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내경편

진사산(辰砂散)

한들 약초방 2015. 11. 3. 13:06

 진사산(辰砂散)

 

 

治諸癲狂狂言妄走魂魄不守不得睡臥辰砂須光明墻壁者一兩酸棗仁微炒乳香光瑩者各五錢右爲細末先量病人飮酒幾何置病人靜室中以前藥都作一服調溫酒一盞令頓飮至沈醉但勿令吐若不能飮隨量取醉服藥訖便安置床枕令臥病淺者半日至一日病深者三兩日熟睡令家人潛伺之勿喚覺亦不可驚觸使覺待其自醒卽神魂定矣萬一驚悟不可復治《綱目》 

여러 가지 전광증으로 미친소리를 하고 마구 달아나며 정신이 없고 잠을 자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주사(반드시 좋고 투명한 ) 40g,메대추씨(산조인, 약간 닦은 ), 유향(광채가 나는 )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낸다. 먼저 환자가 술을 얼마나 마실 있는가를 알아본 다음 환자를 조용한 방에 앉히고 가루를 약을 한번에 먹게 만들어 데운 한잔에 타서 취하게 먹인다. 이때 반드시 토하지 않게 해야 한다. 만약 술을 마시지 못하면 양에 따라 취할 정도로 먹인다. 약을 먹었으면 편안히 잠자리에 누워 자게 한다. 병이 경하면 한나절이나 하루동안 자게 한다. 병이 심하면 2-3일까지 깊이 자게 한다. 한편 옆사람이 조용히 간호해 준다. 불러 깨우지도 말고 놀라게 하거나 다쳐서 깨어나게도 하지 말아야 한다. 절로 깨어나게 하면 정신이 안정되어진다. 만일 놀라서 깨어나게 하면 다시 치료하지 못한다[강목].

 

一僧忽患癲疾不得眠臥諸藥不效孫兆曰今夜睡着明後日便愈也但有鹹物任與師吃待渴却來道至夜僧果渴孫以溫酒一角調藥一服與之有頃再索酒與之半角其僧兩晝夜乃覺人事如故人問其故孫曰衆人能安神矣而不能使神昏得睡此乃靈苑方中辰砂散也人不能用之耳《綱目》

 어떤 중이 갑자기 전질을 앓으면서 자지 못했다. 온갖 약을 써도 듣지 않았다. 손조가 “오늘밤 잠을 자면 내일 모레는 낫는다. 그런데 것이 있으면 중에게 주어 마음대로 먹게 하고 목이 말라하거든 와서 말하라”고 하였다. 밤이 되어 중이 과연 목이 말라했다. 손씨가 데운 술을 소뿔로 만든 잔으로 하나에다 약을 타서 한꺼번에 먹게 하고 얼마 있다가 다시 술을 찾으니 잔을 주었다. 중이 이틀만에 깨어났는데 정신이 똑똑했다. 사람들이 사유를 물으니 손씨가 말하기를 세상사람이 정신을 안정시킬 줄만 알지만 정신을 잃고 잠들게 줄은 모른다고 하였다. 이것이 『영원방(靈苑方)』에 있는 진사산(辰砂散)인데 사람들이 쓰지 않고 있는 것이다[강목].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강목(綱目)

편명 ; 내경편(內景篇) 권일(卷一) 신(神)

 

구성약재

산조인(酸棗仁): 18.75 g. 약간 볶는다.

유향(乳香): 18.75 g. 맑고 환한 것

진사(辰砂): 37.5 g. 맑은 것.

 

조제용법 ; 약재들을 가루낸다. 먼저 환자가 술을 얼마나 마실 수 있는가를 알아본 다음, 환자를 조용한 방에 앉히고 가루를 낸 약을 한번에 먹게 만들어 데운 술 한잔에 타서 푹 취하게 먹인다. 약을 다 먹었으면 편안히 잠자리에 누워 자게 한다.

 

금기사항 ; 불러 깨우지도 말고 놀라게 하거나 다쳐서 깨어나게도 하지 말아야 한다.

 

주치병증

광언(狂言)

병적으로 이성을 잃고 말을 마구 하는 증상. [영추(靈樞)] <전광(癲狂)>에 나옴. 이는 대개 심화치성(心火熾盛)에 의한 실증(實證)이다.

양방병증 ; 말이상증

 

불면(不眠)

잠을 자지 못하는 증상. 잠들기 힘들거나 깊이 잠들지 못하여 자주 깨며 심하면 밤새 잠을 이루지 못한다.

양방병증 ; 불면증

 

전광(癲狂)

(1) 일종의 정신 착란 질병. [영추(靈樞)] <전광(癲狂)>에 나옴. [난경(難經)] <이십난(二十難)>에서 "중양(重陽)의 맥(脈)인 경우는 광(狂)이 되고, 중음(重陰)의 맥(脈)인 경우는 전(癲)이 된다.(重陽者狂, 重陰者癲)"라고 하였다. (2) [영추(靈樞)]의 편명. 이 편에서는 전광(癲狂)의 원인과 각종 유형 및 침구 치료 방법을 논술하였다. 그 내용으로는, 전병의 발작 과정, 유형, 임상 표현 및 치료, 예후 등이며, 또한 광병(狂病)은 우울증, 기아(飢餓), 대경대공(大驚大恐), 정기쇠소(正氣衰少), 희락과도(喜樂過渡) 등으로 말미암아 발생한다고 하였다. 이런 여러 가지의 증상에 따라 적당한 침자 치료 방법을 분별하여 소개하였다.

양방병증 ; 정신이상; 양극성 정동 장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