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향탕(木香湯) ♣
◈治冷淋小便淋澁身體淸冷木通木香當歸白芍藥靑皮茴香檳峹澤瀉陳皮甘草各七分肉桂三分右犫作一貼入薑五片空心水煎服《直指》
◈냉림으로 오줌이 찔끔찔끔 나오고 몸이 찬 것을 치료한다.
으름덩굴(목통), 목향,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선귤껍질(청피), 회향, 빈랑, 택사, 귤껍질(陳皮), 감초 각각 2.8g, 육계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달여서 빈속에 먹는다[직지].
=================================================================================
출처 ; 태평혜민화제국방(太平惠民和劑局方)(11세기)
편명 ; 권지십(卷之十) 치소아제질(治小兒諸疾)
내용 ; 냉림(冷淋)으로 인해 소변이 뚝뚝 떨어지고 몸이 찬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甘草): 5500 g.
강황(薑黃): 2500 g.
맥얼(麥蘖): 2500 g. 볶는다.
목향(木香): 1500 g.
염(鹽): 5500 g. 볶는다.
청피(靑皮): 1500 g.
봉무(蓬茂): 2000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가루를 내어 한 번에 3.75g씩, 시간대와 상관없이 끓인 탕에 복용한다.
주치병증
심복자통(心腹刺痛)
흉복부(胸腹部)가 바늘로 찌르는 듯이 아픈 것.
양방병증 ; 상복부자통
흉격비색(胸膈痞塞)
흉격이 막혀 기천(氣喘), 번조(煩躁), 광란(狂亂)이 일어나며 열이 극성한 증. 누르면 심하게 아프고, 통리(通利) 후에도 다시 맺힘.
협륵창만(脇肋脹滿)
협륵이 창만함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직지(直指)
편명 ; 내경편(內景篇) 권사(卷四) 소변(小便)
내용 ; 냉림(冷淋)으로 인해 소변이 뚝뚝 떨어지고 몸이 찬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甘草): 2.625 g.
당귀(當歸): 2.625 g.
목통(木通): 2.625 g.
목향(木香): 2.625 g.
백작약(白芍藥): 2.625 g.
빈랑(檳榔): 2.625 g.
육계(肉桂): 1.125 g.
진피(陳皮): 2.625 g.
청피(靑皮): 2.625 g.
택사(澤瀉): 2.625 g.
회향(茴香): 2.62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편과 함께 달여서 빈 속에 먹는다.
주치병증
냉림(冷淋)
(1) 사지가 궐랭(厥冷)하고 입김과 콧김이 찬 병증. [성제총록(聖濟總錄)] <제림문(諸淋門)>에서 "증상은 추워서 덜덜 떨고 난 후에 임증(淋症)이 발생하므로 이를 냉림이라고 한다.(其狀先寒顫, 然後便溺成淋, 謂之冷淋也.)"라고 하였다. (2) 쌀뜨물 같은 소변이 나오는 임증. [화씨중장경(華氏中臧經)] <논임력소변불리(論淋瀝小便不利)>에서 "냉림은 소변을 자주 보는데 소변이 쌀뜨물처럼 흰 것이다.(冷淋者, 小便數, 色白如泔也.)"라고 하였다. (3) 하원(下元)이 허랭(虛冷)하여 발생한 혈림(血淋).
이명 ; 한림(寒淋), 고림(膏淋), 임(淋), 혈림(血淋)
양방병증 ; 배뇨곤란; 요도염 및 요도 증후군
소변삽(小便澁)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것
양방병증 ; 통증배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