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감환(消疳丸) ♣
◈治五疳蒼朮陳皮厚朴枳殼檳峹神麴炒山擀肉麥芽炒三稜氖蓬朮氖縮砂茯巔黃連炒胡黃連蕪荑使君子蘆籲各等分右爲末蒸餠和丸彈子大米飮化下一丸《回春》
◈5감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귤껍질(陳皮), 후박, 지각, 빈랑, 약누룩(신국, 닦은 것), 찔광이(산사), 보리길금(맥아, 닦은 것), 삼릉(잿불에 묻어 구운 것), 봉출(잿불에 묻어 구운 것), 사인, 솔풍령, 황련(닦은 것), 호황련, 참느릅나무열매, 사군자, 노회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증병으로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미음에 타서 풀어 먹인다[회춘].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회춘(回春)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십일(卷十一) 소아(小兒)
내용 ; 오감(五疳)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노회(爐灰):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맥아(麥芽):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볶는다. 무이(蕪荑):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복령(茯苓):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봉출(蓬朮):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굽는다. 빈랑(檳榔):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사군자(使君子):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산사육(山楂肉):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삼릉(三稜):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굽는다. 신국(神麴):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볶는다. 지각(枳殼):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진피(陳皮):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창출(蒼朮):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축사(縮砂):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호황련(胡黃連):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황련(黃連):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볶는다. 후박(厚朴):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조제용법 ; 약재들을 가루내어 증병(蒸餠)으로 반죽한 다음 구슬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미음에 타서 풀어 먹인다.
주치병증 오감(五疳) 오장감(五臟疳) 심감(心疳) 또는 경감(驚疳), 간감(肝疳) 또는 풍감(風疳), 비감(脾疳) 또는 곤감(滾疳), 폐감(肺疳) 또는 기감(氣疳), 신감(腎疳) 또는 급감(急疳) 등을 말함. |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감(熱疳) (0) | 2016.02.11 |
---|---|
여러 가지 감병[諸疳] (0) | 2016.02.11 |
연담환(連膽丸) (0) | 2016.02.10 |
감적병(疳積餠) (0) | 2016.02.10 |
오감보동원(五疳保童元) (0) | 2016.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