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방전 하편 |
처방명 |
한방해설 |
약재 |
만드는법 |
용법 |
하고초산 (夏枯草散) |
일명 보간산이라고도 하느데 간이 허하여 눈망울이 아프고 햇빛만 보면 눈물을 흘리는 증세를 다스린다.(삼눈)
|
하고초 80g, 향부자 40g, 감초 20g
|
이상의 약재를 곱게 빻아 가루로 만든다.
|
1일 3회 식후 30분에 4g의 가루를 차로 마신다.
|
하인음 (何人飮) |
하루씩 건너뛰는 학질을 다스린다. 기력이 모두 떨어졌을 때도 쓴다.
|
하수오 10~20g, 인삼 12~40g, 당귀 8~12g, 진피 8~12g, 생강 3쪽(구운 것, 많이 추우면 구운 생강 4~20g)
|
이상의 약재를 한 대접 정도의 물로 달이거나 술 반 물 반으로 달인다.
|
학질을 앓기 전날 밤에 복용한다.
|
해표이진탕 (解表二陳湯) |
이 약은 거담제인 이진탕을 합방한 약이기 때문에 가래와 침이 막혀 까무라칠 듯한 천식증에 잘 듣는다. 기관지천식에 주로 쓴다.
|
반하 8g, 귤피, 적복령 각 4g, 감초(구운 것) 2g, 소엽, 마황, 행인, 상백피, 자원, 패모, 길경 각 2g, 생강 3쪽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후 1시간에 복용한다.
|
행기향소산 (行氣香蘇散) |
찬 음식이나 딱딱한 것을 먹어 헛배가 불러지면서 아플 때, 급성 열병으로 머리가 아프고 몸에서 열이 날 때, 관절이 아플 때, 마비가 오면서 아플 때, 음식은 먹고 싶으나 소화가 안 될 때, 배가 아플 때 등의 증세를 다스린다. 식상병* 감모* 월경통에 응용되며, 소화불량이면 신곡* 빈랑을 더해 쓴다.
|
소엽, 진피, 창출, 향부자, 오약, 천궁, 강활, 지각, 마황, 감초 각 4g, 생강 3쪽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가슴이 뒤틀리고 아플 때 약을 먹는데, 약을 먹은 다음에 몸을 따뜻하게 하면 약효가 빠르다.
|
행소탕 (杏蘇湯) |
찬바람을 쏘여 기침이 나면서 가래가 끓는 기관지염 증세에 쓴다.
|
행인, 소엽, 상백피, 진피, 반하, 패모, 백출, 오미자 각 4g, 감초 2g, 생강 5쪽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후 30분~1시간에 복용한다.
|
행습유기산 (行濕流氣散) |
풍*한*습의 마비에 쓰는데 손발에 마비가 있거나 번번히 쑤시고 아프면서 힘이 없을 때, 신경통*류머티즘 등의 증세에 쓴다. * 이상의 약재를 10첩으로 하여 탕제로 해도 상관없다.
|
의이인 80g, 백복령 60g, 창출, 강활, 방풍, 천오(구운 것) 각 40g
|
이상의 약재를 몽근 가루로 만든다. 탕제로 할 때는 위의 약재가 10첩 분량이다.
|
1일 3회 따뜻한 술이나 파밑 흰뿌리를 끓인 물로 1회에 6g씩 복용한다.
|
향갈탕 (香葛湯) |
음양 관계를 따지지 않고 양감증과 머리 아픈 증세, 한열증 등을 낫게 한다. 체가 끼었을 때는 신곡, 지실, 목과를 더해 쓰면 좋다.
|
창출, 소엽, 백작약, 향부자, 승마, 갈근, 진피 각 4g, 천오, 백지, 감초 각 2g, 생강 3쪽, 파밑 흰뿌리 2쪽, 두시 7개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후 4시간에 복용한 다음 몸을 덥게 하여 땀을 내면 좋다.
|
향사양위탕 (香砂養胃湯) |
위가 차가워 식욕이 없고 속이 거북한 증세를 다스린다. 응용으로는 비장이 허할 때, 가슴이 아플 때, 위염*위하수*위확장*위무력 등에 넓게 쓴다. 이 약은 삼출건비탕과 비슷하다.
|
백출 4g, 사인, 창출, 후박, 진피, 백복령 각 3.2g, 백두구 2.8g, 인삼, 목향, 감초 각 1.2g, 생강 3쪽, 대추2개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후 2시간에 복용한다.
