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훈화담탕(淸暈化痰湯) ♣
◈治風火痰眩暈陳皮半夏製白茯巔各一錢枳實白朮各七分川芎黃芩白芷羌活人參南星礐防風各五分細辛黃連甘草各三分右犫作一貼入薑三片水煎服或爲末薑汁打恪糊和丸服之亦佳《醫鑑》
◈풍담(風痰)과 화담(火痰)으로 생긴 어지럼증을 치료한다.
귤껍질(陳皮),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4g, 지실, 흰삽주(백출) 각각 2.8g, 궁궁이(천궁), 속썩은풀(황금), 구릿대(백지), 강호리(강활), 인삼, 천남성(싸서 구운 것), 방풍 각각 2g, 족두리풀(세신), 황련, 감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생강즙과 밀가루풀을 섞은 데 넣고 반죽해서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좋다[의감].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편명 ; 외형편(外形篇) 권일(卷一) 두(頭). 의감(醫鑑)
내용 ; 풍담(風痰)과 화담(火痰)으로 인한 어지러움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甘草): 1.125 g. 남성(南星): 1.875 g. 굽는다. 반하(半夏): 3.75 g. 포제한다.
강활(羌活): 1.875 g. 백복령(白茯苓): 3.75 g. 방풍(防風): 1.875 g.
백지(白芷): 1.875 g. 백출(白朮): 2.625 g. 세신(細辛): 1.125 g.
인삼(人蔘): 1.875 g. 지실(枳實): 2.625 g. 진피(陳皮): 3.75 g.
천궁(川芎): 1.875 g. 황금(黃芩): 1.875 g. 황련(黃連): 1.12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생강즙과 밀가루풀을 섞은 데 넣고 반죽해서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좋다.
주치병증
풍담현훈(風痰眩暈)
풍담(風痰)이 위로 거슬러 올라가 청양(淸陽)을 막음으로써 발생한 어지럼증. [잡병원류서촉(雜病源流犀燭)] <두통원류(頭痛源流)>에서 "풍담(風痰)이 막아 발생한 어지럼증은 반드시 가슴과 횡격막께가 막히며 목이 뻣뻣하고 어깨와 등이 땅기고 나른하며 정신이 흐리며 잠이 많고 가슴이 두근거리면서 안달이 나 답답한 증상이 발생한다.(風痰閉壅眩暈, 必胸膈痞塞, 項急, 肩背拘倦, 神昏多睡, 或心忪煩悶而發.)"라고 하였다.
================================================================================
출처 ; 수세보원(壽世保元)(17세기초)
편명 ; 무집오권(戊集五卷)
내용 ; 풍담(風痰)과 화담(火痰)으로 인한 어지러움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甘草): 1.125 g. 남성(南星): 2.625 g. 강즙으로 볶는다.
강활(羌活): 2.625 g. 반하(半夏): 5.625 g. 강즙으로 볶는다.
방풍(防風): 2.625 g. 백복령(白茯苓): 5.625 g. 껍질을 제거한다.
백지(柏脂): 2.625 g. 지실(枳實): 3.75 g. 밀기울로 볶는다.
세신(細辛): 2.625 g. 진피(陳皮): 5.625 g. 하얀부분을 제거한다.
천궁(川芎): 3 g. 황금(黃芩): 3 g. 술로 볶는다.
조제용법 ; 약재들을 썰어서 1제(劑)로 하고, 생강 3조각과 함께 물에 끓여서 복용한다.
주치병증
기단(氣短)
호흡이 얕고 힘이 없으며 숨이 찬 것. 실증(實證)은 담음어조(痰飮瘀阻), 기체(氣滯)로 일어나며 흉복(胸腹)이 창만(脹滿)하고, 호흡이 거칠고, 심흉이 비민(痞悶)함. 허증(虛證)은 몸이 약하거나, 오랜 병 등으로 생기며 몸이 마르고, 정신이 피로하며, 숨소리가 낮고, 어지럽고, 기운이 없음. 여러 질병에서 나타남.
이명 ; 단기(短氣), 기소(氣少)
양방병증 ; 가쁜 호흡
사지궐랭(四肢厥冷)
[금궤요략(金匱要略)] <복만한산숙식병맥증치(腹滿寒疝宿食病脈證治)>에서 "한산(寒疝)은 배꼽 둘레가 아프고 발작하면 저절로 땀이 나고 손발 끝에서부터 팔꿈치와 무릎까지 차가워진다.(寒疝繞臍痛, 若發則自汗出, 手足厥冷.)"라고 하였다. [상한소원집(傷寒溯源集)] 제9권에서는 "논(論)에서 궐(厥), 궐역(厥逆), 사역(四逆), 궐랭(厥冷), 수족한(手足寒), 수족궐한(手足厥寒)이라 한 것은 모두 손발 끝에서부터 팔꿈치와 무릎까지 차가운 증상을 말한다.(論中或云厥, 或云厥逆, 或云四逆, 或曰手足寒, 或曰手足厥寒, 皆指手足厥冷而言也.)"라고 하였다. 이 병증은 한증(寒證)과 열증(熱證)의 구분이 있다. 한증은 양기가 쇠약하여져 음한(陰寒)이 안에서 성(盛)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찬 기운을 두려워하고 하리청곡(下利淸穀)하며 맥이 침미(沈微)한 등의 증상이 늘 수반된다.
