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2

감초탕(甘草湯)

한들 약초방 2016. 2. 14. 10:15

 

 감초탕(甘草湯)

 

 

治同上甘草瓜蔞根各二錢右水煎服之《入門》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감초, 하늘타리뿌리(과루근) 각각 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입문].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중경(仲景)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이(卷二) 한(寒)

 

구성약재

감초(甘草):

 

조제용법 ; 약재들을 썰어서 한번에 15g씩 물에 달여 하루 세번 먹는다.

 

주치병증 

소음객열(少陰客熱)

족소음신경(足少陰腎經)과 수소음심경(手少陰心經)에 열이 머물러 있는 것. 삼양경(三陽經)에서 전변(傳變)되거나, 족소음신경과 수소음심경이 직접 열사(熱邪)를 받아 생김. 또는 음허화왕(陰虛火旺)으로 생김. 신음(腎陰)의 손상으로 심화(心火)가 지나치게 성하면 야간발열, 심번불와(心煩不臥), 설강(舌絳), 구조(口燥), 맥세, 삭(脈細數) 등의 증상이 나타남.

 

인통(咽痛)

목구멍이 붓고 아픈 병증. [의학강목(醫學綱目)]에서 "목구멍이 음식을 넘기거나 내뱉지 못하는 것이 이것이다.(咽嗌不能納唾與食是也.)" "인통(咽痛)은 음기(陰氣)가 몹시 허하거나 양기(陽氣)가 넘쳐 나거나 위에 담(痰)이 맺히거나 하여 바로 목구멍이 아픈 것인데, 맥(脈)은 반드시 부대(浮大)하고 힘주어 짚으면 반드시 삽(澁)하다.(咽痛, 有陰氣大虛, 陽氣飛越, 痰結在上, 遂成咽痛. 脈必浮大, 重取必澀…….)"라고 하였다.

이명 ; 인후종통(咽喉腫痛).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절로 땀이 나는 것[自汗]   (0) 2016.02.14
배가 불러 오르는 것[腹脹]   (0) 2016.02.14
오매탕(烏梅湯)   (0) 2016.02.14
홍화자탕(紅花子湯)   (0) 2016.02.14
번갈(煩渴)   (0) 2016.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