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고( , 도루래) ♣누고( , 도루래) ♣ ◈성질이 차고[寒](서늘하다[冷]고도 한다) 맛이 짜며[ ] 독이 없다(독이 있다고도 한다). 난산에 쓴다. 옹종(癰腫)을 삭히고 목구멍에 걸린 것을 내려가게 하며 악창을 낫게 하고 가시를 나오게 하며 부은 것을 내린다[본초]. ◈ 이 약은 소장이나 방광의 병에 효과가 ..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갈(蝎, 전갈) ♣갈(蝎, 전갈) ♣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달면서[甘] 맵고[辛] 독이 있다. 여러 가지 풍증과 중풍으로 입과 눈이 삐뚤어진 것, 팔다리를 쓰지 못하는 것, 말을 잘하지 못하는 것, 손발이 가드라드는 것, 어린이의 경풍을 치료한다. ◈ 청주(靑州)에서 나는데 생김새가 단단하고 작은 것이..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오령지(五靈脂) ♣오령지(五靈脂) ♣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명치 밑이 차면서 아픈 것을 치료하고 혈맥을 잘 통하게 하며 월경이 막힌 것을 통하게 한다[본초]. ◈ 이 약 기운은 간(肝)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피를 잘 돌게 하고 지혈(止血)하는 데는 효과가 제일 빠르다. 부인이 혈..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강랑( , 말똥구리) ♣강랑( , 말똥구리)♣ ◈성질이 차고[寒] 맛이 짜며[ ] 독이 있다. 어린이의 경간, 배가 불러 오르고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 어른의 전광(癲狂), 분돈(奔豚)을 치료하고 화살촉이 박힌 것을 나오게 하며 악창을 아물게 하고 유산하게 한다. ◈ 일명 길랑( )이라고도 하는데 곳곳에 다 있..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작옹(雀瓮, 쐐기벌레집) ♣작옹(雀瓮, 쐐기벌레집) ♣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독이 있다고도 한다). 어린이의 경간과 여러 가지 병을 치료한다. ◈ 일명 천장자(天漿子)라고 하는 것이 바로 쐐기벌레집이다. 흔히 나뭇가지 위에서 사는데 생김새는 새알 같다. 그리고 자줏빛과 흰빛이 나는 ..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지담(地膽) ♣지담(地膽) ♣ ◈성질이 차고[寒] 맛이 매우며[辛] 독이 있다. 효능과 약 만드는 방법은 반묘와 같다. ◈ 이 벌레가 음력 2-3월에 원화( 花) 위에 있을 때에는 원청이라고 하고 6-7월에 칡꽃(葛花)에 있을 때에는 갈상정장(葛上亭長)이라고 하며 8월에 콩꽃(豆花) 위에 있을 때에는 반묘(斑猫..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원청( 靑) ♣원청( 靑) ♣ ◈성질이 약간 따뜻하고[微溫] 맛이 매우며[辛] 독이 있다. 크기는 반묘만한데 청록색이다. 음력 3-4월에 잡아서 햇볕에 말린다[본초].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반묘(斑猫) ♣반묘(斑猫) ♣ ◈성질이 차고[寒] 매우며[辛] 독이 많다. 귀주, 고독을 치료하고 죽은 살을 썩여 내며 석림을 녹여 내고[破石淋]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또한 나력( )을 치료하고 유산하게 한다. ◈ 콩꽃이 필 때에 콩잎 위에 많은데 길이는 5-6푼 정도이고 딱지 위에는 검누른 반점이 있다..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수질(水蛭, 거머리) ♣수질(水蛭, 거머리) ♣ ◈성질이 평(平)하고(약간 차다[微寒]고도 한다) 맛이 짜면서[ ] 쓰고 독이 있다. 어혈(瘀血), 적취(積聚), 징가( )를 치료하고 유산시키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월경이 나오지 않다가 혈로(血勞)가 되려고 하는 것도 치료한다. ◈ 못에서 사는데 음력 5-6월에 잡아..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합개(蛤 , 도마뱀) ♣합개(蛤 , 도마뱀) ♣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짜며[ ] 독이 약간 있다(독이 없다고도 한다). 폐기(肺氣)를 고르게 하고 기침을 멈추며 월경을 잘하게 하고 석림을 낫게 하며 오줌이 잘 나오게 한다. ◈ 대가리는 하마(蝦 ) 같고 잔등에는 가는 비늘이 있으며 몸은 짧고 꼬리가 길다. 약 ..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