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내경편

결음단(結陰丹)

한들 약초방 2015. 11. 2. 09:32

 결음단(結陰丹)

 

 

治結陰便血枳殼威靈仙黃陳皮椿根白皮何首烏荊芥穗各五錢右爲末酒糊和丸梧子大每服五七十丸陳米飮入醋呑下《寶鑑》

 

음이 몰려 있어서 피똥이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지각, 으아리(위령선), 황기, 귤껍질(陳皮), 춘근백피, 은조롱(하수오), 형개수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술에 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묵은 쌀로 미음에 식초를 것으로 먹는다[보감].  

 

=================================================================================

출처 ; 의학입문(醫學入門)(1575년)

편명 ; 잡병용약부하(雜病用藥賦下)

 

내용 ; 음(陰)이 뭉쳐 생긴 변혈(便血)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위령선(威靈仙): 18.75 g.

지각(枳殼): 18.75 g.

진피(秦皮): 18.75 g.

춘근백피(椿根白皮): 18.75 g.

하수오(何首烏): 18.75 g.

형개(荊芥): 18.75 g.

황기(黃芪): 18.75 g.

 

조제용법 ; 가루내어 술풀로 오자대로 환을 만들어 매 50-70환씩을 진미음음에 초 약간을 넣은 것으로 넘긴다(爲末酒糊丸 梧子大 每五七十丸 陳米飮入醋少許下)

 

주치병증

결음(結陰)

변혈(便血)의 일종. [소문(素問)] <음양별론(陰陽別論)>에서는 ‘결음(結陰)은 변혈(便血)을 1되(승(升)) 보는 것이다. 2번 결음하면 2되(승(升))를 3번 결음하면 3되(승(升))의 변혈을 본다.(結陰者, 便血一升, 再結二升, 三結三升)’고 하였다.

양방병증 ; 변혈(便血)

 

장독(臟毒)

(1) 항문이 붓고 아픈 병증. [외과대성(外科大成)] 제2권에서 "장독(臟毒)은 곧 항문이 붓고 아픈 것인데, 다만 내외(內外)와 허실(虛實)의 다름이 있을 따름이다.(臟毒者乃肛門腫痛也, 而有內外虛實之殊.)"라고 하였다. (2) 장(臟)에 독이 쌓여 발생하는 이질. [삼인극일병증방론(三因極一病證方論)] 제15권에서 "그러므로 장풍장독(腸風臟毒)은 자연히 체하문(滯下門)에 속한다. 장독(臟毒)은 바로 장(臟)에 독이 쌓이는 것이다.(然腸風臟毒, 自屬滯下門. 臟毒, 卽是臟中積毒.)"라고 하였다. (3) 변혈(便血)의 하나. 대변을 본 뒤에 피가 나오는 병증. [유문사친(儒門事親)] 제11권에 나옴. 핏덩이가 나오고 색은 검은 자주색이다. 장독은 내상으로 생긴 적(積)이 오래되어서 생긴다. 원혈(遠血)과 같은 뜻으로도 쓰인다. [의학입문(醫學入門)] 제5권에서 "내상(內傷)으로 대변에서 피가 나오는 것을 장독(臟毒)이라 하는데 쌓인 지 오래 되었다가 나오는 까닭으로 색이 검고, 대부분 대변이 나오고 나서 피가 나오는 것이니 소장(小腸)의 혈분(血分)에서 나오기 때문이다.(自內傷得者曰臟毒, 積久乃來, 所以色黯, 多在糞後, 自小腸血分來也.)"라고 하였다.

이명 ; 항옹(肛癰), 반항옹(盤肛癰), 투분서(偸糞鼠)

양방병증 ; 급성 출혈성 위염; 창자의 곁주머니(게실)병; 천공 및 고름집(농양)이 있는 작은창자의 곁주머니(게실)병

 

장풍(腸風)

일종의 변혈(便血)을 주증으로 하는 질병. [소문(素問)] <풍론(風論)>에 "구풍(久風)이 중초(中焦)로 들어가면 장풍(腸風)과 손설(飧泄)이 된다.(久風入中, 則爲腸風, 飧泄.)"라고 하였다.

장출혈(腸出血), 자궁출혈(子宮出血), 치출혈(痔出血), 변혈(便血)

이명 ; 하혈(下血)

 

하혈(下血)

장출혈(腸出血), 자궁출혈(子宮出血), 치출혈(痔出血), 변혈(便血)

'^*^동의보감^*^ > 동의보감내경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소두당귀산(赤小豆當歸散)  (0) 2015.11.02
황토탕(黃土湯)   (0) 2015.11.02
평위지유탕(平胃地楡湯)   (0) 2015.11.02
피똥[便血]   (0) 2015.11.02
입효산(立效散)  (0) 2015.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