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여소리
※해설
상여 소리는 장례의식 때 상여꾼(향도꾼, 상도꾼)들이 부르는
선후창의 노래로서 향두가,
또는 행성소리라고도 한다.
전국적으로 장례식을 거행할 때는 으레 상여 소리를 불렀다.
상여 소리는 이승을 떠나는 사자(死者)의 입장에서
이별의 슬픔과 회한(悔恨),
산 사람들에 대한 당부를 엮어 나가는데,
그 사설과 선율이 구슬퍼서 비장감을 자아낸다.
이러한 특징은 아래 수록한 자료에서도 확인된다.
이 자료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돼 있는데,
'상여 어르는 소리'는 상여 나가기 전에 부르는 것이고,
'상여소리'는 상여를 메고갈 때의 노래이며,
'잦은상여소리'는 언덕을 올라갈 때나
좁은 다리를 건널 때 부르는 것이다.
※출처 :
1984년에 경남 고성군 고성읍 우산리에서 채록된 것으로,
김임종(남,5 2)이 앞소리를 맡았다.
이 자료는 MBC, <<한국민요대전-경상남도편 민요해설집>>,
1994, 115-117면의 자료를 옮겨 정리한 것이다.
상여 어르는 소리
아, 어~ 호오
후렴(=#) : 아~ 어~ 호오
에이 갑자년 유월 학생 김해김공
정명(定命) 팔십 다 못살고 북망산천(北邙山川) 가는구나 #
에~헤이 청산(靑山) 가네 청산 가네 ~이 청산 가는 길이
에~이 일가 친척 행상 행하(行上行下)가 아 모다 잊지 못할 혈족(血族)이로고나 #
에~ 이 세상 벗님네들 그리운 친우 갑인(親友甲人)들과
아~ 옛 놀던 추억이 모다 꿈이로구나아 #
에이 애탄개탄 살던 세간 안 먹고가며 쓰고 갈까
에~ 이 간다 간다 나는 간다 북망산천 나는 간다 아 #
상여소리
어~호 ~어어 ~호 어이가리 넘차 ~어 ~호
후폄(=#) : 어~호 ~어어 ~호 어이가리 넘차 ~어 ~호
북망산천이 머~다더니마는 문전산(門前山)이 북망산이네 #
황천수(黃天水)가 머~다더니마는 한분 가면 못오는고 #
일가친척이 많건마는 어느 일가가 대신갈꼬 #
명사십리 해당화야 꽃이 진다고 서러 마라 #
명년 삼월이 돌아오면 너는 다시 피련마는 #
우리 인생 한번 가면 다시 오지는 못하리라 #
명정공포(銘旌功布)가 앞을 서니 황천길이 분명코나 #
앞 동산에 두견새야 너도 나를 기다리나 #
뒷동산에 접둥새야 너도 나를 기다리나 #
두견 접둥아 우지 마라 나도 너를 찾아간다 #
인제 가면 언제 오나 돌아올 날이나 일러보자 #
동방화개(東方花開) 춘풍시(春風時)에 꽃이 피거든 내가 오지 #
말 머리에 뿔이 나면 이 세상에 다시 올까 #
까마구 머리가 희어지면 이 세상에 다시 올까 #
쪼그마한 쪼약돌이 널다란 광석(廣石)되야 #
정이 맞거든 다시 올까 언제 다시 돌아올꼬 #
석상(石上)에다가 진주(眞珠)를 심어 싹이 나거든 다시 올까 #
평풍 안에 그린 장닭 두 나래를 훨훨 치며 깩깩 울거든 다시 올까 #
북망산천을 찾아가서 사토로 집을 짓고 #
송죽(松竹)으로 울을 삼고 두견 접동새 벗이 되야 #
산첩첩이 하니 처량한 것이 혼백이라 #
자손들이 늘어서서 평토제사(平土祭祀) 지낼 적에 #
어동육서(魚東肉西) 좌포우혜(左脯右醯) 삼색 과실을 채려 놓고 #
방성통곡(放聲痛哭) 슬피 운들 먹는 줄을 뉘가 알며 #
꾸는 줄을 뉘가 알꼬 아이구 아이구 내 신세야 #
어화 세상 벗님네들 살아 생전에 많이 먹고 재미있게 잘 사시오 #
잦은 상여소리
넘차~ 넘차
후렴(=#) : 어화 넘차
어이가리 넘차# 열 두발 #
상두꾼아 # 발 맞추어 #
운상(運喪)하소 # 앞에 사람은 #
땡겨 주고 # 뒤에 사람은 #
밀어 주소 # 태산 준령 #
험한 길을 # 상두꾼아 #
언제 갈꼬 # 다리 아파서 #