|
향사육군자탕 (香砂六君子湯) |
비장이 허하여 식욕이 없고, 먹고 나면 뱃속이 거북하거나 가스가 찬 증세를 다스린다. 위무력, 식욕부진 등에 응용된다. 비장이 허할 때는 인삼을 10~20g까지 증량하여 쓰고, 허냉한 경우에는 건강*계피를 더하며, 주체에는 양강을 더해 쓴다. 먹은 것이 답답할 때는 지실과 황련을 더해 쓰면 좋다.
|
향부자, 백출, 백복령, 반하, 진피, 백두구, 후박 각 4g, 사인, 인삼, 목향, 익지인, 감초 각 2g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후 1시간에 복용한다.
|
향사평위산 (香砂平胃散) |
음식을 먹고 위장장애를 일으켰을 때, 지나치게 식욕이 왕성해져 평상시의 두 배를 먹을 때, 음식을 먹고 나면 소화가 되지 않을 때 등의 증세를 낫게 한다. 응용으로는 식상, 조잡증, 위장병, 위산과다증에 쓴다.
|
창출 8g, 진피, 향부자 각 4g, 지실, 곽향 각 3,2g, 후박, 사인 각 2.8g, 목향, 감초 각 2g, 생강 3쪽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후 1시간에 복용한다.
|
향소산 (香蘇散) |
사시상한 머리 또는 신체통, 바람에 상했을 때, 전염벙 등에 쓴다. 풍기로 온 마비 증세, 감기, 물고기나 게 같은 것을 먹어 적이 되었을 때, 손발이 빳빳하게 굳어질 때, 기가 울체되어 가슴이 답답할 때 등의 증세에 주로 쓴다. 습으로 손발이 마비되었을 때에는 마황, 계지, 강활, 백지, 목과 4g씩을 더하면 곽향정기산이 된다. 특히, 풍으로 춥고 아픈 증세를 낫게 한다.
|
향부자, 소엽 각 8g, 창출 6g, 진피 4g, 감초 2g, 생강 3쪽, 파밑 흰뿌리 2쪽
|
이상의 약재에 물 한 대접을 붓고 1시간 정도 달여 반 대접이 되게 한다.
|
1일 2~3회 식후 1시간에 복용한다. 약을 먹고 난 다음 몸을 덥게 하여 땀을 흠뻑 내면 몸이 풀린다.
|
향연환 (香連丸) |
붉고 흰 설사가 날 때, 아랫배에 가스가 차면서 아플 때나 모든 이질 증세에 주로 쓴다.
|
황련(황련 40g을 오수유 20g과 함께 물에 담근 후 하룻밤 지난 다음 오수유는 건져내고 황련 40g만 쓴다), 목향 10g
|
오수유를 건져낸 후 황련과 목향을 잘 말린 다음 고운 가루로 빻아 초를 섞은 쌀플로 버무려 오동씨 크기만한 환약을 만든다.
|
1일 2~3회 정도 1회에 20~30알 정도를 물로 복용한다.
|
향유산 (香유散) |
여름철에 더위로 인하여 얻은 모든 병에 쓴다. 더위를 먹은데 여름철의 곽란에 설사를 하거나 토사곽란을 일으켰을 때 주로 쓴다. 설사가 심하여 맥이 약하게 뛸 때는 이공산을 합해 쓰고, 백작약, 차전자, 진창미(볶은 것) 약간과 오매, 등심을 더하면 좋다. 여름의 곽란에는 생맥산을 합방하고 다시 신곡, 빈랑, 지실, 소업, 오수유, 모과를 더해 쓰면 잘 듣는다. 기력이 너무 떨어졌을 때는 인삼을 더 넣고 열이 너무 심할 때는 황련을 더해 쓰며, 심하게 토할 때는 백두고*정향을 더하고 설사가 심하면 제령과 택사를 더해 쓰며, 목이 마른 갈증에는 건갈을 더해 쓴다.
|
향유 12g, 후박, 백편두 각 6g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정도 식후 1시간에 술을 약간 첨가하여 차게 하여 복용한다.
|
향평산 (香平散) |
이 약은 평위산에다 향유산을 합방한 것인데 비위가 불화하여 음식 생각이 없을 때, 심복에 가스가 가득 찼을 때, 속이 메스꺼울 때, 하품이나 딸꾹질을 하고 시큼한 침을 흘리거나 얼굴이 노랗게 되었을 때, 몸이 너무 말라 누워 있기를 좋아할 때에 쓰는데, 특히 여름 더위에 좋다.
