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담환(連膽丸) ♣
◈治五乾疳黃連五錢猪膽汁浸瓜蔞根烏梅肉蓮肉杏仁各二錢右爲末牛膽汁浸嗰和丸麻子大每十五丸烏梅薑蜜煎湯下《入門》
◈5건감(五乾疳)㈜을 치료한다. 황련 20g(저담즙에 담갔다 낸 것), 하늘타리뿌리(과루근), 오매육, 연밥(연실), 살구씨(행인) 각각 8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우담즙에 담갔다 낸 떡에 반죽하여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5알씩 오매와 생강, 꿀을 넣고 달인 물로 먹는다[입문]. [註] 5건감(五乾疳): 다섯 가지 감병에 나타나는 다섯 가지 마르는 증상, 즉 심감에는 혀가 마르고 간감에는 울지 못하며 비감에는 입이 마르고 폐감에는 소리가 잘 안 나오며 신감에는 오줌이 잘 안 나오는 것이다.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의학입문(醫學入門)(1575년)
편명 ; 외집(外集)-소아문 상(小兒門 上)-내상유식류(內傷乳食類)-오감(五疳)
내용 ; 오장감(五臟疳)의 마르는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과루근(瓜蔞根): 7.5 g. 연육(蓮肉): 7.5 g. 오매(烏梅): 7.5 g. 행인(杏仁): 7.5 g. 황련(黃連): 18.75 g. 돼지담즙에 담근다.
조제용법 ; 가루내어 소담즙에 담궜다가 마자인 크기로 환을 만들어 매번 15알씩 오매와 생강과 꿀을 넣어 끓인 탕으로 복용한다(爲末 牛膽汁浸 糕丸麻子大 每十五丸 烏梅薑蜜煎湯下)
주치병증 건감(乾疳) 감(疳)의 하나로 감질이 심한 단계이다. 선천적으로 비(脾), 신(腎)의 양기(陽氣)가 부족하거나 음식을 절도 없이 먹이거나 중한 병을 앓은 뒤에 기혈(氣血)과 진액(津液)이 부족해서 생긴다. 얼굴빛은 핏기가 없고 누렇거나 검은 밤색을 띠고 몸이 몹시 여위며 피부가 거칠고 주름이 잡힌다. 손발바닥 중심에 열이 남과 동시에 가슴이 답답하고 불안해하면 소화장애로 잘 먹지 못하며 쉽게 토하거나 설사를 하며 조열(燥熱)이 있고 식은 땀이 나며 머리털에 윤기가 없고 배가 더부록하게 불러오르며 입이 마르고 목을 세우지 못한다. 소변의 빛깔은 누렇고 냄새가 심하며 맥박상태는 세삭하다. 원기를 북돋우고 혈액을 풍부하게 하면서 비신(脾腎)을 튼튼하게 하는 방법으로 십전대보탕이나 삼령백출산을 가감하여 쓴다. |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러 가지 감병[諸疳] (0) | 2016.02.11 |
---|---|
소감환(消疳丸) (0) | 2016.02.11 |
감적병(疳積餠) (0) | 2016.02.10 |
오감보동원(五疳保童元) (0) | 2016.02.10 |
5장감(五臟疳) (0) | 2016.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