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향환(妙香丸) ♣묘향환(妙香丸) ♣ ◈治積熱潮熱解五毒朱砂九錢牛黃龍腦媐紛麝香三錢巴豆三十二箇去皮心膜炒去油熟硏金箔九片右合硏勻煉黃蠟六錢入白沙蜜少許和勻兩作三十丸每用一丸米飮或凉水呑下取轉下一切惡毒涎如要藥速行以鍼刺一眼子冷水浸少時服其效更速《局方》 ◈적열과 조열(.. ^*^동의보감^*^/동의보감 예비 2016.05.22
삼호온담탕(蔘胡溫膽湯) ♣삼호온담탕(蔘胡溫膽湯)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편명 ; 내경편(內景篇) 권일(卷一) 신(神) 구성약재 감초(甘草): 1.5 g. 귤홍(橘紅): 4.5 g. 길경(桔梗): 2.25 g. 반하(半夏): 3 g. 인삼(人蔘): 2.25 g. 맥문동(麥門冬): 2.25 g. 시호(柴胡): 2.25 g. 죽여(竹茹): 3 g. 백복령(白茯苓): 2.25 g. .. ^*^동의보감^*^/동의보감 예비 2016.05.22
청타탕(淸唾湯) ♣청타탕(淸唾湯) ♣ ※ 아래 대제궁귀탕(大劑芎歸湯) 과 같은것이다, 출처 ; 동의사상신편(東醫四象新編)(1929년) 편명 ; 태음인(太陰人) 내용 ; 코피가 나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길경(桔梗): 11.25 g. 나복자(蘿蔔子): 3.75 g. 맥문동(麥門冬): 11.25 g. 산약(山藥): 3.75 g. 오미자(五味子).. ^*^동의보감^*^/동의보감 예비 2016.05.22
대제궁귀탕(大劑芎歸湯) ♣대제궁귀탕(大劑芎歸湯) ♣ ※산약보폐원탕(山藥補肺元湯)을 참고한다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편명 ; 내용 ; 산후(産後)에 피가 멎지 아니하거나 피를 많이 흘렸을 때 쓰이는 처방임 구성약재 조제용법 ; 약들을 썰.. ^*^동의보감^*^/동의보감 예비 2016.05.22
묘향산(妙香散) ♣묘향산(妙香散) ♣ 출처 ; 수세보원(壽世保元)(17세기초) 편명 ; 경집칠권(庚集七卷) 내용 ; 유정(遺精)의 실정(失精)과 경계울결(驚悸鬱結)를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甘草): 18.75 g. 굽는다. 길경(桔梗): 18.75 g. 목향(木香): 9.375 g. 백복령(白茯苓): 37.5 g. 껍질을 제거한다. 백복신(.. ^*^동의보감^*^/동의보감 예비 2016.05.22
황기건중탕(黃 建中湯) ♣황기건중탕(黃 建中湯)♣ 출처 ; 경약전서 구성약재 계지 ; 112.5g 교이 ; 150g 대조 ; 12매 생강 ; 112.5g 작양 ; 225g 자감초 ; 112,5g 황기 ; 56.25 조제용법 ; 아래 소건중탕 참조 ================================================================================= ♣소건중탕(小建中湯) ♣ ◈治虛勞裏急腹中痛夢寐失精.. ^*^동의보감^*^/동의보감 예비 2016.05.22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 ♣ ◈治肝臟濕熱男子陰挻腫脹婦人陰挻瘡痒或陰莖濕痒出膿水此因酒得之龍膽草柴胡澤瀉各一錢木通車前子赤茯巔生地黃當歸竝酒拌山梔仁黃芩甘草各五分右犫作一貼水煎空心服《入門》 ◈간(肝)에 습열(濕熱)이 있어서 음경이 붓는 것과 자궁이 빠져 .. ^*^동의보감^*^/동의보감 예비 2016.05.19
동원주자당귀환(東垣酒煮當歸丸) ♣동원주자당귀환(東垣酒煮當歸丸)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편명 ; 내경편(內景篇) 권사(卷四) 소변(小便) 내용 ; 이동원이 만든 주자당귀환(酒煮當歸丸)이라는 뜻으로 주자당귀환(酒煮當歸丸)과 같은 처방임 구성약재 조제용법 ; 방견포문(方見胞門) 주치병증 백탁(白濁) (1) .. ^*^동의보감^*^/동의보감 예비 2016.05.18
청심연자음(淸心蓮子飮) ♣청심연자음(淸心蓮子飮) ♣ 출처 ; 의종금감(醫宗金鑑)(1742년) 편명 ; 편집잡병심법요결(編輯雜病心法要訣)-소변불통(小便不通) 구성약재 감초(甘草): 맥문동(麥門冬): 백복령(白茯苓): 연자(蓮子): 인삼(人蔘): 지골피(地骨皮): 차전자(車前子): 황금(黃芩): 황기(黃芪): 조제용법 ; .. ^*^동의보감^*^/동의보감 예비 2016.05.18
석위산(石韋散) ♣석위산(石韋散) ♣ ◈治諸淋滑石二錢白朮瞿麥赤芍藥冬葵子石韋木通各一錢當歸王不留行甘草各五分右爲末每二錢空心以小麥煎湯調下《局方》 ◈여러 가지 임병을 치료한다. 곱돌(활석) 8g, 흰삽주(백출), 패랭이꽃(구맥), 함박꽃뿌리(작약), 돌아욱씨(동규자), 석위, 으름덩굴(목통) 각.. ^*^동의보감^*^/동의보감 예비 2016.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