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내경편

청심보혈탕(淸心補血湯)

한들 약초방 2015. 11. 3. 09:35

 청심보혈탕(淸心補血湯)

 

治勞心思慮損傷精神頭眩目昏心虛氣短驚悸煩熱人參一錢二分當歸白芍藥炒茯神酸棗仁炒麥門冬各一錢川芎生地黃陳皮梔子炒甘草灸各五分五味子十五粒右作一貼水煎服  

정신적 고통과 지나친 사색으로 정신을 상하여 머리가 어지럽고 눈이 아찔하며 () 허하여 숨결이 밭고 놀라면서 가슴이 두근거리며 번열(煩熱) 나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4.8g,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닦은 ), 복신, 메대추씨(산조인, 닦은 ), 맥문동 각각 4g, 궁궁이(천궁), 생지황, 꿀껍질(진피), 산치자(닦은 ), 감초(닦은 ) 각각 2g, 오미자

 

醫鑑名補血湯必用方名當歸飮

 『의감』에는 보혈탕(補血湯)이라 하였고 『필용방』에는 당귀음(當歸飮)이라고 하였다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편명 ; 내경편(內景篇) 권일(卷一) 신(神)

 

내용 ; 지나친 심려나 사려로 정신을 손상함으로써 머리가 어지럽고 눈앞이 깜깜해지기도 하며, 심(心)이 허하여 숨결이 가쁘거나 경계(驚悸), 가슴이 답답하고 열이 나는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甘草): 1.875 g. 굽는다.        당귀(當歸): 3.75 g.

맥문동(麥門冬): 3.75 g.               백작약(白芍藥): 3.75 g.

복신(茯神): 3.75 g. 볶는다.          산조인(酸棗仁): 3.75 g. 볶는다.

생지황(生地黃): 1.875 g.             오미자(五味子): 15 알(粒).

인삼(人蔘): 4.5 g.                       진피(陳皮): 1.875 g.

천궁(川芎): 1.875 g.                    치자(梔子): 1.875 g. 볶는다.

 

조제용법 ; 약재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

 

주치병증

경계(驚悸)

(1) 이유 없이 제풀에 놀라 가슴이 두근거려 불안한 병증.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허로병제후(虛勞病諸候)>에 "허로(虛勞)하여 혈맥(血脈)을 손상시켜 심기(心氣)가 부족한데다가 사기(邪氣)가 승(乘)하면 놀라 가슴이 두근거리고 진정되지 않는다.(虛勞損傷血脈, 致令心氣不足, 因爲邪氣所乘, 則使驚而悸動不定.)"고 하였다. (2) 어떤 일 때문에 크게 놀란 적이 있어 가슴이 두근거리는 병증. [삼인극일병증방론(三因極一病證方論)] 제10권에 "경계(驚悸)는 어떤 일로 인하여 크게 놀란 적이 있어…… 두근거리는 것으로 이름하여 심경담한(心驚膽寒; 가슴이 놀라고 담이 서늘함)이라 한다.(驚悸, 則因事有所大驚, ……遂使驚悸, 名曰心驚膽寒.)"고 하였다. (3) 갑자기 가슴이 뛰어 의식을 잃고 쓰러질 듯한 병증. [의학정전(醫學正傳)] <정충경계건망증(怔忡驚悸健忘證)>에 "경계는 갑자기 가슴이 놀란 듯이 벌떡벌떡 뛰어 의식을 잃고 쓰러지려 하는 증상으로 때로 발작하는 것이다.(驚悸者, 驀然而跳躍驚動而有欲厥之狀, 有時而作者是也.)"라고 하였다. (4) 소아가 잠을 잘 자지 못하고 가슴이 뛰는 병증.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제372권에 "무릇 소아의 경계(驚悸)는 심장(心臟)에 열이 옹새(壅塞)된 상태에서 풍사(風邪)가 이를 틈타 침범하여 사기(邪氣)가 심장에 머물러(相搏) 발생하는데, 자꾸 놀라며 불안해 하고 경(驚)이 그치지 않는 것이니 즉 계동불안(悸動不安)하게 된다.(夫小兒驚悸者, 由心臟壅熱, 爲風邪所乘, 邪搏于心, 則令多驚不安, 驚不已則悸動不安.)"라고 하였다.

이명 ; 심경담섭(心驚膽懾)

양방병증 ; 심계항진

 

기단(氣短)

호흡이 얕고 힘이 없으며 숨이 찬 것. 실증(實證)은 담음어조(痰飮瘀阻), 기체(氣滯)로 일어나며 흉복(胸腹)이 창만(脹滿)하고, 호흡이 거칠고, 심흉이 비민(痞悶)함. 허증(虛證)은 몸이 약하거나, 오랜 병 등으로 생기며 몸이 마르고, 정신이 피로하며, 숨소리가 낮고, 어지럽고, 기운이 없음. 여러 질병에서 나타남.

이명 ; 단기(短氣), 기소(氣少)

양방병증 ; 가쁜 호흡

 

두현(頭眩)

현훈(眩暈).

이명 ; 현훈(眩暈)

양방병증 ; 어지러움

 

목혼(目眩)

눈이 어두워 물체가 똑똑히 안 보이고 뿌옇게 보이는 증. 오랜 눈병으로 기혈(氣血)의 모상(耗傷), 간신부족(肝腎不足)에 인한 정혈(精血)의 손상, 억지로 눈을 쓰거나, 슬피 울거나, 칠정(七情)의 과도등으로 열기(熱氣)가 울증(鬱蒸)해 현부(玄府)가 막혀 기혈(氣血)이 승강(昇降)되지 않아 일어남. 또 신수부족(腎水不足)으로도 생김.

이명 ; 목매(目眛)

 

번열(煩熱)

열이 나서 가슴이 답답하고 괴로운 증. 외감열병(外感熱病) 때 열사(熱邪)가 발산되지 않거나, 이열증(裏熱症) 때 속에 있는 열이 나가지 못하고 막혀서 생김. 또는 내상잡병(內傷雜病) 때 열이 몰리고 막혀서 생김. 대변이 굳고, 아랫배가 그득하며 편치 않은 것은 양명위경(陽明胃經)의 열 때문임. 내상잡병에서 특히 간화왕성(肝火旺盛)ㆍ음허화왕(陰虛火旺)으로 일어나는 여러 질환에서 나타남.

양방병증 ; 가슴앓이

'^*^동의보감^*^ > 동의보감내경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미정지환(加味定志丸)  (0) 2015.11.03
진사묘향산(辰砂妙香散)   (0) 2015.11.03
가미정지환(加味定志丸)   (0) 2015.11.03
가미온담탕(加味溫膽湯)  (0) 2015.11.03
진심단(鎭心丹)   (0) 2015.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