|
창출 8g, 진피 5g, 후박 4g, 감초 2g, 향수 12g, 백편두 6g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후 2시간에 복용한다.
|
형개산 (荊芥散) |
코피를 쏟을 때나 산후 빈혈에 특효약이다.
|
형개 상당량
|
준비된 형개를 고운 가루로 만든다.
|
시간에 관계없이 1회 복용량 8g 정도를 아기의 소변 한 컵에 타서 마신다.
|
형개연교탕 (荊芥連翹湯) |
양쪽 귀 모두가 부어 아픈(인체의 12경락 중의 신장경에서 기인된 것) 증세를 다스린다. 평소에 혈허(血虛)하면서, 만성염증이 있거나, 만성알러지가 있는 선병체질의 사람이, 만성염증으로 혈액의 점도는 높고, 신경은 예민할 때 신경을 안정시키며, 항균작용, 소염작용, 조혈작용, 항알러지 작용을 하여 체질을 개선 [참고] 1. 체질자체를 개선해야 되므로 오랫동안 사용해야 되며 임상경험에 의하면 유년기에는 시호청간산증이었다가 청년기가 되면 본 방증이 된다. 그러므로 본 방은 청년기의 선병체질 개선약의 1차선택약이다. 2. 온청음이 기본방이며 그 외에 소염제가 많이 처방되어 있어서 체질적인 고지혈증, 고점도혈증, 혈소판응고증 등으로 인한 여러가지 염증과 알러지를 개선하며, 또는 만성염증에 의한 고점도 혈증과 신경질환을 개선한다.
빈혈성이면서 혈액의 점도가 높아서 얼굴이나 눈이 충혈되거나 신경이 예민한 사람이 급만성 중이염, 또 는 알러지비염 등의 증상에 기름 같은 농이 나올 때가 많다. 피부는 검고 약간의 광택을 띄며 주로 비후성비염, 편도염, 축농증, 중이염 등을 만성적으로 앓고 있을 때가 많다. 비후성(肥厚性)비염, 알러지비염, 축농증. 편도염, 여드름, 만성중이염 등을 만성적으로 앓고 있는 선병체질청년의 체질개선 약이다.
|
형개, 연교, 방풍, 당귀, 천궁, 백작약, 시호, 지각, 황금, 치자, 백지, 길경 각 2.8g, 감초 2g
황련, 황금, 치자, 천궁, 시호: 진정작용 황백, 황련, 연교, 방풍, 우방자, 형개: 항균작용을 하고 특히 우방자는 인후염에 항균작용이 강하다. 치자, 박하엽, 시호, 황금, 황련, 황백, 길경, 형개: 혈액의 점도를 낮추고 소염작용 천궁, 작약, 당귀, 숙지황: 조혈작용과 혈액순환 촉진작용 백지, 박하엽: 진통작용 황금, 지각: 소화를 촉진 황금, 연교, 지각, 시호, 박하엽: 항알러지 작용 시호: 면역능력을 조절하여 감염을 예방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후에 복용한다. |
형소탕 (荊蘇湯) |
찬바람을 많이 쏘여 갑자기 목이 막혔을 때, 목이 쉬었을 때 효과가 있는 약이다. 목이 아플 때는 계피를 빼고 길경을 더해 쓴다.
|
형개, 소엽, 목통, 귤홍, 당귀, 날계, 석창포 각 4g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후 30분에 약을 따뜻하게 하여 복용한다.
|
화위이진전 (和胃二陣前) |
위가 차가우면 한담이 생기는데 그것을 다스린다. 속이 메스껍거나 토하는데 응용된다.
|
건강(볶은 것) 8g, 진피, 반하, 백복령 각 6g, 감초 3g, 사인 2g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후 1시간에 복용한다.
|
화해음 (和解飮) |
상한 독감 등을 다스린다. 껍질을 벗기지 않은 교맥 8g과 파밑 흰뿌리 4쪽을 더하면 좋고, 음식에 체했으면 산사*신곡을 더해 쓴다.
|
추맥(껍질을 벗기지 않은 것) 20g, 인동(마디를 버리고 초한 것) 10g, 생율(껍질을 벗기지 않은 것) 10개, 생강(덩어리로 된 것) 12g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후 2시간에 복용한다. 복용 후 땀을 내면 좋다.
