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2

창포환(菖蒲丸)

한들 약초방 2016. 2. 13. 09:47

 

 창포환(菖蒲丸)

 

 

治心氣不足五六歲不能言石菖蒲人參麥門冬遠志川芎當歸各二錢乳香朱砂各一錢右爲末蜜丸麻子大米飮下十丸至二十丸日三服《入門》

 

심기가 부족하여 5-6살이 되도록 말을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석창포, 인삼, 맥문동, 원지, 궁궁이(천궁), 당귀 각각 8g, 유향, 주사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20알씩 하루 세번 미음으로 먹인다[입문].

 

=================================================================================

출처 ; 의종금감(醫宗金鑑)(1742년)

편명 ; 편집유과잡병심법요결(編輯幼科雜病心法要訣)-잡증문(雜證門)-오지(五遲)

 

구성약재

당귀(當歸): 3.75 g. 술로 씻는다.

맥문동(麥門冬): 3.75 g. 심을 제거한다.

석창포(石菖蒲): 3.75 g.

원지(遠志): 3.75 g. 심을 제거한다.

유향(乳香): 3.75 g.

인삼(人蔘): 3.75 g.

주사(朱砂): 3.75 g. 물에 거른다.

천궁(川芎): 3.75 g.

 

조제용법 ; 가루내어 꿀로 환을 기장쌀 크기로 만들어 식후에 미탕으로 복용한다(爲細末 煉白蜜爲丸 如黍米大 食遠用米湯送下)

 

주치병증

오지(五遲)

어린아이의 5가지 발육이 늦는 병증. 입지(立遲), 행지(行遲), 발지(髮遲), 치지(齒遲), 어지(語遲)를 말함. [의종금감(醫宗金鑑)] <유과심법요결(幼科心法要訣)>에서 ‘소아(小兒)의 오지증(五遲證)은 대부분 부모의 기혈(氣血)이 허약(虛弱)하여 선천(先天)적으로 부족함이 있는 것이니, 아이가 태어나서 근골(筋骨)이 연약(軟弱)하고 행보(行步)가 어렵고 치아가 빨리 자라지 않고 앉음에 능히 온화(穩和)하지 못하다. 요지는 모두 신기(腎氣)가 부족(不足)한 까닭이다.(小兒五遲之證, 多因父母氣血虛弱, 先天有虧, 致兒生下筋骨軟弱, 行步艱難, 齒不速長, 坐不能穩, 要皆腎氣不足之故.)’라고 하였다.

 

================================================================================

출처 ; 의학입문(醫學入門)(1575년)

편명 ; 편주의학입문외집3권(編註醫學入門外集卷三) 소아문 상(小兒門 上)태독류(胎毒類) 오연(五軟)

 

구성약재

창포(菖蒲):

 

조제용법 ; 약들을 가루내어 환으로 만든다.

 

주치병증

오연(五軟)

두항연(頭項軟), 수연(手軟), 각연(脚軟), 신연(身軟), 구연(口軟) 등을 말함. 어린이에서 선천적인 신기허약, 조산이나 後天的인 여양부족으로 골맥(骨脈)에 영양이 충분히 가지 못해 발생함. 머리, 목, 손발, 입, 몸체의 근육 및 연부조직이 연약무력함. 3세 이하의 어린이에게 많음. 발육이 늦고, 지력의 발달부량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