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산(消食散) ♣
◈治食積腹痛白朮陳壁土炒二錢半麥芽縮砂山査肉各一錢橘紅香附米神麴靑皮各七分甘草五分右爲末每一錢米飮調下或犫取二錢入薑三片煎服亦可《醫鑑》
◈식적(食積)으로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묵은 벽흙과 함께 닦은 것) 10g, 보리길금(맥아), 사인, 찔광이(산사) 각각 4g, 귤홍, 향부자, 약누룩(신국), 선귤껍질 각각 2.8g, 감초 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미음에 타 먹이거나 썰어서 한번에 8g씩 생강 3쪽과 함께 달여 먹여도 좋다[의감].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의감(醫鑑)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십일(卷十一) 소아(小兒)
구성약재 감초(甘草): 1.875 g. 귤홍(橘紅): 2.625 g. 맥아(麥芽): 3.75 g. 백출(白朮): 9.375 g. 묵은 벽흙과 함께 볶는다. 산사육(山楂肉): 3.75 g. 신국(神麴): 2.625 g. 청피(靑皮): 2.625 g. 축사(縮砂): 3.75 g. 향부미(香附米): 2.62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미음에 타 먹이거나 썰어서 한번에 8g씩 생강 3쪽과 함께 달여 먹여도 좋다.
효능 ; 식적(食積)으로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주치병증 식적(息積) 옆구리 아래가 더부룩하고 기(氣)가 역행하여 숨쉬기가 곤란하면서 덩어리가 있는 병증. [소문(素問)] <기병론(奇病論)>에는 "협하(脇下)가 가득하고 기가 거스르는 병증이 2-3년 동안 사라지지 않는 것은 무슨 병입니까? 기백(岐伯)이 말하길 병명은 식적(息積)이니 이것은 먹는 데는 지장이 없다.(病脇下滿, 氣逆, 二三歲不已, 是爲何病? 岐伯曰: 病名曰息積, 此不妨于食)"라고 하였다. [증치준승(證治準繩)] <적취(積聚)>에 "식적은 기식(氣息)이 옆구리 아래에 정체되어 장부(臟腑)와 영위(營衛)에 있지 못하고 점차 형태를 이루되 그 기(氣)가 위(胃)를 침범하지 않으므로 식사를 방해하지는 않는다.(息積, 乃氣息痞滯於脇下, 不在藏府榮衛之間, 積久形成, 氣不乾胃, 故不妨食.)"고 하였다. [의학계제(醫學階梯)]에는 "식적은 오른쪽 옆구리 아래가 그득한 것으로 숨쉬기는 곤란하지만 아직 형태가 드러난 것은 아니다.(息積右脇下滿, 息難, 未見形也.)"라고 하였다.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직지(直指)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칠(卷七) 옹저(癰疽)
구성약재 녹반(綠礬): 3.75 g. 굽는다. 백반(白礬): 37.5 g. 굽는다. 연지(臙脂): 3.75 g. 웅황(雄黃): 3.75 g. 원지(遠志): 3.75 g. 유향(乳香): 3.7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가루내어 봉밀물에 개서 궂은 살에 붙인다. 참기름에 개어 붙여도 좋다.
효능 ; 소식악육음충오골(消蝕惡肉淫虫杇骨)
주치병증 옹저(癰疽) (1)기혈(氣血)이 독사(毒邪)에 의해 막혀서(阻滯) 기육(肌肉)과 골(骨) 사이에서 발생하는 창종(瘡腫). (2)옹(癰)과 저(疽)를 묶어 일컬음. 창(瘡) 구멍이 얕으면서 넓은 것이 옹(癰)으로 양(陽)에 속하며, 깊으면서 오래된 것이 저(疽)로 음(陰)에 속한다. (3)큰 부스럼. 양방병증 ; 농양 |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충산(安蟲散) (0) | 2016.02.12 |
---|---|
소적환(消積丸) (0) | 2016.02.12 |
유향산(乳香散) (0) | 2016.02.12 |
배가 아프고 불러 오르는 것[腹痛腹脹] (0) | 2016.02.12 |
한 가지 처방 (0) | 2016.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