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계음자(小 飮子)
◈治下焦結熱尿血藕節二錢當歸一錢山梔仁八分小喯生地黃滑石通草蒲黃各五分甘草三分右犫作一貼竹葉七片同煎服《丹心》
◈하초에 열이 몰려 있어서 피오줌이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연뿌리 8g, 당귀 4g, 산치자 3.2g, 조뱅이, 생지황, 곱돌(활석), 통초, 부들꽃가루(포황) 각각 2g, 감초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참대잎(죽엽) 7잎과 함께 달여 먹는다[단심].
=================================================================================
출처 ; 의방집해(醫方集解)(1692년)
편명 ; 이혈지제(理血之劑)
내용 ; 하초(下焦)에 열(熱)이 맺혀서 소변에서 피가 섞여 나오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甘草): 1.875 g.
담죽엽(淡竹葉):
당귀(當歸):
목통(木通):
생지황(生地黃):
소계(小薊):
우절(藕節):
치자(梔子): 볶는다.
포황(蒲黃): 까맣게 볶는다.
활석(滑石):
조제용법 ; 약들을 썰어서 물에 끓여 먹는다.
주치병증
열결(熱結)
열사(熱邪)가 모이고 맺혀 나타나는 병리 현상. 열사가 장위(腸胃)에 맺히면 복통, 대변조결(大便燥結), 심하면 조열(潮熱), 섬어(譫語) 등이 있고 맥은 침(沈), 실(實)함. 혈분(血分)에 맺히면 어혈증(瘀血證)이 나타남.
하초열(下焦熱)
하초의 축열증(蓄熱症) 명문화(命門火)가 성해져 방광에 열이 생겨 일어남. 대개 소변적삽(小便赤澁), 대변비결(大便秘結), 혹은 요혈임폐(尿血淋閉) 등이 나타남.
하초열결혈림(下焦熱結血淋)
하초의 축열증(蓄熱症)으로 인해 혈뇨가 있으며 소변시 삽통이 있는 증상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제생(濟生)
편명 ; 내경편(內景篇) 권사(卷四) 소변(小便)
내용 ; 하초(下焦)에 열(熱)이 맺혀서 소변에서 피가 섞여 나오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甘草): 2.625 g. 굽는다.
당귀(當歸): 2.625 g.
산치인(山梔仁): 2.625 g.
생지황(生地黃): 7.5 g.
소계근(小薊根): 2.625 g.
우절(藕節): 2.625 g.
죽엽(竹葉): 2.625 g.
통초(通草): 2.625 g.
포황(蒲黃): 2.625 g. 볶는다.
활석(滑石): 2.625 g.
조제용법 ;약재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
주치병증
요혈(尿血)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 방광출혈, 신장출혈 등. 열이 하초(下焦)에 있어서 생김. 대개 신음부족(腎陰不足)과 심간(心肝)의 화왕(火旺)에 의해, 그 열(熱)이 소장(小腸)으로 옮거나, 또는 비신(脾腎)이 함께 손상(損傷)되어, 혈(血)을 통섭(統攝)못해서 일어난다. 음허화왕(陰虛火旺)이면 소변이 붉고, 요부(腰部)가 묵직하고, 이명(耳鳴)이 있고 , 눈이 흐리고, 심번구건(心煩口乾), 설강(舌絳), 맥(脈)은 세(細), 삭(數)을 나타난다. 비신구손(脾腎俱損)로 일어나면 요혈담적(尿血淡赤), 면색위황(面色萎黃), 음식감소(飮食減少), 요산통(腰痠痛), 사지냉(四肢冷), 설질담백(舌質淡白), 맥허연(脈虛軟)을 나타낸다.
이명 ; 수혈(溲血), 요혈(溺血)
임통(淋痛)
소변이 찔끔찔끔 나오면서 아픈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