|
활혈구풍산 (活血驅風散) |
신장풍, 창양통, 음낭 밑의 풍습소양증, 양 허벅지가 헐고 아픈 증세에 응용된다.
|
창출(볶은 것), 두충(생강즙에 볶은 것), 육계, 천마, 의이인, 귤홍, 빈랑, 후박, 지각 각 2.4g, 당귀, 천궁, 백지, 세신, 백질여(볶은 것), 도인, 백작약, 반하, 오령지, 감초 각 2g, 생강 5쪽, 대추 2개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유향 가루를 조금 넣어) 식전 공복에 복용한다.
|
활혈윤조생진음 (活血潤燥生津飮) |
당뇨병의 통상적인 치료약이다.
|
천문동, 맥문동, 과루인, 마자인, 당귀, 숙지황, 생지황, 천화분, 감초 각 4g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전 공복에 복용한다.
|
황금작약탕 (黃芩芍藥湯) |
피고름 같은 이질 설사와 배앓이를 다스린다. 맥이 넓게 뛰지만 빠른 게 특징이다. 어린이의 설사나 홍역, 이질 등에 적용된다. 배가 아플 때는 계심 1.3g을 더하고, 더위에는 향수*백편두*황련을 더하며, 소변보기가 껄끄러울 때는 제령*택사*등심 같은 것을 더해 쓴다.
|
황금, 백작약 각 8g, 감초 4g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전 공복에 복용한다.
|
황금탕 (黃芩湯) |
폐화가 성하여 콧구멍이 마르고 헐고 아픈 증세를 다스린다. 비치(코안에 뭔가 돋은 것), 비창(축농증)에도 응용된다.
|
편금(술에 볶은 것), 치자(술에 볶은 것), 길경, 적작약, 상백피, 맥문동, 형개, 박하, 연교 각 4g, 감초 1.2g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후에 복용한다.
|
황기건중탕 (黃基健中湯) |
겹친 피로 때문에 몸을 가눌 수 없을 때, 배가 아플 때, 가슴이 두근거릴 때, 머리가 어지러울 때, 이질 설사를 할 때, 변비가 있을 때, 혈관투과성 항진출혈 증세가 있을 때, 황달이나 근육통 또는 직장의 근육이 뒤틀릴 때 등의 증세를 다스린다. 이 약의 응용으로는 선병질 또는 신경쇠약자*편도선*비대증*아데노이드*연주창*임파선*종창*폐결핵*결핵성 복막염*위 아토니*위하수*위산과다증*위궤양*위암*소화불량*배앓이*황달*탈장*탈홍*야뇨증*천식*코피날 때, 어린이의 야뇨증*각기병*저혈압*고혈압*자반병*안저출혈증*결막염 등의 증세에 쓴다. 이 약에서 황기를 빼면 건중탕이 되고, 본방의 주증은 기가 허해 식은 땀을 흘리는 증세를 다스린다. 건중탕에다 이중탕을 합방하면 허냉복통을 다스리고, 적기와 선기가 위로 치밀 때는 건중탕에다 회향*오수유*호초*현호색*전갈을 더해 쓰며, 횟배로 궐이 되었을 때는 용안육 20g*전초*오매*사군자 등을 더해 쓴다. 허증이 극심할 때는 인삼 12~20g을 더해 쓰면 좋다. * 이상의 설명은 소건중탕의 설명이고, 황기건중탕은 소건중탕에 황기를 더해 기운이 없어 식은땀을 흘리는 증세에 쓴다.
|
백작약 20g, 계지 12g, 감초 6g, 교미(엿) 40g, 황기 12g, 생강 3쪽, 대추2개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간에 흑설탕 40g을 녹인 물로 복용한다.
|
황련아교탕 (黃連阿膠湯) |
소음병을 얻은지 2, 3일이 되어 가슴이 답답하고 누워 있을 수가 없을 때 반드시 황련아교탕을 사용한다.신경의 흥분과, 뇌세포의 영양부족으로 정신질환(精神疾患)이 생기거나, 열병(熱病)으로, 체액이 심하게 소모되어, 영양부족으로 인하여 뇌(腦)의 흥분 억제과정이 약해져서 나타나는 정신질환 증상에 뇌세포에 영양을 공급하여 뇌신경의 흥분을 억제한다. 주로 허증에 사용하며 속에 열이 있고 체액이 마르고 가슴이 답답하여 잠을 자지 못할 때.
