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두고(巴豆膏) ♣
◈巴豆去殼炒焦硏如膏如發背中央肉死塗之卽腐未死塗之生肌惡瘡唪瘡久不收斂內有毒根以紙撚濐藥納之根去卽斂如元氣虛弱毒氣散漫中央肉死急服大補之劑中塗三四寸許至五六日赤椢之界自裂紋如刀劃狀中央漸潰若脾胃大虛肉不知痛急補脾胃肉多復生《入門》
◈파두를 껍질을 버리고 눋도록 닦아서 갈아 고약을 만든다. 이것을 등창의 한가운데 살이 썩었을 때 바르면 그것이 녹아나오고 살이 썩지 않았을 때 바르면 새살이 살아난다. 악창(惡瘡)이나 염창( 瘡)이 오랫 동안 아물지 않는 것은 속에 독이 있는 근이 있기 때문이다. 이때에는 종이 심지에 약을 묻혀서 넣어야 근(根)이 빠지면서 헌데가 곧 아문다. 만일 원기가 허약해지고 독기가 확 퍼져서 헌데의 한가운데 살이 썩으면 빨리 세게 보하는 약을 먹은 다음 한가운데 3-4치 너비로 이 약을 발라야 한다. 그러면 5-6일이 지나서 벌건 살과 꺼먼 살의 한계가 저절로 갈라지는데 칼로 그은 것 같은 금이 생기고 한가운데가 점차 물크러진다. 만일 비위(脾胃)가 몹시 허(虛)하여 살이 아픈 것도 모르게 되었을 때에는 빨리 비위를 보해야 새살이 잘 살아난다[입문].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입문(入門)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칠(卷七) 옹저(癰疽)
내용 ; 옹저(癰疽)나 악창(惡瘡)으로 인해 속에 생긴 굳은살을 없애는 처방임
구성약재 파두(巴豆):
조제용법 ; 파두를 껍질을 버리고 눋도록 볶아서 갈아 고약을 만든다. 이것을 등창의 한가운데 살이 썩었을 때 바르면 그것이 녹아나오고, 살이 썩지 않았을 때 바르면 새살이 살아난다. 악창(惡瘡)이나 염창(膁瘡)이 오랫 동안 아물지 않는 것은 속에 독이 있는 근이 있기 때문이다. 이때에는 종이 심지에 약을 묻혀서 넣어야 근(根)이 빠지면서 헌데가 곧 아문다. 만일 원기가 허약해지고 독기가 확 퍼져서 헌데의 한가운데 살이 썩으면 빨리 세게 보하는 약을 먹은 다음 한가운데 9-12cm 너비로 이 약을 발라야 한다. 그러면 5-6일이 지나서 벌건 살과 검은 살의 한계가 저절로 갈라지는데, 칼로 그은 것 같은 금이 생기고 한가운데가 점차 물크러진다. 만일 비위(脾胃)가 몹시 허(虛)하여 살이 아픈 것도 모르게 되었을 때에는 빨리 비위를 보해야 새살이 잘 살아난다.
주치병증 옹저(癰疽) (1)기혈(氣血)이 독사(毒邪)에 의해 막혀서(阻滯) 기육(肌肉)과 골(骨) 사이에서 발생하는 창종(瘡腫). (2)옹(癰)과 저(疽)를 묶어 일컬음. 창(瘡) 구멍이 얕으면서 넓은 것이 옹(癰)으로 양(陽)에 속하며, 깊으면서 오래된 것이 저(疽)로 음(陰)에 속한다. (3)큰 부스럼. |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악산(去惡散) (0) | 2016.01.06 |
---|---|
추독단(追毒丹) (0) | 2016.01.06 |
옹저 때 궂은 살을 없애는 방법[癰疽去惡肉方] (0) | 2016.01.06 |
옹저 때 헌데 구멍이 깊고 큰 데 쓰는 약 (0) | 2016.01.06 |
탁리소독음(托裏消毒飮) (0) | 2016.01.06 |