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이탕(薏苡湯)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 (1613년)의학입문(醫學入門)(1575년) 편명 ; 외집권2(外集卷二), 잡병용약부 상(雜病用藥賦 上), 순(脣)
구성약재 감초(甘草): 방기(防己): 의이인(薏苡仁): 적소두(赤小豆):
조제용법 ; 생강을 끓여서 복용한다(薑煎服)
주치병증 결핵(結核) 결핵이란 심한 화열(火熱)이 몰리고 맺혀서 딴딴해진 것인데 마치 과일의 씨와 같이 된 것이다(結核者火氣熱甚則鬱結堅硬如果中核也).
구순순동(口脣瞤動) 순풍(脣風) 입술의 근육이 저절로 떨림.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의 열이 성한 데에 풍사(風邪)의 침습을 받아 풍화가 응결하여 생김. 입술이 벌겋게 붓고 가려우며 터져 진물이 나고 화끈거려 아프며 껍질이 벗겨진 것 같음. 만약 풍이 성하면 입술이 떨리며 그치지 않음. 목이 말라 물을 당기며, 구취(口臭)가 나고, 대변이 비결(秘結)하며, 맥은 활삭(滑數)함. 박탈성순염(剝脫性脣炎)이다.
부종(浮腫)
수종(水腫), 허종(虛腫) 외감육음(外感六淫), 노권내상(勞倦內傷), 식상(食傷)으로 폐(肺), 비(脾), 신(腎), 방광, 삼초(三焦)의 기능장애로 수액대사가 안되어 생김. 몸이 붓는 증. 소변량이 적고 옅은 황색을 띠며, 얼굴이 누렇고 윤기가 없으며, 말소리가 낮음. 붓는 순서는 눈꺼풀에서부터 시작해서 얼굴, 손, 발, 온 몸으로 가고 가끔 다리부터 붓기도 함.
양방병증 ; 부종; 고혈압성 심장병; 만성 허혈성 심장병; 심장기능상실(심부전); 비류마티스 삼첨판 장애; 급성 및 아급성 심내막염; 심장 침습이 없는 류마티스열; 심장 침습이 있는 류마티스 열
풍열(風熱) 풍사(風邪)와 열사(熱邪)가 겹친 것. 발열이 중하고 오한은 경하며, 구갈(口渴)이 나고, 혀끝이 붉고, 설태는 미황색이며, 맥은 부(浮), 삭(數)함. 심하면 입안과 혀가 마르고, 눈이 충혈되고, 목이 아프고, 코피가 남.
================================================================================== 출처 ;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1345년) 편명 ; 권제십구(券第十九) 창종과(瘡腫科) 장옹(腸癰)
구성약재 도인(桃仁): 112.5 g. 목단피(牧丹皮): 112.5 g. 의이인(薏苡仁): 187.5 g. 과판인(瓜瓣仁): 150 g.
조제용법 ; 잘게 썰어 매번 15g을 물에 달여 수시로 복용한다.
주치병증 소변삽(小便澁)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것 양방병증 ; 통증배뇨
장옹(腸癰)
창자 속에 옹(癰)이 생기고 아울러 배가 아픈 병증. 음식을 먹을 때 절제를 하지 못하였거나, 벌컥 화를 내고 근심 걱정을 하거나, 넘어져 부딪치고 급하게 달리는 등으로 인하여 위장(胃腸)이 운화(運化)하는 데에 제 기능을 잃어 습열(濕熱)이 안에 막히므로 일어난다. [금궤요략(金匱要略)]에서 "장옹(腸癰)은 아랫배가 부어 막혀, 누르면 아프며 임병(淋病)과 같은 것으로, 소변은 잘 나오나 때때로 열이 나면서 저절로 땀이 흐르다가 다시 추위를 타는데, 그 맥(脈)이 지긴(遲緊)하면 곪지 않았으므로 건드려서 피를 내야 한다. 맥이 홍삭(洪數)하면 이미 곪은 것이므로, 건드려서는 안 된다. 대황목단피탕(大黃牧丹皮湯)을 주된 처방으로 쓴다.(腸癰者, 少腹腫痞, 按之卽痛, 如淋, 小便自調, 時時發熱, 自汗出, 復惡寒, 其脈遲緊者, 膿未成, 可下之 當有血, 脈洪數者, 膿巳成, 不可下也, 大黃牡丹皮湯主之)"라고 하였다.
창만불식(脹滿不食) 배가 몹시 부르며 속이 그득하여 음식을 못먹는 병증 양방병증 ; 복부팽만
복중교통(腹中㽲痛) 배의 근맥(筋脈)이 땅기면서 은근하게 아픈 병증. 대부분 혈(血)이 허한데다가 한기(寒氣)가 혈의 흐름을 막음으로써 발생한다. [금궤요략(金匱要略)] <부인임신병맥증병치(婦人姙娠病脈證幷治)>에서 "임신하였을 때 뱃속이 땅기면서 은근하게 아프면 당귀작약산(當歸芍藥散)으로 치료한다.(婦人懷娠, 腹中癘痛, 當歸芍藥散主之.)"라고 하였으며, [금궤요략(金匱要略)] <부인산후병맥증치(婦人産後病脈證治)>에서는 "출산 후에 뱃속이 땅기면서 은근하게 아프면 당귀생강양육탕(當歸生薑羊肉湯)으로 치료한다.(産後腹中痛, 當歸生薑羊肉湯主之; 幷治腹中寒疝, 虛勞不足.)"라고 하였다. 이명 ; 복통(腹痛), 음양역(陰陽易)
부인산후허열(婦人産後虛熱) 부인이 출산후에 생기는 허열. 허열은 음(陰), 양(陽), 기(氣), 혈(血) 등이 부족하여 발생하는 열. |
'^*^동의보감^*^ > 동의보감 예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풍통기산(追風通氣散) (0) | 2016.07.23 |
---|---|
의이부자패장산(薏苡附子敗醬散) (0) | 2016.07.22 |
인병선봉(引兵先鋒) (0) | 2016.07.21 |
육즙탕(肉汁湯) (0) | 2016.07.20 |
내소환(內消丸) (0) | 2016.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