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오산(芎烏散) ♣
◈川芎烏藥各等分右爲末每二錢以燒稱錘柒酒調服亦治産後頭痛《入門》
◈궁궁이(천궁), 오약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불에 달군 저울추를 담갔던 술에 타 먹는데 몸 푼 뒤에 머리가 아픈 것도 치료한다[입문].
============================================================================
출처 ;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1345년)
편명 ; 권제십사(券第十四) 산후(産後)
내용 ; 기혈(氣血)이 허(虛)하여 사기(邪氣)가 치밀어 올라 생긴 두통과 산후두통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천궁(川芎):
천태오약(天台烏藥): 껍질 각각같은양
조제용법 ; 약재를 가루내고 소쉬주(燒淬酒)로 복용한다.
주치병증
산후병(産後病)
출산 후에 생기는 병.
양방병증 ; 산후병증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입문(入門)
편명 ; 외형편(外形篇) 권일(卷一) 두(頭)
내용 ; 기혈(氣血)이 허(虛)하여 사기(邪氣)가 치밀어 올라 생긴 두통과 산후두통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오약(烏藥):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천궁(川芎):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조제용법 ; 약재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7.5g씩 불에 달군 저울추를 담갔던 술에 타서 먹는다.
주치병증
산후두통(産後頭痛)
산후의 두통.산후에 오장이 모두 허하여 위기(胃氣)도 휴손(虧損)되고 식사량이 충분하지 못하여 곡기(穀氣)도 부족해 양기(陽氣)가 제자리를 지키지 못하고 올라가 머리에 모이니 양실음허(陽實陰虛)가 되어 발생함. 또 산후에 패혈(敗血)이 상충(上衝)해도 생김. 두통이 났다가 멎었다가 하고 미릉골(眉棱骨)까지 당기며 아프면 외감풍한(外感風寒)에 속함. 산후에 혈이 허하여 생기면 아침에는 증상이 가볍다가 해질 무렵에 더하고 때로 멎었다가 다시 반복됨. 산후혈허로 허화(虛火)가 타오르면 구역질이 나서 음식을 먹지 못함.
양방병증 ; 산후두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