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귀보혈탕(當歸補血湯) ♣
◈治血虛頭痛生乾地黃酒炒白芍藥川芎當歸片芩酒炒各二錢防風柴胡蔓荊子各五分荊芥藁本各四分右犫作一貼水煎服《醫鑑》
◈혈(血)이 허해서 머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생건지황(술에 축여 볶은 것),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궁궁이(천궁), 당귀, 속썩은풀(황금, 술에 축여 볶은 것) 각각 8g, 방풍, 시호, 순비기열매(만형자) 각각 2g, 형개, 고본 각각 1.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
출처 ; 경악전서(景岳全書)(1610년) 보감(寶鑑)
편명 ; 권지오십삼 도집 고방팔진(卷之五十三 圖集 古方八陣)보진(補陣)
구성약재
당귀(當歸): 11.25 g. 술로 씻는다.
황기(黃芪): 37.5 g. 굽는다.
조제용법 ; 물 1그릇 반으로 8푼이 되게 달여 끼니 사이에 복용한다(水一鍾半, 煎八分. 食遠服)
주치병증
구갈(口渴)
갈증. 입안과 목이 마르면서 물을 많이 먹는 증상. 폐위(肺胃)의 열로, 또는 수분대사가 나빠 수분이 올라오지 못하여 생김. 더운 물을 찾으면 음증, 찬물을 찾으면 양증에 속함. 구조인건(口燥咽乾) 참조.
양방병증 ; 구갈증
기열(肌熱)
기표(肌表)에 열이 나는 느낌이 드는 병증. 허실의 구분이 있다. 실증은 대개 외사가 침습하여 양명경맥(陽明經脈)이 병든 것이다. 허증(虛證)은 대개 기허(氣虛)나 혈허(血虛)로 발생한다.
양방병증 ; 작열감
혈허맥대(血虛脈大)
혈허(血虛)로 인해 맥이 대(大)해짐
면홍목적(面紅目赤)
얼굴이 붉고 눈이 충혈된 것.
양방병증 ; 충혈안; 안면홍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