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2

오자연종환(五子衍宗丸)

한들 약초방 2016. 1. 29. 10:19

 

 오자연종환(五子衍宗丸)

 

 

治男子無嗣枸杞子九兩絲子酒浸製七兩覆盆子五兩車前子三兩五味子一兩右搗爲末蜜丸梧子大空心溫酒呑下九十丸臨臥鹽湯呑下五十丸春丙丁巳午夏戊己辰戌丑未秋壬癸亥子冬甲乙寅卯須上旬晴日合忌見僧尼寡女孝子六畜不淨之物《廣嗣》  

임신하지 못하는 원인이 남자에게 있는 것을 치료한다.

구기자 340g, 새삼씨(토사자, 술에 담갔다가 법제한 ) 280g, 복분자 200g, 길짱구씨(차전자) 120g, 오미자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90알씩 빈속에 데운 술로 먹고 때에는 50알씩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 봄에는 병정일(丙丁日)이나 사오일(巳午日), 여름에는 무기일(戊己日)이나 진술일(辰戌日) 또는 축미일(丑未日), 가을에는 임계일(壬癸日)이나 해자일(亥子日), 겨울에는 갑을일(甲乙日)이나 인묘일(寅卯日) 각각 약을 만들되 상순(上旬) 개인 날을 택한다. 중이나 과부, 상제는 가까이 하지 마는 깨끗치 못한 것들을 보지 말아야 한다㈜[광사].

 

慣遺精者去車前子代蓮子《入門》

습관적으로 유정이 있는 데는 길짱구씨를 빼고 연밥을 대신 넣는다[입문].

[] 약을 만들 , 여름, 가을철에 각기 좋은 날짜를 육갑과 결부시켜 택했는데 과학적 근거는 없다.

 

==================================================================================

출처 ; 의학입문(醫學入門)(1575년)

편명 ; 외집권2(外集卷二),잡병용약부 하(雜病用藥賦 下),구사 (求嗣)

 

내용 ; 남자로 인해 임신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구기자(枸杞子): 300 g.

복분자(覆盆子): 150 g.

오미자(五味子): 37.5 g.

차전자(車前子): 75 g.

 

조제용법 ; 분말내어 봉밀로 반죽하여 오자대 크기의 환을 만드로 공복에 50환 자기전에 90환을 물이나 소금물에 먹고 겨울에는 술과 복용한다(爲末蜜丸梧子大 每空心90丸 臨臥50丸 白湯 或塩湯 冬月酒下)

 

효능 ; 첨정보수(添精補髓 )

 

주치병증

무사(無嗣)

자식이 없다는 뜻. 불임증의 뜻으로도 쓰임.

이명 ; 무자(無子)

양방병증 ; 무정자; 정자결핍증; 정자무력증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약계영환(玉 啓榮丸)   (0) 2016.01.29
양기석원(陽起石元)   (0) 2016.01.29
온신환(溫腎丸)   (0) 2016.01.29
속사단(續嗣丹)   (0) 2016.01.29
고본건양단(固本健陽丹)   (0) 2016.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