내 못가겄다 # 넘차 넘차 #
어화 넘차 # 어이가리 넘차 #
넘차 넘차 #
(경기도 옹진군 송림면 연평리/앞:조희준(64세)/1993) -불쌍하다 가련도 하다 ※초상집에서 동네 사람들이 밤을 새면서 망인을 추모하면서 부르는 노래. 밤샘을 하면서 부르는 것은 다음에 나오는 신안의 '밤달애노래'나 진도의 '다시래기'와 같으나 유흥으로 흐르지 않고 망인을 추모하는 분위기로 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전남 신안군 비금면 죽림리/앞:박효엽(70세)/1989) ※ 초상집에서 동네 사람들이 밤을 새워 놀면서 부르던 노래. 현지에서는 '밤달애노래'라고 한다. 사람들은 소고를 치고 율동을 하면서 이런 노래를 불렀다고 한다. 가창자들은 이 노래가 유랑연예집단인 '남사당패'의 노래라 하나 어떤 계기로 그들로부터 이런 노래를 배웠는지는 확실치 않다. 노랫말도 장례식과는 전혀 상관없는 유흥요의 가사들이다.(노랫말 번역 생략)
에에 에에 에허허이야 나먼보살 ※상여를 장지로 운반하면서 하는 소리. 맨 앞의 긴 소리는 '오장소리'라 하여 상여를 메고 서서 출발하기 전에 부르는 것으로, 원래 세 번 하는 것인데 시간관계로 한번만 수록했다. '관암보살'과 '나무아미타불'소리는 평지를 천천히 가면서, '어리가리'와 '어하넘차'와 소리는 보통걸음으로 가면서, '너화널'소리는 좁은 다리를 건너면서 하는 소리라 한다. 마지막에 '관암보살'소리를 한번 하면서 상여를 내려놓는다. (충남 논산군 상월면 대명리/가:박명종(74세) 외, 나:박만원(55세) 외/1995)
에헤야 에헤야 느시랑거리고 왜 왔댔나
돌아가신 맹인이1) 불쌍하다
-저승 길이 멀다고 해도
대문 밖이 저승일세
-언제 오려나 언제나 오시려나
우리나 부모님 언제 오시려나
-사롱2) 아래 삶은 팥이
싹이나 나면은 오시려나
-병풍 안에 그린 수탉
날개나 치면은 오시려나
-잘 살어라 잘 살어라
아들 딸 낳고서 너 잘 살어라
-세월 청춘아 가면 너 혼자 가지
아까운 청춘을 왜 데리구 가나
정월 대보름날 액맥이 연이 떴네 떠
이월 한식날 수조구1) 대가리 떴네 떠
삼월 삼짇날 연자2) 새끼가 떴네 떠
사월 초파일날 관등불이 떴네 떠
오월 단오날 춘향이 춘천이3) 떴네 떠
유월 유두날 개떡 바구리 떴네 떠
저렇게 둥덩실 높이만 떳고나 에헤헤야헤
높이만 떴네 높이만 떴네
저렇게 둥덩실 높이만 떴고나 에헤헤야헤
떠나려 온다 떠나려 온다 청천 기러기 떠나려 온다야
청천한 기러기 떠나려 온고나 헤에헤야헤
떠나려 온다 떠나려 온다
청천한 기러기 떠나려 온고나 헤헤에헤헤
한질 가운데 먹감나무 한량에 칼자리로4) 다 들어간다야
한량에 칼자리로만 다 들어간고나 헤에헤야헤
다 들어 간다 다 들어 간다
한량에 칼자리로만 다 들어간고나 헤에헤야헤
옴방에 톰방5) 뱅뱅에 도리6) 하느작 하느작 날 실러 온다야
하느작 하느작 날 실러 온고나 헤헤헤야헤
날 실러 온다 날 실러 온다
하느작 하느작 날 실러 온고나 헤에헤야헤
올똥볼똥 저 남산7) 보아라 우리도 죽어지면 저 모냥 될거나
우리도 죽어지면은 저 모냥 된고나 헤에헤야헤
저 모냥 된다 저 모냥 된다
우리도 죽어지면은 저 모냥 될고나 헤에헤야헤
뒷동산에 박달나무 홍둘깨 방망이로 다 들어간다야
홍둘깨 방망이로만 다 들어 간고나 헤에헤야헤
다 들어간다 다 들어간다
홍둘깨 방망이로만 다 들어간고나 헤에헤야헤
뒷동산에 비사릿대는 꽂감에 꼬쟁이로 다 들어간다야
꽂감에 꼬쟁이로만 다 들어간고나 헤에헤야헤
다 들어간다 다 들어간다
꽂감에 꼬쟁이로만 다 들어간고나 헤에헤야헤
날 잡어 가거라 날 잡어 가거라
괴샅에8) 도챕아9) 날 잡어 가거라
괴샅에 도챕아 날 잡어 갈고나 헤에헤야헤
날 잡어 가게 날 잡어 가게
