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황산(氷黃散) ♣
◈治同上焰硝大黃末各五錢右井水調勻鷄羽掃塗《回春》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염초, 대황가루 각각 20g. 위의 약들을 우물물로 개어 닭의 깃으로 바른다[회춘]. ================================================================================= 출처 ; 태평혜민화제국방(太平惠民和劑局方)(11세기) 편명 ; 권지이(卷之二) 치상한(治傷寒)
내용 ; 단독(丹毒)으로 열증(熱證)이 보이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甘草): 150 g. 생 것. 생강(生薑): 500 g. 자른다. 적복령(赤茯苓): 150 g. 껍질을 제거한다. 한식면(寒食麵): 500 g.
조제용법 ; 약재를 분말내어, 한 번에 7.5g씩, 새로 떠온 물이나 끓여서 식힌 물에 조화해서 수시로 복용한다.
주치병증 두목혼침(頭目昏沈) 머리와 눈이 함께 어둡고 침침한 것. 이명 ; 두목침중(頭目沈重) 양방병증 ; 혼미
모서(冒暑) 감수한 서열(暑熱)이 장(腸)과 위(胃)로 들어감으로써 발생하는 병증. [잡병원류서촉(雜病源流犀燭)] <서병원류(暑病源流)>에서는 "보통 서기(暑氣)를 감수하여 배가 아프고 물똥을 싸는 경우는 위와 대장이 사기(邪氣)를 감수했기 때문이고, 메스꺼우면서 욕지기와 토악질이 나는 경우는 위구(胃口)에 담음(痰飮)이 있는데다가 사기를 감수했기 때문으로 모두 모서라 이름하는데 이것은 서병 중에서도 경미한 것이다.(尋常感受暑氣, 致腹痛水瀉者, 乃胃與大腸感邪之故, 或惡心嘔吐者, 乃胃口有痰飮, 而又感邪之故, 此皆名冒暑, 是暑病之輕且小者.)"라고 하였다.
배한(背寒) 등이 오싹오싹한 감을 느끼는 것. 주로 감기, 산후증(産後症), 신경통 등에서 나타난다. [동의보감(東醫寶鑑)] <내경편(內景篇)> 제4권에서 "무릇 이질(痢疾)은 대부분 복서(伏暑)로 인하여 얻는다. 단지 배한(背寒)하고 얼굴에 때가 끼며, 혹은 얼굴이 기름을 바른 듯이 번들거리고, 이가 마르고 가슴이 번거로우며, 갈증이 나서 물을 들이키는 것은 모두 서증(暑證)이다.(大凡痢疾, 多因伏暑而得, 但背寒面垢, 或面如塗油, 齒乾, 煩寃, 燥渴引飮, 皆暑證也)"라고 하였다. 양방병증 ; 등쪽 냉각
복열(伏熱) 체내에 잠복해 있는 열사(熱邪)로 춘온, 복서 등을 일으킴. 발병초부터 번열(煩熱), 인건(咽乾), 구갈인음(口渴引飮) 등의 이열(裏熱) 증상이 나타남. [소문(素問)] <본병론(本病論)>에 나옴. [소문(素問)] <본병론(本病論)>에서 "이에 변화해서 복열(伏熱)이 되어, 속이 번열(煩熱)하고, 비(痺)가 되고 궐증(厥證)을 만들고, 심하면 혈(血)이 넘쳐 흘러나옵니다.(乃化作伏熱內煩, 痺而生厥, 甚則血溢.)"라고 하였다.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회춘(回春)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십일(卷十一) 소아(小兒)
내용 ; 단독(丹毒)으로 열증(熱證)이 보이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대황(大黃): 18.75 g. 분말로 만든다. 염초(焰硝): 18.7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우물물로 개어 닭의 깃으로 바른다.
주치병증 단독(丹毒) 환부의 피부가 마치 빨간 물감을 칠한 듯하고 불에 지지듯이 화끈 달아오르면서 열이 나는 병증. 이명 ; 단표(丹熛), 화단(火丹), 천화(天火) 양방병증 ; 단독 |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러 가지 헌데[諸瘡] (0) | 2016.02.13 |
---|---|
이금고(泥金膏) (0) | 2016.02.13 |
발독산(拔毒散) (0) | 2016.02.13 |
단독(丹毒)/소아 (0) | 2016.02.13 |
온비단(溫脾丹) (0) | 2016.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