이명 ; 수족궐랭(手足厥冷), 수족궐역(手足厥逆), 사지궐역(四肢厥逆)
양방병증 ; 팔다리 냉각 감각
상기천급(上氣喘急)
폐기(肺氣)가 상역(上逆)해서 호기(呼氣)는 많고 흡기(吸氣)가 적어 호흡이 잘 이어지지 않고 급촉(急促)한 것. 폐가 사기(邪氣)를 감수해 기도(氣道)가 막혀서 일어나는 실천(實喘)과, 신기휴손(腎氣虧損)으로 신기가 받아들여 지지 않아 올라와 폐로 나오는 허천(虛喘)으로 나눔. 실천은 가슴이 불어나고 호흡이 거칠며 누우면 더 심해짐. 허천은 오랜 기침이나 병을 앓은 후에 많으며, 황급하고 소리가 낮으며 호흡이 짧음.
이명 ; 상기천촉(上氣喘促)
양방병증 ; 호흡곤란
습담(濕痰)
오랫동안 습탁(濕濁)이 내정(內停)되어 발생하는 담증(痰證). 장자화(張子和)의 [치법잡론(治法雜論)]에 나옴. 담습(痰濕), 비경습담(脾經濕痰)이라고도 한다. [의학입문(醫學入門)] 제5권에서 "비(脾)에서 발생한 것은 대부분 팔다리가 나른하고 배가 아프고 더부룩하며 설사하니 습담(濕痰)이라 한다.(生於脾, 多四肢倦怠, 或腹痛腫脹泄瀉, 名曰濕痰.)"라고 하였다. 습담(濕痰)은 외감습담(外感濕痰)과 내상습담(內傷濕痰)의 구분이 있다. [잡병원류서촉(雜病源流犀燭)] <담음원류(痰飮源流)>에서는 "원인이 비(脾)에 있는 것을 습담(濕痰)이라 하는데 색이 누렇고 매끄러워 쉽게 나오며, 대부분 기운이 없고 허약해져 눕기를 좋아하며 배가 더부룩하고 먹은 것이 막히며 맥(脈)이 반드시 완(緩)한데 백출환(白朮丸)이 적합하다. 허(虛)를 겸하면 육군자탕(六君子湯)이 적합하고, 식(食)을 겸하면 보화환(保和丸)이 적합하며, 서(暑)를 겸하면 소서환(消暑丸)이 적합하고, 경(驚)을 겸하면 묘응환(妙應丸)이 적합하다. 각각 비(脾)를 바탕으로 해서 나누어 치료해야 한다.(在脾曰濕痰, 其色黃, 滑而易出, 多倦怠, 軟弱喜臥, 腹脹食滯, 脈必緩, 宜白朮丸; 或挾虛, 宜六君子湯; 挾食, 宜保和丸; 挾暑, 宜消暑丸, 挾驚, 宜妙應丸. 各宜從脾分治.)"라고 하였다
양방병증 ; 노쇠; 천식; 폐부종; 실신 및 허탈; 천식지속 상태; 권태감 및 피로감; 심장기능상실(심부전); 상세불명의 호흡기 장애; 성인성 호흡곤란 증후군; 기타 만성 폐쇄성 폐질환; 상세불명의 호흡기능상실
음허화동(陰虛火動)
음정(陰精)이 휴손되어 허열(虛熱)이 매우 심한 병증. 증상으로는 번조이노(煩躁易怒), 양관조홍(兩顴潮紅), 구건인통(口乾咽痛), 성욕항진(性欲亢進) 등이 나타난다.
이명 ; 음허양항(陰虛陽亢), 음허화왕(陰虛火旺), 음허화성(陰虛火盛)
자한(自汗)
정신이 멀쩡하고 움직이지도 않았는데 저절로 땀이 나는 병증. [증치준승(證治準繩)] <유과(幼科)>에서 "자한(自汗)은 땀이 발표법(發表法)을 쓰지 않았는데 저절로 나오는 것이다.(自汗者, 汗不待表發而自出也.)"라고 하였다.
양방병증 ; 땀; 다한증
현훈(眩暈)
두혼목현(頭昏目眩)하고 훈궐(暈厥)하는 것. 대개 간(肝), 비(脾), 신(腎)의 기능장애로 일어남. 심하면 핑 돌아서 쓰러지고 가슴이 막히며 구토가 일어남. 원인에 따라 상풍현훈(傷風眩暈), 중서현훈(中暑眩暈), 풍열현훈(風熱眩暈), 한습현훈(寒濕眩暈), 담화현훈(痰火眩暈), 기울현훈(氣鬱眩暈), 기허현훈(氣虛眩暈), 상습현훈(傷濕眩暈), 혈허현훈(血虛眩暈), 간사현훈(肝邪眩暈) 등으로 나눔.
양방병증 ; 수두증; 저혈압; 뇌경색증; 뇌내출혈; 어지러움; 이차 고혈압; 철결핍성 빈혈; 청신경의 장애; 비타민 A 결핍증; 고혈압성 뇌병증; 뇌의 악성신생물; 대뇌 죽상경화증; 전정기능의 장애; 현기 및 어지러움; 본태성(원발성) 고혈압; 중증 근육무력증 및 기타 근신경성 장애; 일과성 대뇌 허혈성 발작 및 관련 증후군; 뇌 및 기타 중추 신경계통 부위의 양성신생물; 척수, 뇌신경 및 중추 신경계통의 기타 부위의 악성신생물
허극(虛極)
정기가 약한 것이 극에 달함
양방병증 ; 신체쇠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