괴샅에 도챕아 날 잡어 갈고나 헤에헤야헤
(전남 곡성군 삼기면 원등리/앞: 황수성(70세)/1990)
에에 에에 에허허이야 나먼보살
관암보이야 관암보살
관암보이야 관암보살
앞산도 첩첩하고 뒷산도 캄캄한데 혼은 어디로 가셨네
그려 쉽게 가시려거든 당초 이 세상을 나오시지를 말제
황천길이 멀고도 멀다더니 지체없이도 잘 가셨소
오호 호호 오호 호호 나무아미타불
오호 호호 오호 호호 나무아미타불
북망산천이 머다더니 건네 안산이 북망일레
나는 가네 나는 가네 북만으 산천으로 나는 가네
가세 가세 어서 가세 일석지집을1) 어서 가세
허허 허허이 어리가리 허화널 허널 허화널
허허 허허이 어리가리 허화널 허널 허화널
애들 쓰네 애들 쓰네 우리 유대군들2) 애덜 쓰네
조심들 허세 조심들 허세 우리 형제군들 조심들 허세
가세 가세 워서를 가세 날만 따라서 걸어를 오소
허허 허 허허허이 헤헤야 어화 넘차 너화널
허허 허 허허허이 헤헤야 어화 넘차 너화널
어서 오소 어서를 오소 날만 따라서 어서 오소
다 되야 가네 다 되야 가네 일석지지가 다 되야 가네
잘도 허네 잘도 허네 우리나 유대군덜이 잘도 허네
너화 너화 너화널
너화 너화 너화널
어리가리넘차 너화널
조심들 허세 조심들 허세
유대 형제군들 조심들 허세
너화 너화 너화널
관암보이 관암보살
관암보이 나먼보살
가: 가세 가세 어서 가세 이수건너 백노가자
헤리 가자 허허허하 허허하 어허하
나: 갈까 말까 망설거리다 내친 걸음에 도망질 가자
헤리 가자 허허허하 어어하 어허하
가: 남문을 열고 바라를1) 치니 계명 산천 다 밝아온다.
헤리 가자 허허허어하 허허하 어허하
나: 오작교 다리가 터덜썩 무너져 건너갈 길 막연하다
헤리 가자 어허허어하 어허하 어허하
가: 여보소 도련님 편안히 가소 오냐 춘향아 네 잘 있거라
헤리 가자 허허허어하 허허하 어허하
나: 팔라당 팔라당 수갑사 댕기 곤때도 안 묻어 사주가 왔다
헤리 가자 허허허어하 어허하 어허하
가: 죽장망햐2) 단포자로3) 천리강산 들어를 간다
헤리 가자 허허허어하 허허하 어허하
나: 시내 갱변 종조리새는4) 천질 만질 구만질 떴다
헤리 가자 허허허어하 어허하 어허하
가: 신산 구산 다 버리고 명산대천 찾어를 간다.
헤리 가자 허허허어하 허허하 어허하
※ 공주군, 논산군, 부여군 일부 지역에서 불리는 특이한 형식의 상여소리. '방맹이상여'라고 하여 대처(관을 얹는 판) 앞뒤에 가로로 마구리(굵고 긴 나무)를 댄 후 마구리에 방망이를 세개씩 대고 방망이 하나에 두 명씩 들어서서 앞뒤 각 6명 도합 12명이 상여를 멘다. '짝소리'라 하여 앞뒤패가 번갈아 소리를 하는데, 한 패가 소리를 채 끝내기 전에 다른 패가 소리를 시작하는 것도 특징이다. 노랫말은 다른 유흥요에 흔히 나오는 내용들이다.
(경기도 용인군 외사면 백암리/앞:유명수(76세)/1993)
어허 어허하 어거리넘차 너화
너너 너하 어거리 넘차 너어호
어제 간밤에 꿈을 꾸니 실낱같은 이 내 몸이
이 내 몸에 병이 들어 부르노니 어머닐세
찾느니 냉수로다 일가친척이 많다더니
부형친구 많어 보니 어느 누가 대신 가리
용약 쓴들 소용있나 약을 쓰니 무엇 하나
무녀 판사1) 디려다가 굿을 한들 소용있나
어제 간밤 꿈을 꾸니 사자님네 달려들어
한 손엔 몽치 들고 또 한 손에 사실2) 들고
굽은 길을 곧게 달려 이 내 몸을 치고 보니
오호
오호 / 오호 / 오호 / 오호
잘 모시네 / 잘 모시네
오호 / 오호 / 오호 / 오호
※ 상두꾼들이 상여를 메고 장지로 가면서 하는 소리. 느린 소리로 평지를 가다가 언덕 위로 오를 때는 빠른 소리를 한다. 노랫말의 내용은 '회심곡(回心曲)'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