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향유기음(木香流氣飮)
◈治諸氣搽痛或腫脹陳皮一錢藿香木香厚朴靑皮香附子麥門冬白芷沈香各七分半白朮肉桂木通檳峹紫蘇葉各六分草果甘草各五分大腹皮木瓜人參蓬朮丁香皮半夏製赤茯巔石菖浦各三分右犫分二貼薑三片棗二枚水煎服《正傳》
◈여러 가지 기로 더부룩하고 아프거나 배가 불러오르는 것을 치료한다.
귤껍질(陳皮) 4g, 곽향, 목향, 후박, 선귤껍질, 향부자, 맥문동, 구릿대(백지), 침향 각각 3g, 흰삽주(백출), 육계, 으름덩굴(목통), 빈랑, 차조기잎(자소엽) 각각 2.4g, 초과, 감초 각각 2g, 빈랑껍질(대복피), 모과, 인삼, 봉출, 정향피,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벌건솔풍령(적복령), 석창포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2첩으로 나누어 생강 3쪽, 대추 2개와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정전].
=================================================================================
출처 ; 수세보원(壽世保元)(17세기초)
편명 ; 병집삼권(丙集三卷)
구성약재
감초(甘草): 75 g.
곽향(藿香): 28.125 g.
대복피(大腹皮): 28.125 g.
맥문동(麥門冬): 18.75 g. 심을 제거한다.
모과(木瓜): 18.75 g.
목통(木通): 75 g.
목향(木香): 28.125 g.
반하(半夏): 9.375 g. 끓는 물로 담근다.
백지(白芷): 18.75 g.
백출(白朮): 18.75 g. 노(蘆)를 제거한다.
빈랑(檳榔): 28.125 g.
석창포(石菖蒲): 18.75 g.
아출(莪朮): 28.125 g. 굽는다.
육계(肉桂): 28.125 g.
인삼(人蔘): 18.75 g.
자소(紫蘇): 75 g.
적복령(赤茯苓): 18.75 g.
정피(丁皮): 28.125 g.
진피(陳皮): 150 g.
청피(靑皮): 75 g. 속을 제거한다.
초과(草果): 28.125 g.
향부(香附): 75 g.
후박(厚朴): 75 g. 생강과 볶는다.
조제용법 ; 약재들을 썰어서 30g을 생강 3조각, 대추 1매, 물 1잔반과 함께 끓여서 찌꺼기를 제거하고 따뜻하게 복용한다.
주치병증
고종(蠱腫)
고(蠱)로 인하여 몸이 붓는 것
=================================================================================
출처 ; 의종금감(醫宗金鑑)(1742년)
편명 ; 어찬의종금감(御纂醫宗金鑑) 권칠십이(卷七十二)
구성약재
감초절(甘草節): 1.875 g.
길경(桔梗): 3.75 g. 밀기울로 볶는다.
당귀(當歸): 3.75 g. 술로 볶는다.
대복피(大腹皮): 1.875 g.
목향(木香): 1.875 g. 분말로 만든다.
반하(半夏): 3.75 g.
방풍(防風): 3.75 g.
백복령(白茯苓): 3.75 g.
빈랑(檳榔): 1.875 g.
소엽(蘇葉): 3.75 g.
오약(烏藥): 3.75 g.
작약(芍藥): 3.75 g.
지각(枳殼): 1.875 g. 밀기울로 볶는다.
지실(枳實): 3.75 g.
진피(秦皮): 3.75 g. 포제한다.
천궁(川芎): 3.75 g.
청피(靑皮): 3.75 g.
택사(澤瀉): 1.875 g.
황기(黃芪): 3.75 g.
조제용법 ; 생강 3편과 빨간 대추육 2개를 넣어 물에 달여서 복용한다(生薑三片 紅棗肉二枚 水煎服)
주치병증
기체(氣滯)
채내의 기가 쇠하여 운행이 잘 안되어 몸의 한 곳에 몰려 있는 병리. 외사(外邪)의 침습, 음식, 칠정(七情) 내상 등으로 생김. 각기 머무는 장기에 따라 병이 생기며, 해당 국소 부위가 그득하거나 불어나고 아픔. 심(心)에 머물면 정신이 안정되지 않아 잠자리가 편치 않음. 폐(肺)에 머물면 폐기가 맑지 않아 진액이 痰으로 엉김. 대장(大腸)에 머물면 손설(飱泄)함. 신(腎)에 머물면 요통이 있고, 눈동자가 흐리고, 두 귀가 들리지 않음. 간(肝)에 머물면 간기가 순조롭게 통하지 않아 옆구리가 아프고, 성을 잘 냄. 비(脾)에 머물면 음식을 못 먹고, 배가 그득하게 부름. 심하면 종괴(腫塊)가 생기거나, 또는 기육(肌肉)이 썩을 수도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