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治久虛夢泄鹿角屑鹿茸曧灸各一兩白茯巔七錢半人參白茯神桑祒曛川芎當歸破故紙龍骨堛子酒浸一宿焙各五錢栢子仁甘草各二錢半右爲末每五錢薑五片棗二枚粳米百粒同煎空心服《直指》
◈오랫동안 허하여 생긴 몽설을 치료한다.
鹿角屑 鹿茸 白茯巔 人參 白茯神 桑祒曛 川芎 當歸 破故紙 龍骨 堛子
曧灸 酒浸一宿焙
各一兩 七錢半 各五錢
栢子仁 甘草 薑 棗 粳米
各二錢半 5 2 百粒
녹각(가루낸 것), 녹용(졸인 젖을 발라 구운 것) 각각 40g, 흰솔풍령(백복령) 30g, 인삼, 백복신, 사마귀알집(상표초), 궁궁이(천궁), 당귀, 파고지, 용골, 부추씨(술에 하룻밤 담갔다가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각각 20g, 측백씨, 감초 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20g씩 생강 5쪽, 대추 2개, 흰쌀 100알과 함께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직지].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본초(本草)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칠(卷七) 옹저(癰疽)
구성약재
녹각(鹿角):
조제용법 ; 약재를 부드럽게 가루내어 식초에 넣고 달여서 풀처럼 만들어 헌데에 붙이면 꼭대기에 구멍이 뚫리고 녹각교의 빨아내는 센 작용에 의해서 고름이 저절로 다 나온다. 그리고 궂은 살도 또한 없어진다.
주치병증
옹저창종(癰疽瘡腫)
옹저(癰疽)의 부위가 헐고 부은 것
양방병증 ; 종기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직지(直指)
편명 ; 내경편(內景篇) 권일(卷一) 정(精)
구성약재
감초(甘草): 9.375 g.
구자(韭子): 18.75 g. 술로 1일동안 담근후 불에 쬔다.
녹각(鹿角): 37.5 g. 분말로 만든다.
녹용(鹿茸): 37.5 g. 연유를 발라서 굽는다.
당귀(當歸): 18.75 g.
백복령(白茯苓): 28.125 g.
백복신(白茯神): 18.75 g.
백자인(柏子仁): 9.375 g.
용골(龍骨): 18.75 g.
인삼(人蔘): 18.75 g.
천궁(川芎): 18.75 g.
파고지(破故紙): 18.75 g.
상표초(桑螵蛸): 18.7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18.75g씩 생강 5편, 대추 2개, 흰쌀 100알과 함께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
주치병증
몽설(夢泄)
꿈속에서 사정(射精)하는 것. 유정(遺精)의 일종.
이명 ; 몽실정(夢失精)
양방병증 ; 몽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