신경정신질환으로 히스테리, 노이로제, 정신분열증. 밤에 잠을 자지 못할 정도로 맹렬히 가려운 피부병에 사용한다. 의처증 환자. 코피, 객혈, 토혈, 안출혈, 혈뇨 등. 대장염, 적리(赤利), 직장궤양 등에 설사하거나 농혈(膿血)이 있을 때. 소변이 붉고 탁하며 열탕(熱湯)과 같이 뜨거울 때.
|
황련(黃連) 8g, 황금(黃芩), 작약(芍藥)/각4g, 아교(阿膠) 3g, 난황 1개 (아교,난황 외 3가지를 물 600cc로 달인 후 찌거기를 제거하고 아교를 넣어서 다시 불에 얹어서 용해시킨 후 조금 식혀서 난황 1개를 넣고 잘 저어서 2번 나누어 마신다.)
아교, 난황: 뇌세포에 영양을 공급하여 뇌신경 흥분을 억제 작약, 황련, 황금: 진정작용
|
|
|
황련청심음 (黃蓮淸心飮) |
군화(심장에서 열이 나는 것)가 동하면 상화(소장에서 열이 나는 것)가 따라 동하여 정수를 설한다 하였으니 화와 정력과는 절대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봐야 한다. 이 약은 조루증에 특효약이다.
|
황련, 생지황, 당귀, 감초, 백복신, 산조인(볶은 것), 원지, 인삼, 연육 각 4g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후 2시간에 복용한다.
|
황련탕1 (黃連湯) |
위쪽으로 열이 있고 아래쪽으로 차가우면서 배가 아파 토하고 싶은 배앓이에 쓴다. 양이 내려가지 못해 가슴에 열이 나면서 토하고 싶을 때, 음이 올라가지 못해 배가 아플 때의 증세는 음양의 조화가 깨진 것이다.
|
황련 8g, 인삼 6g, 반하 4.8g, 건강, 계지 각 4g, 감초 2g, 생강 3쪽, 대추 2개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후 30분에 복용한다. |
황련탕2 |
심화가 성하여 혓바늘이 돋거나 무엇이 났을 때, 혀끝에서 피가 날 때, 혀가 굳어지거나 항문에 습독이 끼었을 때 등의 증세를 다스린다. 열이 심하면 구미청심원 2알과 함께 복용한다.
|
황련(술에 볶은 것), 치자(볶은 것), 생지황(술로 ?은 것), 맥문동, 당귀(술에 씻은 것), 적작약 각 4g, 서각, 반하, 감초 각 2g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후 복용한다.
|
황련해독탕 (黃連解毒湯) |
상한병을 앓아 열이 크게 나면서 심하게 갈증을 느끼고 잠을 이룰 수 없으며, 건구역질을 하고 입이 마르거나 숨이 찬 증세의 모든 열독을 낫게 한다. 이약은 약성이 차가운 것들로 구성된 것이기 때문에 열독을 푸는 데는 성약이다. 급성 열병이나 헛소리를 할 때, 피를 토하거나 흘릴 때, 코피*치질 출혈* 두드러기로 열이 나면서 갈증이 심할 때, 혈증으로 갈증을 느낄 때 주로 쓴다. 장에 바람이 들어 맥이 홍대할 때는 사물탕을 합방하고, 종기나 단독으로 내외에 모두 실열이 있을 때는 승마갈근탕을 합해 쓰며, 현삼*방풍*형개*선퇴 같은 거을 더해 써도 된다.
|
황련, 황금, 황백, 치자 각 5g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8부쯤 되게 달인다.
|
열이 내릴 때까지 수시로 복용한다.
|
황련환 (黃連丸) |
피고름 같은 이질 설사, 아랫배가 부르고 아플 때, 모든 이질과 임산부의 이질을 다스린다. 기력이 없을 때는 인삼을 더하고 배앓이가 심할 때는 계심을 더하면 좋다.
|
황련 40g, 오수유 20g(물에 담궈 하룻밤을 재운 것), 목향 10g
|
이상의 약재를 곱게 가루로 만든 다음 술로 섞은 풀로 오동씨 크기만한 환약을 만든다.
|
횟수에 관계없이 1회에 20~30알씩 식전 공복에 미음으로 복용한다.
