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외형편

안신탕(安神湯)

한들 약초방 2015. 11. 7. 10:30

 안신탕(安神湯)

 

 

治氣血虛而有火頭痛頭旋眼黑黃一錢半羌活黃栢酒浸各一錢柴胡升麻生地黃知母幷酒浸各五分防風二分半生甘草灸甘草各二分右水煎數沸入川芎蔓荊子各三分再煎至半食後溫服《東垣》

 

기혈이 허하고 () 있어서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우며 앞이 캄캄한 것을 치료한다.

황기 6g, 강호리(강활), 황백(술에 담갔다 ) 각각 4g, 시호 승마, 생지황, 지모( 술에 담갔다 ) 각각 2g, 방풍 1g, 감초(생것), 감초(닦은 ) 각각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끓어오르게 달인 다음 궁궁이(천궁), 순비기열매(만형자) 각각 1.2g 넣고 다시 절반이 되게 달여 끼니 뒤에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동원].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동원(東垣)

편명 ; 외형편(外形篇) 권일(卷一) 두(頭)

 

내용 ; 기혈(氣血)이 허(虛)한데다가 화(火)가 있어서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우며 눈앞이 핑핑 돌면서 캄캄한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甘草): 0.75 g. 굽는다.

감초(甘草): 0.75 g. 생 것.

강활(羌活): 3.75 g.

방풍(防風): 0.938 g.

생지황(生地黃): 1.875 g. 술에 담근다.

승마(升麻): 1.875 g. 술에 담근다.

시호(柴胡): 1.875 g. 술에 담근다.

지모(知母): 1.875 g. 술에 담근다.

황기(黃芪): 5.625 g.

황백(黃柏): 3.75 g. 술에 담근다.

 

조제용법 ; 약재들을 썰어서 물에 몇 번 끓어오르게 달인 다음 천궁, 순비기열매(만형자) 각각 1.125g을 더 넣고 다시 절반이 되게 달여 끼니 뒤에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

 

주치병증

두선(頭旋)

현기증. [동의보감(東醫寶鑑)] <잡병편(雜病篇)> 제2권에 나옴. 머리가 빙빙 도는 듯한 느낌이 있다는 뜻에서 붙인 이름이다.

이명 ; 뇌선(腦旋), 현훈(眩暈)

양방병증 ; 혼미

 

두통(頭痛)

머리 전체 및 앞, 뒤, 옆 등이 아픈 것을 총괄하여 말함. [소문(素問)] <평인기상론(平人氣象論)>에 나옴. 두동(頭疼)이라고도 한다. 머리는 제양(諸陽)이 모이는 곳이자 정명(精明)의 부(府)이므로 오장육부(五臟六腑)의 기혈(氣血)이 모두 여기에 모인다. 육음(六淫)을 외감하거나 장부(臟腑)가 안에서 손상되어 양기(陽氣)가 막혀 탁사(濁邪)가 위에 머물거나 간양(肝陽)이 치솟아 정수(精髓)와 기혈(氣血)이 이지러져 경락(經絡)이 제대로 돌지 못하는 경우, 모두 두통을 일으킬 수 있다.

이명 ; 두동(頭疼)

양방병증 ; 두통; 수두증; 저혈압; 편두통; 뇌경색증; 뇌내출혈; 긴장형 두통; 머리내 손상; 삼차 신경통; 이차 고혈압; 거미막밑 출혈; 뇌의 기타 장애; 고혈압성 뇌병증; 뇌의 악성신생물; 바이러스 수막염; 송이두통 증후군; 신경계통의 결핵; 편두통 지속상태; 기타 두통 증후군; 삼차 신경의 장애; 상세불명의 편두통; 수막의 악성신생물; 수막의 양성신생물; 기타 뇌신경의 장애; 대뇌 혈관의 기타 기형; 본태성(원발성) 고혈압; 대뇌 혈관의 동정맥 기형; 뇌염, 척수염 및 뇌척수염; 기타 비외상성 머리내 출혈; 조짐이 없는 편두통[일반 편두통]; 달리 분류되지 않은 세균성 수막염; 조짐이 있는 편두통[고전적 편두통]; 대뇌혈관 질환에서의 뇌혈관 증후군; 일과성 대뇌 허혈성 발작 및 관련 증후군; 수막의 행동양식 불명 또는 미상의 신생물; 뇌 및 기타 중추 신경계통 부위의 양성신생물; 뇌 및 중추 신경계통의 행동양식 불명 또는 미상의 신생물; 척수, 뇌신경 및 중추 신경계통의 기타 부위의 악성신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