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초고(紫草膏)♣
◈治痘疹不起脹白附子麻黃紫草茸甘草各五錢蟾曧一錢全蝎二十箇白召蠶炒八箇右細末嶽將紫草一兩犫熬成膏又用蜜二兩入酒半盞煉過同紫草膏攪勻調藥末丸如爣角子大一歲兒半丸三歲兒一丸用之紅紫黑陷者紫草湯化下淡白灰陷者好酒化熱服《醫鑑》
◈구슬이 커지면서 물이 실리지 않은 것을 치료한다. 노랑돌쩌귀(백부자), 마황, 자초용, 감초 각각 20g, 두꺼비진(섬소) 4g, 전갈 20개, 백강잠(닦은 것) 8개.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낸다. 따로 지치 40g을 썰어서 달여 고약을 만든다. 또 꿀 80g과 술 반 잔을 넣고 달인 다음 자초고와 함께 약가루를 넣고 반죽하여 주염열매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1살 어린이에게는 반 알, 3살 어린이에게는 1알씩 쓰되 검붉고 꺼져 들어간 데는 지치 달인 물에 풀어 먹이고 희끄무레하며 잿빛 같으면서 꺼져 들어간 데는 좋은 술에 풀어서 따끈하게 하여 먹인다[의감].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직지(直指)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팔(卷八) 제창(諸瘡)
구성약재 녹두분(綠豆粉): 15 g (0.18 L). 누로(漏蘆): 18.75 g. 자초용(紫草茸): 18.75 g. 적소두(赤小豆): 15 g (0.18 L). 분말로 만든다. 황련(黃連): 18.75 g. 황백(黃柏): 18.7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가루내어 저지나 청유에 개서 하루에 세번 붙인다.
주치병증 열독창(熱毒瘡) 온몸에 열독으로 헌데가 생긴 것을 말하는데 이때에는 아프기만 하고 가렵지는 않고 헌데에 옷이나 이불이 들어붙기 때문에 잠을 잘 잘 수가 없는 등의 증상을 보임(遍身生熱毒瘡痛而不痒粘着衣被夜不得睡) 양방병증 ; 종창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의학입문(醫學入門)(1575년) 편명 ; 외집권3(外集卷三), 부인소아외과용약부(婦人小兒外科用藥賦), 두(痘)
구성약재 감초(甘草): 18.75 g. 마황(麻黃): 18.75 g. 백강잠(白殭蠶): 8 개. 백부자(白附子): 18.75 g. 자초(紫草): 18.75 g. 전갈(全蝎): 20 개.
조제용법 ; 분말을 내고 별도로 자초 37.5g을 고약같이 끓여 꿀 75g, 술 반잔과 넣고 고아서 섞고 녹두대 크기의 환을 만들어 1환을 복용한다(爲末 另用紫草一兩煎膏 入煉蜜二兩酒半盞 攪勻 和丸綠豆大 每一丸)
주치병증 경풍전간(驚風癲癎) 경풍(驚風)과 전간(癲癎)을 아울러 이르는 말 양방병증 ; 간질; 영아경련; 정신이상
두(痘) (1) 피부나 점막에 생긴 구슬진(水疱疹). (2) 피부에 구슬 같은 것이 돋는 병증. 이명 ; 창진(瘡疹),두창(痘瘡),성창(聖瘡) |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일 동안 고름이 잡히는 것[貫膿三朝] (0) | 2016.02.14 |
---|---|
또 한 가지 처방 (0) | 2016.02.14 |
내탁산(內托散) (0) | 2016.02.14 |
구슬에 물이 실릴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起脹時吉凶證] (0) | 2016.02.14 |
3일 동안 구슬에 물이 실리는 것[起脹三朝] (0) | 2016.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