|
회생산 (回生散) |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할 때 조금의 위기만 남아 있어도 회생이 가능하다. 이 약에다 목유산을 합방하면 목유회생산이 된다. 체기가 있다 생각되면 산사*신곡*빈랑*지실을 더하고, 기체가 되었으면 소엽을 더해 쓰거나 소합원을 함께 쓰며, 여름 더위의 관락에는 향유*백편두를 더한다. 구토가 심하면 정향*백두구를 더하고, 회가 동했으면 화초*오매*목과를 더해 쓰다.
|
곽향, 진피 각 20g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 정도의 물을 붓고 8부쯤 되게 빨리 달인다.
|
약이 만들어지면 즉시 복용한다. 한 번에 먹지 못하면 두 번, 세번에 나누어 먹어도 된다.
|
회수산 (回首散) |
목덜미가 빳빳하고 근육이 당길 때 쓴다. 베개를 잘못 베고 자서 목을 움직일 수 없을 때 쓴다.
|
오약순기산에 강활, 독활, 목과 각 4g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후 30분에 복용하고 몸을 덥게 하여 땀을 흠뻑 내면 풀린다.
|
회춘양격산 (回春凉膈散) |
삼초의 열이 성하여 입과 혀가 헐고 아픈 증세를 다스린다. 구내염, 구내마란, 구신, 에페레스, 두창, 피부명, 코피가 날 때, 두드러기 등에 응용된다.
|
연교 5g, 황금, 치자, 길경, 황련, 박하, 당귀, 생지황, 지각, 적작약, 감초 각 3g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후에 복용한다.
|
회향안신탕 (回香安腎湯) |
왼쪽의 고환이 빠져나와 계란 만한 것을 다스린다.
|
인삼, 백출, 백복령, 회향, 파고지, 빈랑, 오약, 편향부, 축사, 여지해 각 3.2g, 황백, 택사 각 2.4g, 현호색, 목향 각 1.6g, 승마, 감초 각 0.8g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전 공복에 복용한다.
|
후박온중탕 (厚朴溫中湯) |
한기가 속으로 들어가 위에 영향을 주어 가슴과 배가 차갑고 가스가 차는 증세를 다스린다. 응용으로는 냉체, 기생충, 배앓이, 가슴앓이, 뱃속이 차면서 아픈 증세에 쓴다. 기가 허할 때는 인삼과 계지를 더해 쓰며, 체가 끼었을 때는 산사*신곡*빈랑*지실을 더해 쓰며, 회가 동할 때는 산사*빈랑*사군자*오매*화초를 더해 쓰면 좋다.
|
건강(불에 구운 것) 8g, 후박, 진피 각 6g, 적복령, 초두구(불에 구운 것) 각 2.8g, 목향, 감초(구운 것) 각 2g, 생강 3쪽, 대추 2개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후 2시간에 복용한다.
|
후박전 (厚朴前) |
대소변에 피가 섞인 것과 빈혈을 다스린다. 기가 허하면 영위로부터 기가 스며들어 하혈을 하게 된다.
|
후박, 생강(함께 노랗게 볶은 것) 각 20g, 백출, 신곡, 맥아(함께 노랗게 볶은 것), 오미자 각 40g
|
이상의 약재를 고운 가루로 만들어 물로 오동씨 크기만한 환약을 빚는다.
|
1일 3회 식후 2~3시간에 1회에 100알씩 미음으로 복용한다.
|
휴학음 (休虐飮) |
학질병에 가장 뛰어난 약이다. 땀을 너무 많이 흘려 원기가 회복되지 않을 때도 효과가 있다.
|
하수오 20g, 인삼, 백출, 당귀 각 12~16g, 감초(구운 것) 3g
|
이상의 약재를 끓인 물 반 대점과 찬물 반 대접을 붓고 끓인다.
|
밤이슬을 하룻밤 동안 맞힌 다음 따뜻하게 하여 식후 3~4시간 사이에 복용한다.
|
희두토홍환 (稀痘兎紅丸) |
마마나 홍역을 예방한다.
|
토끼(산 것) 1마리
|
토끼 한마리를 음력 12월 8일에 피를 뽑아 메밀 가루에 웅환 가루 2g을 섞어 떡처럼 굳어지면 녹두알 크기만한 환약을 빚는다.
|
생후 3일밖에 되지 않은 유아일 때는 환약 3알을 젖에 풀어 먹이고, 1살이면 5~7알, 3살이면 15알을 먹인다. *오래 먹이면 몸에 붉은 반점이 생기는데 그것은 약효때문이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