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내경편

양혈청심탕(養血淸心湯)

한들 약초방 2015. 11. 3. 13:04

 양혈청심탕(養血淸心湯)

 

 

當歸生地黃各一錢半人參白朮茯神遠志薑製酸棗仁炒川芎各一錢甘草五分右作一貼水煎服《醫鑑》

 

당귀, 생지황 각각 6g, 인삼, 흰삽주(백출), 복신, 원지(생강즙으로 법제한 ), 메대추씨(산조인, 닦은 ), 궁궁이(천궁)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의감(醫鑑)

편명 ; 내경편(內景篇) 권일(卷一) 신(神)

 

내용 ; 정신을 과도히 써서 정신병이 난 경우를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甘草): 1.875 g.

당귀(當歸): 5.625 g.

백출(白朮): 3.75 g.

복신(茯神): 3.75 g.

산조인(酸棗仁): 3.75 g. 볶는다.

생지황(生地黃): 5.625 g.

원지(遠志): 3.75 g. 생강으로 포제한다.

인삼(人蔘): 3.75 g.

천궁(川芎): 3.7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주치병증

전광(癲狂)

(1) 일종의 정신 착란 질병. [영추(靈樞)] <전광(癲狂)>에 나옴. [난경(難經)] <이십난(二十難)>에서 "중양(重陽)의 맥(脈)인 경우는 광(狂)이 되고, 중음(重陰)의 맥(脈)인 경우는 전(癲)이 된다.(重陽者狂, 重陰者癲)"라고 하였다. (2) [영추(靈樞)]의 편명. 이 편에서는 전광(癲狂)의 원인과 각종 유형 및 침구 치료 방법을 논술하였다. 그 내용으로는, 전병의 발작 과정, 유형, 임상 표현 및 치료, 예후 등이며, 또한 광병(狂病)은 우울증, 기아(飢餓), 대경대공(大驚大恐), 정기쇠소(正氣衰少), 희락과도(喜樂過渡) 등으로 말미암아 발생한다고 하였다. 이런 여러 가지의 증상에 따라 적당한 침자 치료 방법을 분별하여 소개하였다.

양방병증 ; 정신이상; 양극성 정동 장애

 

================================================================================

출처 ; 수세보원(壽世保元)(17세기초)

편명 ; 무집오권(戊集五卷)

 

내용 ; 정신을 과도히 써서 정신병이 난 경우를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甘草): 1.125 g.

당귀(當歸): 3.75 g. 술로 씻는다.

맥문동(麥門冬): 3.75 g. 심을 제거한다.

백작약(白芍藥): 3.75 g. 술로 볶는다.

산조인(酸棗仁): 3.75 g. 볶는다.

생지황(生地黃): 3.75 g. 술로 씻는다.

원지(遠志): 3.75 g. 심을 제거한다.

천궁(川芎): 2.625 g.

치자(梔子): 3 g. 볶는다.

편금(片芩): 3 g. 썩은 것을 제거한다.

황련(黃連): 3.75 g. 강즙으로 볶는다.

 

조제용법 ; 약재들을 썰어서 1제(劑)로 하여 생강과 함께 끓여서 복용한다.

 

주치병증

경계정충(驚悸怔忡)

경계(驚悸)와 정충(怔忡)을 아울러 이르는 말

양방병증 ; 심계항진

 

혈허(血虛)

체내의 혈이 부족해 생긴 병증. 사려과도, 행방(行房), 기생충, 장부의 허손, 기허(氣虛) 등으로 생혈(生血) 기능이 장애 받아 일어남. 남자는 토혈(吐血), 사혈(瀉血)하고 부인은 산후붕루(産後崩漏)가 있음. 혹은 실도망행(失道妄行)으로 안화두훈(眼花頭暈)이 있고, 저녁에 열이 나고, 피부가 거칠어지며, 얼굴이 허옇고, 맥이 세(細)하고 무력(無力)함. 심하면 건혈로(乾血勞)가 됨.

'^*^동의보감^*^ > 동의보감내경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사산(辰砂散)  (0) 2015.11.03
우거육(牛車肉)  (0) 2015.11.03
영지화담탕(寧志化痰湯)   (0) 2015.11.03
진사영지환(辰砂寧志丸)  (0) 2015.11.03
일취고(一醉膏)  (0) 2015.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