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퇴음(三退飮) ♣
◈治胞衣不下神效蛇退一條全者蠶退紙一方蟬退四十九箇右拄燒存性爲末順流水調下立出《正傳》
◈태반으로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좋다. 뱀허물(사퇴, 온전한 것) 1개, 누에알 깐 종이 1장, 매미허물(선퇴) 49개. 위의 약들을 약성이 남게 태워 가루낸 것을 강물에 타 먹으면 태반이 곧 나온다[정전].
=================================================================================
출처 ; 의학정전(醫學正傳)(1515년) 편명 ; 부인과중 태전(婦人科中 胎前) 내용 ; 태반(胎盤)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데 좋은 처방임 구성약재 사퇴(蛇退): 1 조(條). 완전한 것. 선퇴(蟬退): 49 개. 잠퇴지(蠶退紙): 1 장 (사각형). 조제용법 ; 가루내어 순류수(順流水)로 먹는다. 주치병증 태의불하(胎衣不下) 태아를 분만한 후 태반(胎盤)이 잘 나오지 않는 것. 포의불출(胞衣不出), 식포(息胞), 식태(息胎), 태의불출(胎衣不出), 태의불하(胎衣不下), 아의불출(兒衣不出), 포창불하(胞脹不下)라고도 한다. 대부분 분만 후에 원기(元氣)가 크게 허하여 계속 배출시킬 힘이 없으므로 패혈(敗血)이 포중(胞中)에 유입(流入)되어 포(胞)가 커져서 나오지 않거나, 사기(邪氣)가 침범하여 기혈(氣血)과 엉겨서 머물기 때문이다. 이명 ; 포의불출(胞衣不出), 식포(息胞), 식태(息胎), 태의불출(胎衣不出), 태의불하(胎衣不下), 아의불출(兒衣不出), 포창불하(胞脹不下) |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 가지 처방 (0) | 2016.02.01 |
---|---|
일자신산(一字神散) (0) | 2016.02.01 |
우슬탕(牛膝湯) (0) | 2016.02.01 |
화예석산(花蘂石散) (0) | 2016.02.01 |
탈명단(奪命丹) (0) | 2016.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