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 ♣
◈治血虛陰火上衝頭痛當歸川芎生乾地黃酒炒黃栢酒炒知母酒炒黃芩酒炒黃連酒炒蔓荊子梔子炒各七分右犫作一貼水煎服《回春》
◈혈이 허하여 음화(陰火)가 치밀어 올라 머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당귀, 궁궁이(천궁), 생건지황(술에 축여 볶은 것), 황백(술에 축여 볶은 것), 지모(술에 축여 볶은 것), 속썩은풀(황금, 술에 축여 볶은 것), 황련(술에 축여 볶은 것), 순비기열매(만형자), 산치자(볶은 것)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
출처 ; 우수경험방집
편명 ; 비뇨생식계 질환 - 부인문(婦人門) 월경(月經) 붕루(崩漏) 대하(帶下)
구성약재
귀전우(鬼箭羽): 3.75 g.
당귀(當歸): 9.375 g.
몰약(沒藥): 7.5 g.
백작약(白芍藥): 3.75 g.
숙지황(熟地黃): 3.75 g.
천궁(川芎): 9.375 g.
현호색(玄胡索): 3.75 g.
홍화(紅花): 3.75 g.
조제용법 ; 2 첩으로(재탕 포함) 1 일 3 회 식사 후 2 시간에 복용한다.
금기사항 ; 복용 중 피해야할 음식 : 닭(鷄), 돼지(猪), 술(酒), 면(麵), 녹두(綠豆), 나복(蘿蔔)
주치병증
월경복통(月經腹痛)
주기적으로 월경 때마다 심한 하복통(下腹痛), 요통(腰痛) 등 월경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통증을 말함. 월경 직전에 심하게 나타나는 것을 경전복통(經前腹痛), 월경기간에 심하게 나타나는 것을 경기복통(經期腹痛), 월경이 끝난 다음에 심하게 나타나는 것을 경후복통(經後腹痛)이라고 한다. 월경통에는 통증을 일으킬 수 있는 명확한 기질적 병변이 없는 원발성인 것과 기질적인 병변이 있는 속발성인 것이 포함된다.
이명 ; 통경(痛經), 경행복통(經行腹痛), 경행신통(經行身痛)
월경부조(月經不調)
월경병의 통칭. 전신 또는 성기의 이상으로 인해 생김. 월경선기(月經先期), 월경후기(月經後期), 월경선후무정기, 월경과다, 월경과소, 경폐(經閉), 붕루(崩漏), 경행토뉵(經行吐衄), 경행변혈(經行便血), 월경통 등 월경주기와 월경량의 이상, 월경 때 수반되는 여러 병증을 말함.
이명 ; 월경불순(月經不順), 월수부조(月水不調)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