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신탕(瀉腎湯) ♣
◈諸淋小腹脹急甚者宜用此大黃二錢犫密器水浸一宿磁石碎一錢六分石菖蒲生地黃各一錢玄參細辛各八分芒硝赤茯巔黃芩各六分甘草四分右犫水二盞煎藥至一盞半入大黃煎至七分去滓下芒硝攪勻空心服《入門》
◈여러 가지 임병으로 아랫배가 몹시 불러 오르고 켕기는 것을 치료한다.
대황(썰어서 물에 담가 하룻밤 꼭 덮어 두었던 것) 8g, 자석(부스러뜨린 것) 6.4g, 석창포, 생지황 각각 4g, 현삼, 족두리풀(세신) 각각 3.2g, 망초, 벌건솔풍령(적복령), 속썩은풀(황금) 각각 2.4g, 감초 1.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 2잔에 넣고 1잔 반이 되게 달인 다음 대황을 넣고 다시 7분이 되게 달여 찌꺼기를 버린다. 다음 망초를 넣고 고루 저어서 빈속에 먹는다[입문].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입문(入門)
편명 ; 내경편(內景篇) 권사(卷四) 소변(小便)
구성약재
감초(甘草): 1.5 g.
대황(大黃): 7.5 g. 물에 1일동안 담근다.
망초(芒硝): 2.25 g.
생지황(生地黃): 3.75 g.
석창포(石菖蒲): 3.75 g.
세신(細辛): 3 g.
자석(磁石): 6 g. 부스러 뜨린다.
적복령(赤茯苓): 2.25 g.
현삼(玄蔘): 3 g.
황금(黃芩): 2.2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썰어서 물 2잔에 넣고 1잔 반이 되게 달인 다음 대황을 넣고 다시 7푼이 되게 달여 찌꺼기를 버린다. 다음 망초를 넣고 고루 저어서 빈속에 먹는다.
주치병증
임병(淋病)
오줌이 잘 나오지 않으면서 아프고 방울방울 끊임없이 떨어지며, 늘 오줌이 급하게 나오면서 짧고 자주 마려운 병증. 임병(淋病), 임증(淋證)이라고도 함. [의학입문(醫學入門)] <임(淋)>에서 "임은 오줌이 잘 나오지 않으면서 아프고 누려고 하면 나오지 않고 누려고 하지 않는 데도 나오며 찔끔찔끔 끊임없이 지리는 것이다.(淋, 小便澀痛, 欲去不去, 不去又來, 滴滴不斷.)"라고 하였다.
이명 ; 임(淋), 임증(淋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