어지는 듯한 것을 태통(胎痛)이라 한다. 내보환(內補丸)을 쓴다.(姙娠 腹中不時作痛, 或小腹重墜, 名胎痛, 用內補丸.)"라고 하였다
=================================================================================== 출처 ; 의학정전(醫學正傳)(1515년) 편명 ; 창양(瘡瘍)
내용 ; 13종의 정창(疔瘡)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59종) 갈(蝎): 37.5 g. 약간 굽는다. 강활(羌活): 37.5 g. 노두(蘆頭)를 제거한다. 건강(乾薑): 1.125 g. 굽는다. 고본(藁本): 1.125 g. 곽향(藿香): 37.5 g. 잎. 흙을 제거한다. 괴교(槐膠): 37.5 g. 귀갑(龜甲): 1.125 g. 술과 초를 발라서 노랗게 굽는다. 금박(金箔): 20 조각(片). 겉옷을 입힌다. 당귀(當歸): 75 g. 술에 담근 후 썰어서 은근한 불로 말리고 약간 볶는다. 독활(獨活): 37.5 g. 싹을 제거한다. 마황(麻黃): 37.5 g. 뿌리와 마디를 제거한다. 만잠아(晩蠶蛾): 1.125 g. 약간 볶는다. 만형자(蔓荊子): 1.125 g. 하얀부분을 제거한다. 목향(木香): 1.125 g. 불을 쓰지 않는다. 반하(半夏): 37.5 g. 끓는 물로 7번을 씻고 생강즙에 담근 후 은근한 불로 말려서 노랗게 볶는다. 방풍(防風): 37.5 g. 노두(蘆頭)를 제거한다. 백강잠(白殭蠶): 37.5 g. 실과 입부분을 제거하고 약간 볶는다. 백부자(白附子): 37.5 g. 약간 굽는다. 백지(白芷): 1.125 g. 백출(白朮): 1.125 g. 쌀뜨물에 1일 동안 담근 후 약간 볶는다. 백화사(白花蛇): 37.5 g. 술로 1일동안 담근 후 구워서 껍질과 뼈를 제거하고 구워서 살을 사용한다. 복령(茯苓): 1.125 g. 껍질을 제거한다. 부자(附子): 18.75 g. 물에 담근 후 구워서 껍질과 꼭지를 제거한다. 비해(萆薢): 37.5 g. 약간 굽는다. 빈랑(檳榔): 37.5 g. 사향(麝香): 37.5 g. 따로 간다. 석곡(石斛): 18.75 g. 뿌리를 제거한다. 선각(蟬殼): 18.75 g. 흙을 제거하고 약간 굽는다. 세신(細辛): 37.5 g. 싹을 제거한다. 수은(水銀): 18.75 g. 아교(阿膠): 37.5 g. 부수고 볶는다. 영양각(羚羊角): 37.5 g. 깎는다. 오사(烏蛇): 37.5 g. 술로 1일동안 담근 후 구워서 익혀서 살을 취한다. 오아(烏鴉): 1 마리. 입, 날개. 발을 제거한다. 용뇌(龍腦): 18.75 g. 따로 간다. 웅황(雄黃): 18.75 g. 잘게 갈고 물에 거른다. 유황(硫黃): 18.75 g. 가루내어 새기와에서 약한 불로 즙을 내어 수은을 넣고 볶아서 사자(砂子)로 만들어 가루낸다. 육계(肉桂): 37.5 g. 껍질을 제거한다. 육두구(肉豆蔲): 18.75 g. 껍질을 제거하고 약간 볶는다. 이분(膩粉): 0.375 g. 따로 간다. 인삼(人蔘): 1.125 g. 노두(蘆頭)를 제거한다. 정향(丁香): 1.125 g. 불을 쓰지 않는다. 주사(朱砂): 18.8 g. 잘게 갈고 물에 거른다. 지각(枳殼): 1.125 g. 속을 제거하고 밀기울로 볶는다. 진피(陳皮): 37.5 g. 속을 제거하고 약간 볶는다. 천궁(川芎): 18.75 g. 천남성(天南星): 37.5 g. 끓는 물로 씻고 셍강즙에 달여서 잘라 은근한 불로 말려서 노랗게 볶는다. 천마(天麻): 37.5 g. 술로 씻어서 썰고 은근한 불로 말린다. 천축황(天竺黃): 1.125 g. 잘게 간다. 침향(沈香): 37.5 g. 불을 쓰지 않는다. 하수오(何首烏): 1.125 g. 쌀뜨물에 1일 동안 담근 후 달여서 썰어 은근한 불로 말린다. 호골(虎骨): 1.125 g. 술, 식초에 노랗게 볶는다. 후박(厚朴): 1.125 g. 껍질을 제거하고 생강즙으로 익혀서 굽는다. 우황(牛黃): 18.75 g. 따로 간다. 상표초(桑螵蛸): 1.125 g. 약간 볶는다. 축사인(縮砂仁): 37.5 g. 호간(狐肝): 3 개. 섣달에 채집하여 오아(烏鴉)와 그릇에 담아 기와로 덥고 진흙으로 입구를 막고 태워서 간다. 천오두(川烏頭): 37.5 g. 붉게 태우고 연기를 남기고 그릇에 담아 뚜껑으로 덮고 새로운 흙으로 싼다. 오서(烏犀): 75 g. 깎는다.
조제용법 ; 위의 약재들을 곱게 가루내어 해양 짓찧은 것으로 반죽하여 계란처럼 만들어 술과 밀가루풀 조금을 섞어 탄환 크기로 환을 만든다. 매번 1환씩 총두(蔥頭) 날것 2-3개와 함께 잘 씹어서 삼킨다.
주치병증 정종(疔腫) 창양(瘡瘍)의 하나. 정창(丁瘡), 정종(丁腫), 정종(疔腫), 정독(疔毒), 자창(疵瘡)이라고도 한다. [외과정의(外科精義)] 상권에서 "무릇 정창(疔瘡)이라고 하는 것은 그 부스럼의 형태가 마치 못머리처럼 생겼기 때문이다.(夫疔瘡者, 以其瘡形如丁蓋之狀是也.)"라고 하였다. 이명 ; 정창(丁瘡), 정종(丁腫), 정독(疔毒), 자창(疵瘡) |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효탈명단(神 奪命丹) (0) | 2016.01.08 |
---|---|
일념금(一捻金) (0) | 2016.01.08 |
자금정(紫金錠) (0) | 2016.01.08 |
돌림병으로 죽은 소, 말, 새, 짐승의 고기를 먹고 정창이 생긴 것 (0) | 2016.01.08 |
정창의 근을 빼내는 방법[拔 法] (0) | 2016.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