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미조중익기탕(加味調中益氣湯) ♣
◈治氣血俱虛頭痛其效如神黃妉蜜炒一錢人參蒼朮甘草各七分陳皮當歸川芎各五分木香升麻柴胡細辛蔓荊子各三分右犫作一貼水煎服《東垣》
◈기혈(氣血)이 다 허해져서 머리가 아픈 것을 치료하는 데 잘 낫는다.
황기(꿀물에 축여 볶은 것) 4g, 인삼, 삽주(창출), 감초 각각 2.8g, 귤껍질(陳皮), 당귀, 궁궁이(천궁) 각각 2g, 목향, 승마, 시호, 족두리풀(세신), 순비기열매(만형자)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동원(東垣)
편명 ; 외형편(外形篇) 권일(卷一) 두(頭)
내용 ; 기혈(氣血)이 모두 허(虛)해서 머리가 아픈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甘草): 2.625 g.
당귀(當歸): 1.875 g.
만형자(蔓荊子): 1.125 g.
목향(木香): 1.125 g.
세신(細辛): 1.125 g.
승마(升麻): 1.125 g.
시호(柴胡): 1.125 g.
인삼(人蔘): 2.625 g.
진피(陳皮): 1.875 g.
창출(蒼朮): 2.625 g.
천궁(川芎): 1.875 g.
황기(黃芪): 3.75 g. 꿀을 발라서 볶는다.
조제용법 ; 약재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주치병증
기혈양허두통(氣血兩虛頭痛)
기허(氣虛)와 혈허(血虛) 증후가 함께 나타나는 두통. [맥인증치(脈因證治)] <제두통유육증(諸頭痛有六證)>에 ‘기허(氣虛)는 하부의 기가 허하여 몸 속에서 생긴 사기(邪氣)가 올라가 쳐서 완만히 시름시름 아픈 것으로 밖의 사독(邪毒)이 치는 것과는 다르다.(氣虛, 因下部氣虛, 上攻, 溫溫而痛者, 異乎邪毒所攻.)’라고 하였다.
이명 ; 기혈구허두통(氣血俱虛頭痛)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